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윤진숙, "현행 입양특례법에 대한 소고 - 미국 입양법과 비교를 통한 미혼모와 입양아의 인권 보호 -" 법학연구원 24 (24): 159-184, 2014
2 윤재영, "해석학적 근거이론에 기반한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과정 경험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29-254, 2015
3 김혜영, "한국의 가족주의와 미혼모: 배제와 불온의 이중성" 여성학연구소 6 (6): 7-41, 2013
4 송지현,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7) : 31-58, 2014
5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6 남미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70, 2011
7 김지연,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8 성정현,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3) : 223-258, 2011
9 주범,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자립형 보호시설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21-28, 2007
10 남연희, "지체장애인의 자립도와 자립생활 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9 (9): 81-110, 2005
1 윤진숙, "현행 입양특례법에 대한 소고 - 미국 입양법과 비교를 통한 미혼모와 입양아의 인권 보호 -" 법학연구원 24 (24): 159-184, 2014
2 윤재영, "해석학적 근거이론에 기반한 성인 지적장애인의 자립생활 과정 경험 탐색"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7 (17): 229-254, 2015
3 김혜영, "한국의 가족주의와 미혼모: 배제와 불온의 이중성" 여성학연구소 6 (6): 7-41, 2013
4 송지현, "청소년의 자립의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부모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37) : 31-58, 2014
5 홍봉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9-52, 2011
6 남미애,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141-170, 2011
7 김지연, "청소년 한부모가족 종합대책 연구Ⅱ"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3
8 성정현, "청소년 미혼모의 대안학교 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3) : 223-258, 2011
9 주범, "청소년 미혼모를 위한 자립형 보호시설 연구"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5 (5): 21-28, 2007
10 남연희, "지체장애인의 자립도와 자립생활 서비스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9 (9): 81-110, 2005
11 박안나, "지적장애인 자립생활기술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개념도 연구법(concept mapping)을 활용하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3) : 93-118, 2014
12 권봉희, "인형 만들기 중심의 집단미술치료가 시설 미혼모의 애착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985-1007, 2015
13 이현주, "원가족이 경험한 양육 미혼모의 임신 및 출산 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1) : 143-174, 2011
14 최경화, "양육미혼모의 삶의 과정에 관한 연구" 평택대학교 대학원 2006
15 김희주, "양육미혼모들의 차별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36) : 121-155, 2012
16 임해영, "양육 결정 미혼모의 초기 모성 경험에 관한 연구 -해석학적 근거이론 방법-"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5 (45): 35-69, 2014
17 김혜영, "십대 청소년 미혼모의 출산 및 양육경험 : 주체와 타자의 경계에서" 한국여성학회 26 (26): 101-131, 2010
18 김예성,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42) : 7-32, 2015
19 강철희, "시설보호아동의 자립준비 실태에 관한 연구: 퇴소를 준비하고 있는 아동과퇴소 후 자립지원시설에 거주하는 아동을 대상으로" 1 : 170-212, 2002
20 안재진, "시설미혼모의 양육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관계망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권리학회 10 (10): 605-624, 2006
21 김희성, "빈곤가정 청소년의 자립준비에 대한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6 (56): 135-157, 2004
22 문정숙, "부모와의 정서적 유대감과 사회적 지지 및 소외감이 미혼모의 자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109-123, 2014
23 지수연, "보호시설 청소년미혼모의 학습된 무기력 감소를 위한 예비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5 (5): 13-20, 2012
24 성정현, "미혼모지원시스템 정비를 위한 연구" 서울특별시 2014
25 김지혜, "미혼모자시설의 서비스 네트워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263-296, 2012
26 김지혜, "미혼모의 현황과 정책 과제" 69 : 100-106, 2013
27 성정현, "미혼모의 임신출산위기 경험과 위기해소를 위한 지원시스템 개선 방안"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7 (17): 277-309, 2015
28 김혜영, "미혼모의 양육 및자립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010
29 김혜영, "미혼모의 사회통합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9
30 정마리아, "미혼모의 사회적 지지와 희망" 6 (6): 18-33, 2000
31 이미정, "미혼모 자녀양육 및 자립지원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
32 이복숙, "미혼모 생애사 연구" 16 : 155-186, 2005
33 이준일, "미혼모 관련 법제도의 분석과 평가" 안암법학회 (42) : 1-28, 2013
34 김윤아, "미혼 양육모의 양육체험"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0 (10): 1-20, 2008
35 김혜선, "미혼 양육모의 양육 결정 체험 : 현상학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373-393, 2006
36 이성원, "미혼 양육모의 부모 역할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37 이현주, "미혼 양육모 삶의 경험에 관한 질적 종단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40) : 157-187, 2013
38 정혜숙, "미국 한인 가정폭력피해 한부모 빈곤여성들의 자활 경험" 한국사회복지학회 65 (65): 245-269, 2013
39 변호순, "미국 저소득 미혼모가구의 사회적 지지가 아동의 문제행동과 인지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아동복지학회 (36) : 133-163, 2011
40 최종혁, "공식화된 빈곤층의 자립의지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14 (14): 165-200, 2012
41 남부현, "Social Welfare Policies and Supporting Systems for Single Teen Mothers(never married) in the U. S. A. and Suggestions for Korean teen mothers" 한국농촌지도학회 17 (17): 103-135, 2010
42 Kulkarni, S., "Romance narrative, feminine ideals, and developmental detours for young mothers" 22 (22): 9-22, 2007
43 Vincent, K., "Responding to schoolgirl pregnancy: The recognition and non-recognition of difference" 12 (12): 225-236, 2009
44 Contreras, J. M., "Parenting behaviors among mainland puerto rican adolescent mothers: The role of grandmother and partner involvement" 14 (14): 341-368, 2004
45 박영희, "10대 임신 청소년 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8 : 77-97,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