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金九鎭, "麗末鮮初豆滿江流域의 女眞分布" 백산학회 15 : 1973
2 김순남, "한국군사사 6, 조선전기 Ⅱ" 육군본부 2012
3 김순남, "조선초기의 비변대책의 수립과 시행-재상급 국방전문가의 활약을 중심으로-" 45 : 2008
4 오종록, "조선초기의 국방정책-양계(兩界)의 국방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5 이규철, "조선초기(태조대~세종대) 대외정보 수집활동의 실상과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65) : 289-318, 2007
6 오종록,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국학자료원 2014
7 김순남, "조선초기 體察使制연구" 경인문화사 2007
8 한성주, "조선의 對女眞關係와 6鎭지역 사람들" 한일관계사학회 (49) : 3-42, 2014
9 박정민,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 연구" 경인문화사 2015
10 김순남, "조선 초기 함길도의 세전관하(世傳管下)" 한국사학회 (125) : 197-228, 2017
1 金九鎭, "麗末鮮初豆滿江流域의 女眞分布" 백산학회 15 : 1973
2 김순남, "한국군사사 6, 조선전기 Ⅱ" 육군본부 2012
3 김순남, "조선초기의 비변대책의 수립과 시행-재상급 국방전문가의 활약을 중심으로-" 45 : 2008
4 오종록, "조선초기의 국방정책-양계(兩界)의 국방을 중심으로-" 한국역사연구회 13 : 1994
5 이규철, "조선초기(태조대~세종대) 대외정보 수집활동의 실상과 변화" 한국역사연구회 (65) : 289-318, 2007
6 오종록, "조선초기 양계의 군사제도와 국방" 국학자료원 2014
7 김순남, "조선초기 體察使制연구" 경인문화사 2007
8 한성주, "조선의 對女眞關係와 6鎭지역 사람들" 한일관계사학회 (49) : 3-42, 2014
9 박정민, "조선시대 여진인 내조 연구" 경인문화사 2015
10 김순남, "조선 초기 함길도의 세전관하(世傳管下)" 한국사학회 (125) : 197-228, 2017
11 金九鎭, "조선 전기 여진족의 2대 종족-오랑캐(兀良哈)과 우디캐(兀狄哈)" 白山學會 68 : 2004
12 박정민, "조선 세조대 여진인 來朝와 귀속문제" 전북사학회 (41) : 77-116, 2012
13 한성주, "조선 세조대 毛憐衛征伐과 여진인의 從軍에 대하여" 강원사학회 22・23 : 2008
14 한성주, "조선 세조대 ‘女眞 和解事’에 대한 연구 - 申叔舟의 파견을 중심으로 -" 동북아역사재단 (38) : 259-294, 2012
15 김순남, "조선 成宗代의 建州三衛" 대동문화연구원 (68) : 223-253, 2009
16 오종록, "전란으로 읽는 조선-반란과 전쟁, 혁명이 바꾼 조선과 동아시아" 글항아리 2016
17 박정민, "세조대의 여진관계와 정책 -여진인 來朝를 중심으로-" 한국사연구회 (151) : 103-135, 2010
18 한성주, "세조대(1467년) 朝鮮과 明의 建州女眞 협공에 대한 연구" 한일관계사학회 (45) : 105-139, 2013
19 이규철, "세조대 건주위 정벌과 명의 출병 요청" 한국역사연구회 (89) : 259-295, 2013
20 李麟榮, "韓國滿洲關係史의 硏究" 乙酉文化社 1954
21 車勇杰, "韓國史論7-朝鮮前期國防體制의 諸問題-" 국사편찬위원회 1980
22 姜性文, "朝鮮시대 女眞征伐에 관한 연구" 전사편찬위원회 18 : 1989
23 徐炳國, "朝鮮前期對女眞關係史" 국사편찬위원회 14 : 1990
24 오종록, "朝鮮初期의 國防觀" 震檀學會 86 : 1998
25 朴元熇, "明初朝鮮關係史硏究" 一潮閣 2002
26 오종록, "世祖의 즉위과정과 정치문화의 변동" 성신여대 인문과학연구소 31 : 2013
27 박정민, "15세기 후반 建州女眞의 생존 전략 - 조ㆍ명 연합군의 정벌과 영향을 중심으로 -" 명청사학회 (44) : 1-32,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