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19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효능감에 대한 지각의 차이,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교사 223명이었으며,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가정 자녀 지도경험별 및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인식 전체, 개방성, 수용성 및 존중성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효능감 전체, 일반기능, 다문화가정 배려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과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및 다문화가정 배려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효능감에 대한 지각의 차이,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

      이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며, 이를 위해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 및 효능감에 대한 지각의 차이,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지역의 중학교 교사 223명이었으며, 다문화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구체적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가정 자녀 지도경험별 및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인식은 다문화 인식 전체, 개방성, 수용성 및 존중성 영역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을 받은 횟수별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은 다문화 효능감 전체, 일반기능, 다문화가정 배려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의 하위영역과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들 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에서는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및 다문화가정 배려 영역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is, awareness of multicultures of middle school teachers, differences of their recognitions on efficacy, and impact to multicultural efficacy from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targeted to 223 middle school teachers in GyoungGi area, and conducted a survey on awareness and efficacy of multicultures. Specific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instructional experiences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rough numbers of educations about multicultures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round total of multicultural awareness, openness, acceptance and respectation. For the multicultural efficacy by numbers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round the total multicultural efficacy, general function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ubclassified 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middle school teachers, there were all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s. That is, the area of open, acceptance and respectation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rea of general function, instructional function,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in the analysis of impact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awaren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icacy in general functions, instructional functions,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subclassified in multicultural efficacy.

      번역하기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is, awareness of multicultures of middle school teachers, differences of their recognitions on efficacy, and impact to multicultu...

      This research is to find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For this, awareness of multicultures of middle school teachers, differences of their recognitions on efficacy, and impact to multicultural efficacy from multicultural awareness were analyzed. This research targeted to 223 middle school teachers in GyoungGi area, and conducted a survey on awareness and efficacy of multicultures. Specific conclusion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iddle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awareness through instructional experiences o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and through numbers of educations about multicultures has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groups around total of multicultural awareness, openness, acceptance and respectation. For the multicultural efficacy by numbers of education for multicultur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round the total multicultural efficacy, general function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through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subclassified areas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efficacy of middle school teachers, there were all statistical significant correlations. That is, the area of open, acceptance and respectation of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rea of general function, instructional function,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and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multicultural efficacy. Third, in the analysis of impacts on multicultural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to multicultural efficacy, multicultural awarenes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icacy in general functions, instructional functions, promoting relations between individuals, thoughtfulness of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are subclassified in multicultural effica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요약
      • Ⅰ. 문제제기
      • Ⅱ. 연구방법
      • 1. 연구대상
      • 2. 연구도구
      • 3. 자료 분석 방법
      • Ⅲ. 연구결과
      • 1. 다문화 인식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 2.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차이분석 결과
      • 3. 다문화 인식과 효능감 간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 4.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분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2 류상희,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99-213, 2013

      3 조윤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43-58, 2010

      4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5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6 박순희, "초기 청소년의 문화적 경험과 다문화 인식: 개방성-수용성-존중성과의 관계 - G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50, 2012

      7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8 김판희, "유아용 다문화에 대한 인식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31-142, 2009

      9 윤갑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33-257, 2011

      10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교수효능감 및 유아 다문화 인식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99-318, 2012

      1 송민영, "홀리스틱 교육사상" 학지사 2006

      2 류상희,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한국실과교육학회 26 (26): 199-213, 2013

      3 조윤주, "초등학생의 다문화 인식이 다문화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관계" 한국실과교육학회 23 (23): 43-58, 2010

      4 박남수, "초등학교 교사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실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4 (14): 213-232, 2007

      5 김진철, "초등 예비 교사의 다문화 태도와 다문화 효능감에 대한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2 (42): 39-60, 2010

      6 박순희, "초기 청소년의 문화적 경험과 다문화 인식: 개방성-수용성-존중성과의 관계 - G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7-50, 2012

      7 지성애, "유치원과 초등학교의 다문화교육 실태와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51-369, 2006

      8 김판희, "유아용 다문화에 대한 인식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18 (18): 131-142, 2009

      9 윤갑정,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233-257, 2011

      10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교수효능감 및 유아 다문화 인식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299-318, 2012

      11 이채호, "유아교사용 다문화 인식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11-324, 2010

      12 권미은, "예비특수교사의 다문화 경험, 다문화 인식 및 다문화 효능감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11 (11): 5-25, 2012

      13 최현정,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태도 및 다문화 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15-338, 2012

      14 노성향, "예비보육교사의 다문화 경험이 다문화교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교육인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보육학회 13 (13): 81-95, 2013

      15 김현주, "예비보육교사와 현직보육교사의 다문화 교육에 관한 인식" 한국아동교육학회 17 (17): 117-128, 2008

      16 송민영, "배려 중심의 홀리스틱 교육과정과 수업 방법"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3 (13): 19-36, 2009

      17 전미순, "대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3 (3): 9-14, 2013

      18 김범수, "다문화사회 이해 및 개론, In 다문화전문상담원 양성과정 자료집" 평택대학교 다문화가족센터 2009

      19 김선미, "다문화교육의 개념과 사회과 적용에 따른 문제" 4 : 63-81, 2000

      20 김홍운, "다문화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29 (29): 47-63, 2008

      21 안병환, "고등학교 학생들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연구"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6 (16): 43-66, 2012

      22 모경환, "경기도 초·중등 교사들의 다문화적 효능감에 대한 조사 연구" 한국사회과교육학회 39 (39): 163-182, 2007

      23 추병완, "Valerie O. Pang의 배려 중심 다문화교육론"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15 (15): 1-19, 2011

      24 Guyton, E. M., "The multicultural efficacy scale: Development, item selection, and reliability" 7 (7): 21-29, 2005

      25 Munroe, A., "The 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A new instrument for multicultural studies" 66 (66): 819-834, 2006

      26 Chen, G.,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2000

      27 Bandura, A.,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W. H. Freeman & Company 1977

      28 Fritz, W., "Measur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Different Cultural Context" 2001

      29 Ambrosio, P., "Assessment of Multicultural/Diversity Outcomes Grant a Collaborative Effort Between the Teachers College and the College of Liberal Arts and Sciences"

      30 Banks, J. A.,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Pearson Education Alllyn and Bacon 2008

      31 안전행정부, "2013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주민 현황 조사결과"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