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의 지명사전 편찬 동향과 지향점 = Progress and Prospect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465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and gazetteer in Korea began with modern mapping in early 20th centur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Of course, many historical geography and old maps were published in Joseon dynasty, but those books were not dictionary in terms of a mordern sense. As in Europe, systematic compilation of place names began with the topographic large-scale mapping, Mapping were led by Japan and early product of dictionary were not beyond the gazetter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place names.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began after Independence since 1945. But division of land caused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lace names because of communist ideology.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and the representatives in south Korea are Dictionary of Place Names in Korea (韓國地名總覽, 1966-1986, 20 Vol.) and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韓國地名由來集, 2008-2013, 6 Vol.). In north Korea, Dictionary of Place Names of County (고장이름사전, 2001-2002, 10 Vol.). In the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among those dictionary, origin of place name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explained through the old maps and historical geography published before the division of land.
      Even though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since 1945, dictionary with the systematic and detailed explanation about place names were very rare. This is due to many reasons. The shortage of academic research of place names or toponym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e legitimate and national-scal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should be proceed with long-terms, but divison of land is the great barrier. And the other reason is that government policy of place names are almost focused on the territorial problem, such as ‘Dokdo (獨島)’ and ‘East Sea (東海)’. This distorted distribution of resource are become the obstacles to the long-term research of place names on national scale. National Dictionary of Korea Place Names in 21th century should compiled toward the reflection of histotical context of land, diversity with standardization of place names and expandibility of database.
      번역하기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and gazetteer in Korea began with modern mapping in early 20th centur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Of course, many historical geography and old maps were published in Joseon dynasty, but those books were ...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and gazetteer in Korea began with modern mapping in early 20th century during Japanese colonial era. Of course, many historical geography and old maps were published in Joseon dynasty, but those books were not dictionary in terms of a mordern sense. As in Europe, systematic compilation of place names began with the topographic large-scale mapping, Mapping were led by Japan and early product of dictionary were not beyond the gazetter focused on the administrative place names.
      The publication of dictionary began after Independence since 1945. But division of land caused the different environment of place names because of communist ideology.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and the representatives in south Korea are Dictionary of Place Names in Korea (韓國地名總覽, 1966-1986, 20 Vol.) and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韓國地名由來集, 2008-2013, 6 Vol.). In north Korea, Dictionary of Place Names of County (고장이름사전, 2001-2002, 10 Vol.). In the the Origin of Korean Geographical Names among those dictionary, origin of place names in south and north Korea were explained through the old maps and historical geography published before the division of land.
      Even though many dictionaries of place names were published since 1945, dictionary with the systematic and detailed explanation about place names were very rare. This is due to many reasons. The shortage of academic research of place names or toponyms is the most important reasons. The legitimate and national-scale publication of dictionary of place names should be proceed with long-terms, but divison of land is the great barrier. And the other reason is that government policy of place names are almost focused on the territorial problem, such as ‘Dokdo (獨島)’ and ‘East Sea (東海)’. This distorted distribution of resource are become the obstacles to the long-term research of place names on national scale. National Dictionary of Korea Place Names in 21th century should compiled toward the reflection of histotical context of land, diversity with standardization of place names and expandibility of databas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에서 일찍부터 지리지가 백과사전 형태로 편찬되었지만 근대적인 의미의 사전은 일제강점기 지형도 제작이 계기가 되었다. 지명 조사사업의 결과인 『조선지지자료』 를 시초로 볼 수 있으나 이는 사전이라기보다는 지명 목록집(gazetteer)에 가깝다.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명을 정리한 자료집이 간행되었고, 『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역사지명이 정리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국토 분단으로 인해 지명사전은 남⋅북한이 궤적을 달리하였다. 남한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이 중 『한국지명총람』(1966-1986)과 『한국지명유래집』(2008-2013)이 대표적이다. 『한국지명총람』은 전질 20권으로 간행되어 가장 규모로 편찬되었다. 내용은 당시 중앙지명위원회의 지명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지명유래집』은 남⋅북한의 현재 지명을 대상으로 국토 분단 이전의 지도와 지리지를 이용하여 유래를 설명하였다. 북한은 1966년의 지명 조사 사업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이름사전』(2001-2002)을 발간하였다. 이 사전은 북한 지명이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적지 않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많은 지명사전이 출간되었으나 근대 이전의 지리지, 현지 조사, 도시화 등사회⋅경제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수준 있고 치밀하게 편찬된 사전은 아직 편찬되지못하고 있다. 인근 동아시아 국가와의 수준 차이는 국토의 분단 상황이 원인이기도 하나 지명 조사가 장기적인 계획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국가 차원의 지명 관심은 지명 정리 등의 기초 분야보다는 ‘독도’, ‘동해’와 같은 영토지명 연구로 집중되어 있어, 이는 연구 자원의 비합리적인 배분의 원인이 되고 있다.
      21세기의 국가 지명사전은 지명의 속성을 바탕으로 역사성과 미래의 예상되는 변화를반영하면서, 중앙 연구기관에 의한 표준화와 다양성을 동시에 실현하고 확장성이 가능한 방향으로 편찬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우리나라에서 일찍부터 지리지가 백과사전 형태로 편찬되었지만 근대적인 의미의 사전은 일제강점기 지형도 제작이 계기가 되었다. 지명 조사사업의 결과인 『조선지지자료』 를 시초로 ...

