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지자본주의의 정동정치와 시의 정치적 위상 = The ‘politics of affect’ in cognitive capitalism and the political status of poetry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조정환에 따르면 인지자본주의는 상업자본주의, 산업자본주의에 이어 나타난 제3기의 자본주의로서, “인지노동의 착취를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 자본주의”이다. 인지는 일상생활 속에서 ...

      조정환에 따르면 인지자본주의는 상업자본주의, 산업자본주의에 이어 나타난 제3기의 자본주의로서, “인지노동의 착취를 주요한 특징으로 삼는 자본주의”이다.
      인지는 일상생활 속에서 항상적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인지능력의 착취란 삶의 착취에 다름 아니다. 인지자본주의 권력 장치는 불안정한 삶을 양산하거나 불안의 정동을 직접적으로 생산하는 방식으로 보편화하고, 불안을 우울증 및 무기력증과 결합시킨다. 인지자본주의의 지배 권력에게는 대중의 정동의 흐름을 어떻게 관리하고 통제하여 불안과 무기력, 슬픔과 미움 쪽으로 조작하느냐가 통치의 관건이다. 반면 어떻게 대중의 무기력과 슬픔의 정동을 사랑의 연대를 통한 기쁨의 정동으로 이행하게 하느냐가 피지배계급의 저항정치의 관건이다. 그리하여 대중의 집단적 정동은 ‘정동정치’의 장이 되며, 문학예술, 특히 시의 정동을 이행시키는 능력은 예전보다 더욱 중요한 미학적•정치적 의미를 갖게 된다. 시는 일상생활의 잠재적 장 속에 정치적인 것을 관통시키면서, 강도 높은 정동을 촉발하고 우리의 행동 능력을 확장시킨다. 백무산의 시집 폐허를 인양하다는 인지자본주의의 ‘정동정치’ 시대에 대응하는 시의 정치적 능력과 위상을 잘 보여준다. 백무산에 따르면, 폐허가 되고 있는 주체성을 절박하게 인식할 때에야 현 시대의 인간이 대지의 인간으로 나아갈 수 있는 가능성이 생긴다. 또한 그는 폐허를 이루
      는 주변부 존재들의 틈 사이에서 무엇인가가 생성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러한 제시는 논리적 설득이 아니라 이미지와 상징을 통해 이루어짐으로써, 우리의 정동을 촉발하고 능동적인 방향으로 이행시킨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collection of poems Salvaging the ruins which Musan Baek published recently gives an instance of Korean poetry which resists the ‘politics of affect’ in this period of cognitive capitalism. According to Musan Baek’s remark, only when we rea...

      The collection of poems Salvaging the ruins which Musan Baek published recently gives an instance of Korean poetry which resists the ‘politics of affect’ in this period of cognitive capitalism. According to Musan Baek’s
      remark, only when we realize our desperately ruinous independence will it be for contemporary humans to advance towards earth-humans. In this way, poetry not only penetrates some sort of politics in the potential
      field of daily life but also brings about an intense affect and expands our ability to act. How the ruling power of cognitive capitalism not only manages but also controls and manipulates the flow of public affect is a key point of
      its reign. Meanwhile, how the subjugated class transfers public lethargy and the affect of sorrow to an affect of delight by means of the solidarity of love a key point of resistance-polit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인지자본주의와 정동정치
      • Ⅱ. 인지자본주의에서 정동과 이데올로기의 관계
      • Ⅲ. 정동정치와 시의 정치적 위상
      • IV. 정동정치 시대의 최근 한국시 – 백무산의 [폐허를 인양하다]를 중심으로
      • IV. 결론]
      • Ⅰ. 인지자본주의와 정동정치
      • Ⅱ. 인지자본주의에서 정동과 이데올로기의 관계
      • Ⅲ. 정동정치와 시의 정치적 위상
      • IV. 정동정치 시대의 최근 한국시 – 백무산의 [폐허를 인양하다]를 중심으로
      • IV.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은영, "훔쳐가는 노래" 창비 2012

      2 백무산, "폐허를 인양하다" 창비 2015

      3 프랑코 베라르디(비포), "죽음의 스펙터클" 반비 2016

      4 패트리샤 T. 클라프,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5 브라이언 마수미,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6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1

      7 이성혁, "이미지의 권력’과 ‘이미지-혁명" (가을) : 2014

      8 조강석, "이미지 모티폴로지" 문학과지성사 2014

      9 이비드 버스, "위험한 열정 - 질투" 추수밭 2006

      10 루이 알튀세르, "역사적 맑스주의" 새길 1993

      1 진은영, "훔쳐가는 노래" 창비 2012

      2 백무산, "폐허를 인양하다" 창비 2015

      3 프랑코 베라르디(비포), "죽음의 스펙터클" 반비 2016

      4 패트리샤 T. 클라프,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5 브라이언 마수미, "정동 이론" 갈무리 2015

      6 조정환, "인지자본주의" 갈무리 2011

      7 이성혁, "이미지의 권력’과 ‘이미지-혁명" (가을) : 2014

      8 조강석, "이미지 모티폴로지" 문학과지성사 2014

      9 이비드 버스, "위험한 열정 - 질투" 추수밭 2006

      10 루이 알튀세르, "역사적 맑스주의" 새길 1993

      11 질 들뢰즈, "스피노자의 철학" 민음사 2001

      12 복도훈, "세계의 끝 : 최근 한국소설에 나타난 재난의 상상력과 이데올로기적 증상" 인문학연구원 (42) : 7-42, 2011

      13 이성혁, "미래의 시를 향하여" 갈무리 2013

      14 빠울로 비르노, "다중" 갈무리 2004

      15 프랑코 베라르디(비포), "노동하는 영혼" 갈무리 2012

      16 홍정표, "김동리의 단편 소설 ??황토기??에 나타난 질투의 기호학적 분석" 한국기호학회 22 (22): 383-432, 2007

      17 브라이언 마수미, "가상계" 갈무리 2011

      18 최원, "‘정동 이론’ 비판" (여름) :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7 0.37 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 0.70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