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헤겔에 있어서 ‘생’과 예술 = Life and Art in Hegel's Though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265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searches the concept of life in Hegel’s writings consider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that he emphasized in relation to life. Hegel defined life as love, object of self-conscious desire, pure idea, other-idea, and idea of beauty.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life for Hegel was living things, especially the idea of spiritual life, which is constantly dividing and uniting at same time. In fact, the idea of spiritual life is within living things. According to Hegel, the idea can be true only when it is embodied and must appear to us. He thought this idea can be given shape through the beauty of art and recognized by intuitive artis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newly contemplating Hegel’s definition of art and beauty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nd reexamin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which enables us to intuit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life in the present day.
      번역하기

      This study researches the concept of life in Hegel’s writings consider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that he emphasized in relation to life. Hegel defined life as love, object of self-conscious desire, pure idea, other-idea, and idea of beauty. A...

      This study researches the concept of life in Hegel’s writings consider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that he emphasized in relation to life. Hegel defined life as love, object of self-conscious desire, pure idea, other-idea, and idea of beauty. Among these, the most important meaning of life for Hegel was living things, especially the idea of spiritual life, which is constantly dividing and uniting at same time. In fact, the idea of spiritual life is within living things. According to Hegel, the idea can be true only when it is embodied and must appear to us. He thought this idea can be given shape through the beauty of art and recognized by intuitive artistic consciousness. Therefore,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lies in newly contemplating Hegel’s definition of art and beauty of art from the perspective of life and reexamining the cognitive function of art, which enables us to intuit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life in the present da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헤겔에 있어서 생은 초기 통합적 삶에 대한 사유에서 출발하여 정신현상학, 논리학, 자연철학을 거쳐 예술철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그의 사유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헤겔이 초기와 후기에 이르기까지 사유한 생의 의미를 살펴보며, 헤겔이 생과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고찰한다.
      초기 사유에서 헤겔은 삶의 통합을 추구하며 주관적 종교와 사랑에서 그 가능성을 찾았다. 이후 『정신현상학』에서는 생은 자기의식의 욕구 대상으로서 이분과 이에 대한 부정을 통한 통일, 그리고 이에 대한 반성을 통해 자신으로 복귀하는 생명체로 규정된다. 이러한 생은 『논리학』에서 ‘순수이념’, 『엔치클로페디』의 자연철학에서는 ‘이념의 외화’ 내지 ‘이념의 타자’, 『예술철학』에서는 ‘미의 이념’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은 규정들에서 헤겔이 중요시하는 것은 지속적인 이분을 생성하면서도 통일을 이루는 ‘생명체’, 특히 ‘정신적 생’으로의 이념이다. 정신적 생으로서의 이념은 생명체 내에 관념성으로 내재되어 있는데, 헤겔은 이것이 ‘구체화’될 때 비로소 참된 이념이며, 우리에게 현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 그러한 생명체의 본질인 ‘내적인 주관성’, ‘관념성’, ‘이념’이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지가 예술에 대한 헤겔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그는 ‘예술미’를 통해 미로서의 정신적 생의 이념이 구체화 될 수 있으며, 예술의 직관적 의식을 통해 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함을 서술함으로써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핵심으로 하는 본 연구는 헤겔이 규정하는 예술 및 예술미의 의미를 생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이 고찰한다는 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무엇보다 오늘날에도 인간 삶에서의 생의 구조와 의미들에 대한 직관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재조명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번역하기

      헤겔에 있어서 생은 초기 통합적 삶에 대한 사유에서 출발하여 정신현상학, 논리학, 자연철학을 거쳐 예술철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그의 사유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헤겔이 초기...

      헤겔에 있어서 생은 초기 통합적 삶에 대한 사유에서 출발하여 정신현상학, 논리학, 자연철학을 거쳐 예술철학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그의 사유의 핵심이 되었다. 본 연구는 헤겔이 초기와 후기에 이르기까지 사유한 생의 의미를 살펴보며, 헤겔이 생과의 관계에서 강조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고찰한다.
      초기 사유에서 헤겔은 삶의 통합을 추구하며 주관적 종교와 사랑에서 그 가능성을 찾았다. 이후 『정신현상학』에서는 생은 자기의식의 욕구 대상으로서 이분과 이에 대한 부정을 통한 통일, 그리고 이에 대한 반성을 통해 자신으로 복귀하는 생명체로 규정된다. 이러한 생은 『논리학』에서 ‘순수이념’, 『엔치클로페디』의 자연철학에서는 ‘이념의 외화’ 내지 ‘이념의 타자’, 『예술철학』에서는 ‘미의 이념’으로 규정된다. 이와 같은 규정들에서 헤겔이 중요시하는 것은 지속적인 이분을 생성하면서도 통일을 이루는 ‘생명체’, 특히 ‘정신적 생’으로의 이념이다. 정신적 생으로서의 이념은 생명체 내에 관념성으로 내재되어 있는데, 헤겔은 이것이 ‘구체화’될 때 비로소 참된 이념이며, 우리에게 현상되어야 함을 강조한다. 더불어 그러한 생명체의 본질인 ‘내적인 주관성’, ‘관념성’, ‘이념’이 어떻게 인식될 수 있는지가 예술에 대한 헤겔 논의의 출발점이 된다. 그는 ‘예술미’를 통해 미로서의 정신적 생의 이념이 구체화 될 수 있으며, 예술의 직관적 의식을 통해 이에 대한 인식이 가능함을 서술함으로써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내용들을 핵심으로 하는 본 연구는 헤겔이 규정하는 예술 및 예술미의 의미를 생이라는 측면에서 새로이 고찰한다는 데 일차적인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무엇보다 오늘날에도 인간 삶에서의 생의 구조와 의미들에 대한 직관을 가능하게 하는 예술의 인식론적 기능을 재조명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정혁, "?정신현상학?에서 의식의 경험과 삶의 의미" 한국헤겔학회 12 : 4-141, 2002