      우리나라에서 일찍부터 지리지가 백과사전 형태로 편찬되었지만 근대적인 의미의 사전은 일제강점기 지형도 제작이 계기가 되었다. 지명 조사사업의 결과인 『조선지지자료』 를 시초로 볼 수 있으나 이는 사전이라기보다는 지명 목록집(gazetteer)에 가깝다. 일제강점기에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지명을 정리한 자료집이 간행되었고, 『동국여지승람』, 『대동여지도』에 수록된 역사지명이 정리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 국토 분단으로 인해 지명사전은 남⋅북한이 궤적을 달리하였다. 남한에서는 1960년대 이후에 본격적으로 편찬되었고, 이 중 『한국지명총람』(1966-1986)과 『한국지명유래집』(2008-2013)이 대표적이다. 『한국지명총람』은 전질 20권으로 간행되어 가장 규모로 편찬되었다. 내용은 당시 중앙지명위원회의 지명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하였다. 『한국지명유래집』은 남⋅북한의 현재 지명을 대상으로 국토 분단 이전의 지도와 지리지를 이용하여 유래를 설명하였다. 북한은 1966년의 지명 조사 사업결과를 바탕으로 『고장이름사전』(2001-2002)을 발간하였다. 이 사전은 북한 지명이사회주의 이념을 바탕으로 적지 않게 변화되었음을 보여준다.
      그동안 많은 지명사전이 출간되었으나 근대 이전의 지리지, 현지 조사, 도시화 등사회⋅경제적인 변화를 바탕으로 수준 있고 치밀하게 편찬된 사전은 아직 편찬되지못하고 있다. 인근 동아시아 국가와의 수준 차이는 국토의 분단 상황이 원인이기도 하나 지명 조사가 장기적인 계획하에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국가 차원의 지명 관심은 지명 정리 등의 기초 분야보다는 ‘독도’, ‘동해’와 같은 영토지명 연구로 집중되어 있어, 이는 연구 자원의 비합리적인 배분의 원인이 되고 있다.
      21세기의 국가 지명사전은 지명의 속성을 바탕으로 역사성과 미래의 예상되는 변화를반영하면서, 중앙 연구기관에 의한 표준화와 다양성을 동시에 실현하고 확장성이 가능한 방향으로 편찬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한글학회 2009

      2 한국하천협회, "한국하천지명사전" 국토교통부 2011

      3 국토해양부, "한국하천일람"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09

      4 대한지리학회, "한국지지 Ⅰ-Ⅴ" 국립지리원 1988

      5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문교부 1986

      6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북한편" 국토지리정보원 2013

      7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국토지리정보원 2011

      8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충청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9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10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1 한글학회, "한글학회 100년사" 한글학회 2009

      2 한국하천협회, "한국하천지명사전" 국토교통부 2011

      3 국토해양부, "한국하천일람" 국토해양부 한강홍수통제소 2009

      4 대한지리학회, "한국지지 Ⅰ-Ⅴ" 국립지리원 1988

      5 한글학회, "한국지명총람" 문교부 1986

      6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북한편" 국토지리정보원 2013

      7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경상편" 국토지리정보원 2011

      8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충청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9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중부편" 국토지리정보원 2008

