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고는 20세기 이전에 세워진 누정 가운데 현존하는 무등산권 누정 전체를 살폈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에 15동, 나주시에 22동, 장성군에 8동, 담양군에 14동, 화순군에 22동 등 총 81동이 있...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741719
2015
Korean
무등산권 ; 광주광역시 ; 나주시 ; 장성군 ; 담양군 ; 화순군 ; 누정 ; 누정문화 ; 누정문화지도 ; 호남 누정 ; Mt ; Mudeung Zone ; Gwangju city ; Naju city ; Jangsungcounty ; Damyang county ; Hwasun county ; Cultural Map of Pavilion Literature
KCI등재
학술저널
229-266(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고는 20세기 이전에 세워진 누정 가운데 현존하는 무등산권 누정 전체를 살폈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에 15동, 나주시에 22동, 장성군에 8동, 담양군에 14동, 화순군에 22동 등 총 81동이 있...
본 논고는 20세기 이전에 세워진 누정 가운데 현존하는 무등산권 누정 전체를 살폈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에 15동, 나주시에 22동, 장성군에 8동, 담양군에 14동, 화순군에 22동 등 총 81동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또한 문화적인 관점에서 시단을 형성한 누정을 특히, 강조하였다. 그 결과 광주광역시는 부용정, 삼괴정, 읍취정, 풍암정, 풍영정, 호가정, 환벽당 등에서, 나주시는 가오정, 남파정, 소요정, 영모정, 장춘정등에서 많은 문인들이 드나들어 시단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장성군은 관수정과 요월정에서, 담양군은 독수정, 면앙정, 서하당, 소쇄원의 제월당과 광풍각, 송강정, 식영정 등에서, 그리고 마지막 화순군은 오현당, 망미정, 물염정, 임대정, 영벽정, 침수정, 송석정 등에서 주로 시단이 형성되어 시문이 지어졌음을 보았다. 본 논고는 이상의 내용을 정리한 것을 우선 만족하면서 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호남의 전체 누정을 지도로 표시해볼 필요가 있다. 지도는 무엇보다도 입체적이면서 일목요연하게 한 눈에 전체를 볼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만일호남의 전체 누정을 도상에 표시해본다면, 지역별 편차 및 특징 등이 구체적으로 드러나리라고 생각한다. 둘째, 누정에서 시단이 형성되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앞으로 구체적인 연구 대상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현재까지 호남 누정의 경우, 문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기는 했지만, 아쉽게도 일정 지역의 몇몇 누정에 치우쳐 있었다. 앞으로의 누정 연구는 이러한 쏠림 현상을 지양하면서 다양한 누정을 대상으로 다각도의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호남의 전체 누정을 세기별로 정리할 필요가 있다. 이는 누정도 하나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는 인식에서 더욱 그러한데, 그러면서 출입한 문인들의 양상을 파악할 수도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pavilions in Mt. Mudeung which had been built before the twentieth centur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are 15 ones in Gwangju city, 22 in Naju city, 8 in Jangsung county, 14 in Damyangcounty and 22 in Hwasun...
This study examined existing pavilions in Mt. Mudeung which had been built before the twentieth century. As a result,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are 15 ones in Gwangju city, 22 in Naju city, 8 in Jangsung county, 14 in Damyangcounty and 22 in Hwasun county. This study focused on the pavilions which had poetical circles in a cultural view and found that a great number of literary persons were active in literary activities and poetic circles were formulated in the following places: Buyong pavilion, Samgwe pavilion, Eupchi pavilion, Pungam pavilion, Pungyoung pavilion, Hoga pavilion, and Hwangbyeok pavilion in Gwangju; Gao pavilion, Nampa pavilion, Soyo pavilion, Yongmo pavilion, Youngmo pavilion, and Jangchun pavilion; Gwansu pavilion and Yowol pavilion inJangsung; Doksu pavilion, Myonang pavilion, Seoha pavilion, Jewoldang and Gwangpung pavilion in Soswaewon, Songgang pavilion and Sikyoung pavilion in Damyang; and Ohyun pavilion, Mangmi pavilion, Mulyeom pavilion, Imdae pavilion, Yongbyeok pavilion, Chimsu pavilion, and Songseok pavilion in Hwasun. This study examined some of main pavilions and presents future tasks to be done: First, entire pavilions in Honam area should be mapped. Maps organize the areas in easily accessible manner. If the entire pavilions of this area are marked on the map, regional differences and features can be specifically displayed. Second, future studies should focus on formation of poetic circles in pavilions. There were previous studies on literary activities in pavilions of Honam areas, but they focused on only a few pavilions. Further studies should expand the range of the subjects in various angles. Third, the entire pavilions in Honam area should be organized in chronological manner to identify various aspects of literary persons who were engaged in pavilion literature as pavilions have their own history.
고전소설 무덤 소재의 현대적 전승 양상과 의미 -<만복사저포기>와 <영혼은 호수로 가잠든다>를 중심으로
401年, 광개토왕(廣開土王)10년(年)-404年 광개토왕(廣開土王)13년(年) 동아시아의 정세와 고구려(高句麗)의 동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