이 연구에서는 고전서사문학에 등장하는 강간 모티프의 양상을 장르별로 나누어 해당 서사체를 살피고, 개별 서사체에 담지되어 있는 의미와 서술자의 태도를 분석한 후에 그 속성을 밝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G3690598
2011년
Korean
한국연구재단(NRF)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고전서사문학에 등장하는 강간 모티프의 양상을 장르별로 나누어 해당 서사체를 살피고, 개별 서사체에 담지되어 있는 의미와 서술자의 태도를 분석한 후에 그 속성을 밝힐 ...
이 연구에서는 고전서사문학에 등장하는 강간 모티프의 양상을 장르별로 나누어 해당 서사체를 살피고, 개별 서사체에 담지되어 있는 의미와 서술자의 태도를 분석한 후에 그 속성을 밝힐 것이다. 구체적으로 강간 모티프에 대한 연구는 다음의 과정으로 진행될 것이다.
먼저, 강간의 의미와 속성을 정리하고, 그것이 서사문학에서 모티프로 자리할 만한 기능이 있는지의 여부를 논의한다. 강간과 유사 개념을 지닌 성폭력, 섹슈얼리티 등을 분변해 논의하는 가운데 강간의 의미와 속성을 밝힌다. 그러한 작업을 위해 여성의 육체와 관련된 강간 이론을 정리하고, 더불어 사회사적, 철학적 관점과 연관된 강간 이론을 정리한다. 그러한 작업을 한 후에 그러한 강간 이야기가 고전서사문학에서 ‘모티프’가 될 수 있을 것임을 밝힌다.
다음으로 서사문학을 장르별로 나누어, 장르에 속한 개별 서사체에 드러난 강간 모티프의 양상을 살피는 작업을 하고 이를 통해 개별 서사체 및 장르의 속성을 일정하게 밝힌다. 이 연구에서는 1차년도에는 구비문학을, 2차년도에는 고전소설과 기타 서사 장르를 한다고 구분하였으나 이는 편의상의 구분이다. 구비문학이나 고전소설 각각에 어떠한 공통점이 있다고 가정하여 같은 연도에 묶은 것은 아니다. 구비문학의 하위 장르 사이에도 장르 문법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오히려 고전소설의 하위 장르와 유사한 속성을 드러내는 작품도 있을 수 있는 것이다.
개별 서사체에 대한 분석은, 강간이 발생하게 되는 환경, 강간을 하는 목적, 강간의 상황, 강간 이후 가해인물과 피해인물의 육체적·심리적 태도, 그에 대한 서술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다. 예를 들어 피해인물의 심리적, 정서적 태도를 논하는 경우 강간에 따른 트라우마를 보이는지, 그리고 서술자는 그것을 어떻게 서술하고 있는지를 보이는 것은 그 작품의 서사적 성격을 알 수 있게 하는 척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의 작업을 바탕으로 고전서사문학에 드러나 있는 강간 모티프가 사회적 담론과 맺고 있는 연관성을 살피고, 유가적,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강간 모티프가 지니는 의미를 설명할 것이다. 서사체는 사회적, 철학적 담론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일정한 연관성을 지니고 있다. 강간 모티프의 경우 그것이 사회 윤리를 파괴하는 행위를 담고 있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그러한 연관성이 더욱 클 것이다. 강간 모티프를 서사에 삽입한 것이 윤리를 주입하려는 목적론의 결과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겠지만, 강간 모티프가 어느 정도 장르 향유층이 지닌 강간에 대한 생각을 읽어내는 단초로 작용할 수는 있을 것이다. 서사체에 드러난 강간 모티프의 양상과 그 사회적, 철학적 담론의 상관 관계를 밝히는 작업은 성적 윤리에 대한 향유자 또는 편찬자의 태도를 일정하게 살필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과정을 통해 자연스럽게 여성 섹슈얼리티가 타자화되는 방식이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남성이 주체가 되는 성 문화에서 하위 주체인 여성은 여러 방식으로 타자화되는데 강간은 그 대표적인 예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