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東北亞 삼국의 法華三昧 行法體系 硏究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650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중․일 삼국에서 법화삼매가 어떻게 전승되었고, 그 행법체계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동북아 삼국에서 공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법화삼매 수행법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한․중․일 삼국의 천태조사들의 법화삼매 전적에 대한 수집과 정리를 통한 문헌학적 검토를 거쳤고, 그 수행법의 운용을 실제 삼국의 수행자들을 찾아 고찰하였으며, 법화삼매의 전승과 교류루트를 실제 답사를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을(<금강신문>에 답사기 게재) 취하였다.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의 慧思가 법화경을 독송하고 禪觀을 닦아 법화삼매를 증득하였다. 혜사는 처음으로 보현도량에서 사안락행을 통하여 법화삼매를 깨달아 이를 법화경 실천 수행법으로 제시하였다.
      慧思에 의해 창안된 법화삼매 수행법은 천태에 계승되었고, 천태는 法華三昧懺儀로 행법화하였다. 이 수행법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져서 천태대사 법화삼매참의라는 단일의 법화삼매수행법이 삼국의 천태종에서 수용되어 동북아시아 삼국이 공통의 수행법이면서 각국의 실정에 맞는 특징있는 법화삼매수행법으로 전개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천태대사가 자신이 체득한 법화삼매를 法華三昧懺儀라는 수행집으로 편찬하고 마하지관을 통하여 지관법문으로 수용하였다. 그 수행법은 천태의 제자 灌頂에 이어지고, 천태학의 중흥조였던 湛然, 천태학을 크게 발전시킨 知禮와 遵式으로 전승되었다.
      중국에 전승된 법화삼매 수행법은 법화삼매참의로부터 관법과 참회법을 중심으로 변용이 일어나 시대적 흐름이 반영되었다.
      일본에서는 자각대사의 法華懺法이 전하는데, 여기에는 법화삼매참의에서 몇 가지 수행법을 가감한 의식화된 수행을 보여주고 있다. 후대에 定珍을 비롯한 다수의 법화참법 주석서가 있고, 법화삼매 전문수행 도량으로 법화삼매당을 두어 수행한 것으로 보아 매우 활발히 수행되었다. 일본의 법화삼매 수행법은 참회법과 여러 작법이 첨가되고, 수행법을 간소화하여 축약된 법화삼매가 신행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백제 玄光이 혜사로부터 법화삼매를 일깨움 받고 돌아와 웅주에서 처음 실천법화의 법을 폈고, 그후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연후 백련사에서 수행되었다. 한편 근래에 발견된 우리나라의 묘법연화경삼매참법은 기존의 중국과 일본에서 신행되는 수행법의 변용을 뛰어 넘는 획기적인 행법으로 전개되었다. 그것은 기존 수행법들은 모두 법화경 전품을 상대로 한 법화삼매 수행법이었으나, 고려의 것은 법화경 각 품에 하나씩의 법화삼매수행법을 개발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것은 전품이 같은 법화삼매의 경지에 들어가지만 각 품마다의 특성이 있어서 이를 고려하여 수행법을 창안한 것이다. 때문에 각 품 서두마다 독송에 이어 각 품에 맞는 작관(作觀)이 되도록 하였고, 각 품에 맞는 수행의식을 두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 삼국의 법화삼매 수행법은 관법과 참회행 독송법 등에 따라 특징있는 수행법을 구사하고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한․중․일 삼국에서 법화삼매가 어떻게 전승되었고, 그 행법체계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동북아 삼국에서 공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법화삼매 수행법의 특징을 밝...

      이 연구는 한․중․일 삼국에서 법화삼매가 어떻게 전승되었고, 그 행법체계가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고찰하여 동북아 삼국에서 공통적으로 행해지고 있는 법화삼매 수행법의 특징을 밝힌 것이다.
      연구의 진행방법은 한․중․일 삼국의 천태조사들의 법화삼매 전적에 대한 수집과 정리를 통한 문헌학적 검토를 거쳤고, 그 수행법의 운용을 실제 삼국의 수행자들을 찾아 고찰하였으며, 법화삼매의 전승과 교류루트를 실제 답사를 통하여 확인하는 방법을(<금강신문>에 답사기 게재) 취하였다.
      법화삼매 수행법은 중국의 慧思가 법화경을 독송하고 禪觀을 닦아 법화삼매를 증득하였다. 혜사는 처음으로 보현도량에서 사안락행을 통하여 법화삼매를 깨달아 이를 법화경 실천 수행법으로 제시하였다.
      慧思에 의해 창안된 법화삼매 수행법은 천태에 계승되었고, 천태는 法華三昧懺儀로 행법화하였다. 이 수행법은 한국과 일본에도 전해져서 천태대사 법화삼매참의라는 단일의 법화삼매수행법이 삼국의 천태종에서 수용되어 동북아시아 삼국이 공통의 수행법이면서 각국의 실정에 맞는 특징있는 법화삼매수행법으로 전개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천태대사가 자신이 체득한 법화삼매를 法華三昧懺儀라는 수행집으로 편찬하고 마하지관을 통하여 지관법문으로 수용하였다. 그 수행법은 천태의 제자 灌頂에 이어지고, 천태학의 중흥조였던 湛然, 천태학을 크게 발전시킨 知禮와 遵式으로 전승되었다.
      중국에 전승된 법화삼매 수행법은 법화삼매참의로부터 관법과 참회법을 중심으로 변용이 일어나 시대적 흐름이 반영되었다.
      일본에서는 자각대사의 法華懺法이 전하는데, 여기에는 법화삼매참의에서 몇 가지 수행법을 가감한 의식화된 수행을 보여주고 있다. 후대에 定珍을 비롯한 다수의 법화참법 주석서가 있고, 법화삼매 전문수행 도량으로 법화삼매당을 두어 수행한 것으로 보아 매우 활발히 수행되었다. 일본의 법화삼매 수행법은 참회법과 여러 작법이 첨가되고, 수행법을 간소화하여 축약된 법화삼매가 신행되었다.
      우리나라에는 백제 玄光이 혜사로부터 법화삼매를 일깨움 받고 돌아와 웅주에서 처음 실천법화의 법을 폈고, 그후 대각국사 의천이 천태종을 연후 백련사에서 수행되었다. 한편 근래에 발견된 우리나라의 묘법연화경삼매참법은 기존의 중국과 일본에서 신행되는 수행법의 변용을 뛰어 넘는 획기적인 행법으로 전개되었다. 그것은 기존 수행법들은 모두 법화경 전품을 상대로 한 법화삼매 수행법이었으나, 고려의 것은 법화경 각 품에 하나씩의 법화삼매수행법을 개발하여 수행한 것이다. 이것은 전품이 같은 법화삼매의 경지에 들어가지만 각 품마다의 특성이 있어서 이를 고려하여 수행법을 창안한 것이다. 때문에 각 품 서두마다 독송에 이어 각 품에 맞는 작관(作觀)이 되도록 하였고, 각 품에 맞는 수행의식을 두었다. 이와 같이 동북아시아 삼국의 법화삼매 수행법은 관법과 참회행 독송법 등에 따라 특징있는 수행법을 구사하고 있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