      10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유래집 : 전라⋅제주편" 국토지리정보원 2010

      11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명요람" 국립지리원 1983

      12 권상로, "한국지명연혁고" 동국문화사 1961

      13 홍시환, "한국지명연구" 육군사관학교 1968

      14 한국지명학회, "한국지명연구" 이회문화사 2007

      15 이민우, "한국지명사전" 한국교열기자협회 1993

      16 손성우, "한국지명사전" 경인문화사 1974

      17 대한지리학회, "한국지리지 1-5" 국토지리정보원 2008

      18 송호열, "한국의 지명변천" 성지문화사 2006

      19 이영택, "한국의 지명" 태평양 1986

      20 한국측량학회, "한국의 산지" 국토지리정보원 2007

      21 한국역사지명사전 편찬위원회, "한국역사지명사전(전자)" 누리미디어 2005

      2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91

      23 한글학회, "한국 땅이름 큰 사전 상⋅중⋅하" 문교부 1991

      24 정용신, "한국 고지명사전"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93

      25 조선총독부, "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조선총독부 1942

      26 대한지리학회, "지명표준화방안연구" 국토지리정보원 2005

      27 한글학회, "지명유래집" 국립지리원 1987

      28 이민우, "지명대사전" 연합뉴스 2004

      29 마르틴 하이데거(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30 이병연, "조선환여승람" 普文社 1937

      31 평화문제연구소, "조선향토대백과(전20권)" 평화문제연구소 2004

      32 조선총독부, "조선지형도" 조선총독부 1918

      33 임용기, "조선지지자료와 부평의 지명" 기전문화연구소 24 : 141-250, 1996

      34 조선총독부, "조선지지자료" 조선총독부 1914

      35 방린봉, "조선지명편람(전11권)" 사회과학출판사 2002

      36 小藤文次郞, "조선지명자휘" 東京帝國大學 1903

      37 리성남, "조선지명유래전자사전" 1999

      38 조창선, "조선지명연구" 사회과학출판사 2005

      39 三橋僊史, "조선지명안내" 學農社 1894

      40 박태훈, "조선지명사전" 1995

      41 정순기, "조선지명 변천에 대한 력사문헌학적 연구,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05" 사회과학출판사 2005

      42 박재수, "조선언어학에 대한 연구" 박이정 2000

      43 박재수,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언어학에 대한 연구" 사회과학원 1999

      44 박병철, "일제강점기 이후의 지명 관련 자료집 편찬과 지명" 한국지명학회 30 : 111-156, 2019

      45 최남선, "육당 최남선전집 8권" 현암사 1931

      46 김기혁, "북한의 지명관리 정책과 연구 동향 분석"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14-30, 2013

      47 국립국어원, "로마자표기용례사전" 문화관광부 2000

      48 동아출판사, "동아원색세계대백과사전" 동아출판사 1982

      49 김기혁,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6 (26): 33-54, 2014

      50 경성제국대학, "대동여지도 지명 색인" 제국대학 법문학부 1936

      51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20: 1965.11-1966. 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52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18: 1964.1-1964.12" 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53 일본육군참모부, "구한말 한반도 지형도(1:50,000)" 일본육군참모부 1890

      54 조선총독부, "구한국지방행정구역명칭일람" 조선총독부 1912

      55 김봉환, "고장이름유래집" 1986

      56 과학백과사전출판사, "고장이름사전(전10권)"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2

      57 김봉환, "고장이름변천역사" 1992

      58 下中邦彦, "日本歷史地名大系(全50卷)" 平凡社 1979

      59 박명훈, "(조선어학전서 35)조선지명학" 사회과학출판사 2005

      60 방린봉, "(조선어학전서 34)조선어명칭론" 사회과학출판사 2005

      61 오치 다다시치, "(신구대조) 조선전도부군면리동칭일람" 中央市場 19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3-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6-18 학회명변경 영문명 : Institute of Korean Culture -> 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민족문화연구 29호 -> 민족문화연구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1 0.7 1.385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