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여가활동 참여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 성별, 가구유형별 집단 비교 =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 A Comparative Study Gender and Household Typ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2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7,406 people who are 65 years and abo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 the case of older adults who are men and live with couple, voluntar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whi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arts & cultural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improv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mong aged people.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on the quality of life by comparing gender and household type. Methods: Data were drawn from the 2017 Korean Elderly Survey and the participants were 7,406 people who are 65 years and above.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version 18.0) statistical package.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revealed that participation in leisure activities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of In the case of older adults who are men and live with couple, voluntary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while for elderly women living alone, arts & cultural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quality of life.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supporting healthy leisure activities and improving the level of quality of life among aged peopl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윤혜진,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01-221, 2016

      2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3 황남희,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7-69, 2014

      4 이민석,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503-515, 2017

      5 김현정, "은퇴전환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화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92-226, 2016

      6 김예성, "독거노인의 생산적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저소득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44-374, 2015

      7 이은진,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615-628, 2010

      8 김세진,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10-138, 2017

      9 강은나,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84-215, 2017

      10 안종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9-210, 2014

      1 윤혜진, "한국 노인의 여가 및 에이징 웰(aging well)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8 (28): 201-221, 2016

      2 민주홍, "한국 노인의 사회참여가 주관적 건강 및 건강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연구: 다양한 사회참여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3 (33): 105-123, 2013

      3 황남희, "한국 노년층의 여가활동 유형화 및 영향요인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4 (34): 37-69, 2014

      4 이민석, "진지한 여가 참여 노인의 여가만족과 삶의 질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학회 56 (56): 503-515, 2017

      5 김현정, "은퇴전환기 남성 중고령자의 여가인식 유형화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92-226, 2016

      6 김예성, "독거노인의 생산적여가활동 참여에 따른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자살생각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저소득 독거노인들을 대상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5 (35): 344-374, 2015

      7 이은진, "독거노인 자살시도에 대한 우울과 여가활동 참여의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 노원구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회 30 (30): 615-628, 2010

      8 김세진, "도시지역 거주 노인의 여가시설 이용 유형과 특성에 관한 연구: 여가시설 이용노인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10-138, 2017

      9 강은나, "도시지역 1인가구 중고령자의 여가활동유형과 우울수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7 (37): 184-215, 2017

      10 안종철, "농촌 노인의 사회활동 및 여가활동이 주관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189-210, 2014

      11 이갑숙, "노인의 여가활동과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91-306, 2012

      12 임호남, "노인의 여가참여형태가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4 (24): 27-38, 2010

      13 홍석호, "노인의 여가복지시설 이용의 저해요인: 지역의 유형화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6 (36): 125-156, 2016

      14 하춘광, "노인여가시설 여가프로그램 이용 노인들의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연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7 (37): 1-12, 2013

      15 O.S. Hyun, "Welfare services for the elderly" Yangseo Pub 428-430, 2016

      16 Y.S. Lee, "The Effects of the Leisure Patter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Senior-Focused on the aged people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tion at Hansung University 2011

      17 Fullagar, S., "Leisure practives as counter-depressants: Emotion-work and emotion-play within women’ recovery from depression" 30 : 35-52, 2008

      18 Erick, V. I., "Leisure and social capital" 31 (31): 192-206, 2009

      19 Frey, B. S., "Happiness and economics"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2

      20 I.K. Choi, "A Study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Old's Leisure Activity Type"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and Seminary 2008

      21 이진욱, "65세 이상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여가활동 간의 관련성"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65-73, 2014

      22 Statistics Korea, "2018 Statistics on the Ag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의료경영학회 -> 보건의료산업학회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 1.63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