      2 연효숙, "헤겔의 자연철학에서 '생명'의 형이상학적 의미" 한국헤겔학회 (28) : 35-57, 2010

      3 윤병태, "헤겔의 자연미의 개념" 한국헤겔학회 (18) : 175-206, 2005

      4 서정혁, "헤겔의 미학에서 예술의 생명성" 한국헤겔학회 (29) : 11-42, 2011

      5 서정혁, "헤겔의 [대논리학]에서 ‘삶의 이념’과 ‘논리적 방법’" 한국헤겔학회 (17) : 197-225, 2005

      6 윤병태, "헤겔사유에서 미(美)의 이념과 현존의 관계"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9-58, 2006

      7 백훈승, "헤겔 ?정신현상학?의 생 개념" 한국헤겔학회 12 : 2-77, 2002

      8 박병기, "헤겔 자연철학" 나남 2008

      9 Hegel, G. W. F, "헤겔 예술철학. 베를린1823년 강의. H.G. 호토의 필기록" 미술문화 2008

      10 백훈승, "헤겔 『정신현상학』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욕망과 생" 한국가톨릭철학회 (29) : 151-171, 2017

      1 서정혁, "?정신현상학?에서 의식의 경험과 삶의 의미" 한국헤겔학회 12 : 4-141, 2002

      2 연효숙, "헤겔의 자연철학에서 '생명'의 형이상학적 의미" 한국헤겔학회 (28) : 35-57, 2010

      3 윤병태, "헤겔의 자연미의 개념" 한국헤겔학회 (18) : 175-206, 2005

      4 서정혁, "헤겔의 미학에서 예술의 생명성" 한국헤겔학회 (29) : 11-42, 2011

      5 서정혁, "헤겔의 [대논리학]에서 ‘삶의 이념’과 ‘논리적 방법’" 한국헤겔학회 (17) : 197-225, 2005

      6 윤병태, "헤겔사유에서 미(美)의 이념과 현존의 관계" 국제언어인문학회 30 (30): 39-58, 2006

      7 백훈승, "헤겔 ?정신현상학?의 생 개념" 한국헤겔학회 12 : 2-77, 2002

      8 박병기, "헤겔 자연철학" 나남 2008

      9 Hegel, G. W. F, "헤겔 예술철학. 베를린1823년 강의. H.G. 호토의 필기록" 미술문화 2008

      10 백훈승, "헤겔 『정신현상학』에 있어서의 직접적인 욕망과 생" 한국가톨릭철학회 (29) : 151-171, 2017

      11 서정혁, "프랑크푸르트 시기의 헤겔" 한국헤겔학회 14 : 8-242, 2003

      12 서정혁, "초기 헤겔의 철학적 단초로서의 ‘통일적 삶’" 연세대학교 대학원 29 : 43-83, 1999

      13 Hegel, G. W. F, "청년 헤겔의 신학론집: 베른, 프랑크푸르트 시기" 인간사랑 2005

      14 강순전, "실존하는 목적으로서의 생명 ― 기계론 및 외적 목적론과의 대결을 통해 본 헤겔의 생명관 ―" 한국철학회 (111) : 87-120, 2012

      15 Hegel, G. W. F, "미학강의" 지만지 2013

      16 Hegel, G. W. F, "대논리학 III. 개념론" 지학사 1982

      17 Spieker, Michael, "Wahres Leben denken: Über Sein, Leben und Wahrheit in Hegels Wissenschaft der Logik" F. Meiner 2009

      18 Hegel, G. W. F, "Vorlesungsmitschrift Adolf Heimann (1828/29)" Wilhelm Fink 2017

      19 Hegel, G. W. F, "Vorlesungen über die Philosophie der Kunst I, II, II. Werke Bd. 13, 14, 15" Suhrkamp 1986

      20 Hegel, G. W. F, "Vorlesung von 1826" Suhrkamp 2005

      21 Hegel, G. W. F, "Phänomenologie des Geistes, Gesammelte Werke Bd 9" F. Meiner 1980

      22 Hegel, G. W. F, "Philosophie der Kunst oder Ästhetik" Wilhelm Fink 2004

      23 Drilo, Kazimir, "Perspektivwechsel und Aneignung in der Philosophie Hegels" Königshausen &Neumann 2003

      24 Nagel-Docekal, Herta, "Hegels Ästhetik als Theorie der Moderne" De Gruyter 2012

      25 Busche, Hubertus, "Hegels politisch- religiöse Begründung der Philosophie freier Verbundenheit in seinen frühen Manuskripten" Bouevier 1987

      26 Beiser, Frederick, "Hegel and Naturphilosophie" 34 : 135-147, 2003

      27 Hegel, G. W. F, "Fühe Schriften. Werke Bd. 1" Suhrkamp 1986

      28 Sell, Annette, "Der lebendige Begriff. Leben und Logik bei G. W. F. Hegel" Karl Alber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5 1.082 0.0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