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개혁을 위한 홀리스틱 교육의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119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교육개혁운동은 4가지 길을 걷고 있다. 제1의 길은 초기 복지국가의 정부의 강력한 지원에 기초하고 있다. 제2의 길은 레이건과 대처로 대표되는 보수당의 관료주의와 시장주의 중심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제3의 길은 좌파의 경직성과 우파의 불평등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Blair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제4의 길은 신자유주의 극복하고 현장 학교 중심으로 교사의 전문적 자율성을 존중하는 핀란드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지금이 사회적․교육적 개혁을 할 수 있는 제4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가정 적합한 시기이다. 전문적이고 민주적인 제4의 길은 교사의 전문성, 상호 의존, 지역사회 참여, 교사와 학생의 권한부여, 집단적 용기, 전문적 네트워킹, 정성을 기울인 학습과 가르침, 지성적 책임을 중시한다. 21세기를 향한 제4의 길은 교육자에게 개방적일 뿐만 아니라, 공유된 목적을 가지고 그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학교체제는 한 번에 당락을 결정하는 고부담 테스트 중심에서 벗어나 교육의 변화를 위한 혁신, 창의성, 그리고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를 고무시킨다. 이런 생각은 오늘날 시의적절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제4의 세계교육개혁 방식으로 보이는 홀리스틱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통전성, 전인교육, 삶의 경험, 관계성, 선택의 자유, 참여민주주의, 우주적 자아, 생태체계, 영혼, 궁극성, 지구적 시민성에 중심 가치를 두는 낭만주의, 영성주의, 페미니즘, 생태주의, 다문화주의 등의 철학에 기반을 둔 홀리스틱 교육은 바로 제4의 길에 적합한 방식이다. 이제 한국 교육개혁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홀리스틱 교육에 기반해야 한다.

      번역하기

      세계교육개혁운동은 4가지 길을 걷고 있다. 제1의 길은 초기 복지국가의 정부의 강력한 지원에 기초하고 있다. 제2의 길은 레이건과 대처로 대표되는 보수당의 관료주의와 시장주의 중심의 ...

      세계교육개혁운동은 4가지 길을 걷고 있다. 제1의 길은 초기 복지국가의 정부의 강력한 지원에 기초하고 있다. 제2의 길은 레이건과 대처로 대표되는 보수당의 관료주의와 시장주의 중심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제3의 길은 좌파의 경직성과 우파의 불평등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하는 Blair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제4의 길은 신자유주의 극복하고 현장 학교 중심으로 교사의 전문적 자율성을 존중하는 핀란드의 교육개혁 방식이다. 지금이 사회적․교육적 개혁을 할 수 있는 제4의 길로 나아갈 수 있는 가정 적합한 시기이다. 전문적이고 민주적인 제4의 길은 교사의 전문성, 상호 의존, 지역사회 참여, 교사와 학생의 권한부여, 집단적 용기, 전문적 네트워킹, 정성을 기울인 학습과 가르침, 지성적 책임을 중시한다. 21세기를 향한 제4의 길은 교육자에게 개방적일 뿐만 아니라, 공유된 목적을 가지고 그들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학교체제는 한 번에 당락을 결정하는 고부담 테스트 중심에서 벗어나 교육의 변화를 위한 혁신, 창의성, 그리고 학부모와 지역사회의 참여를 고무시킨다. 이런 생각은 오늘날 시의적절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그러기에 우리는 제4의 세계교육개혁 방식으로 보이는 홀리스틱 교육으로 나아가야 한다. 통전성, 전인교육, 삶의 경험, 관계성, 선택의 자유, 참여민주주의, 우주적 자아, 생태체계, 영혼, 궁극성, 지구적 시민성에 중심 가치를 두는 낭만주의, 영성주의, 페미니즘, 생태주의, 다문화주의 등의 철학에 기반을 둔 홀리스틱 교육은 바로 제4의 길에 적합한 방식이다. 이제 한국 교육개혁의 근본적 해결을 위해서는 홀리스틱 교육에 기반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ld educational reformative movement is going forward the fourth way. The First way is based on educational reformation of the early welfare state, supported by strong public engagement;. The Second way is based on bureaucratic and market-driven educational reformation of conservative party. The Third Way is based on recovering the rigidity of the Left and the inequality of the Right in educational reformation. In some places, the Third Way politics have barely begun. The fourth way goes beyond the neo-liberal education reformation and is to come up with Finlandish educational reformation which respects professional autonomy of teachers. It is high time for a new Fourth Way of the new social and educational reform. The Fourth Way for educational change integrates teacher professionalism, interdependence, community engagement, empowerment, collective courage, inclusiveness, public involvement, students as partners in change, mindful learning and teaching. and intellectual accountability. This Way challenges our current thinking about the dominant educational change driven by the neo-liberal education reformation. School systems for the 21st century must move away from a culture of high-stakes testing, encourage innovation and creativity, and engage parents and communities in educational change and are timely and relevant for educational leaders today. Thus, the holistic education rooted in romanticism, spiritualism, feminism, ecology, multiculturalism such as wholeness, whole education, life experience, relationship, freedom of choice, participatory democracy, cosmic self, eco-system, ultimacy, global citizenship, is very suitable for being directed towards the fourth way. Now, the education reformation in Korea with the Second Way should depend on turning toward the holistic education to radical solution.

      번역하기

      World educational reformative movement is going forward the fourth way. The First way is based on educational reformation of the early welfare state, supported by strong public engagement;. The Second way is based on bureaucratic and market-driven edu...

      World educational reformative movement is going forward the fourth way. The First way is based on educational reformation of the early welfare state, supported by strong public engagement;. The Second way is based on bureaucratic and market-driven educational reformation of conservative party. The Third Way is based on recovering the rigidity of the Left and the inequality of the Right in educational reformation. In some places, the Third Way politics have barely begun. The fourth way goes beyond the neo-liberal education reformation and is to come up with Finlandish educational reformation which respects professional autonomy of teachers. It is high time for a new Fourth Way of the new social and educational reform. The Fourth Way for educational change integrates teacher professionalism, interdependence, community engagement, empowerment, collective courage, inclusiveness, public involvement, students as partners in change, mindful learning and teaching. and intellectual accountability. This Way challenges our current thinking about the dominant educational change driven by the neo-liberal education reformation. School systems for the 21st century must move away from a culture of high-stakes testing, encourage innovation and creativity, and engage parents and communities in educational change and are timely and relevant for educational leaders today. Thus, the holistic education rooted in romanticism, spiritualism, feminism, ecology, multiculturalism such as wholeness, whole education, life experience, relationship, freedom of choice, participatory democracy, cosmic self, eco-system, ultimacy, global citizenship, is very suitable for being directed towards the fourth way. Now, the education reformation in Korea with the Second Way should depend on turning toward the holistic education to radical solu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위기의 한국교육
      • Ⅱ. 세계교육개혁운동의 흐름
      • Ⅲ. 제4의 교육개혁운동에 조응하는 홀리스틱 교육
      • Ⅳ. 결론
      • 요약
      • Ⅰ. 위기의 한국교육
      • Ⅱ. 세계교육개혁운동의 흐름
      • Ⅲ. 제4의 교육개혁운동에 조응하는 홀리스틱 교육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日本ホリスティック敎育硏究會,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책사랑 1999

      2 Miller, J.,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2003

      3 곽덕주,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학지사 2011

      4 양은주, "아동기의 철학적 이해에 근거한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07-138, 2013

      5 이찬승, "교육을 망치는 세균(GERM), 이를 박멸할 해독제는 무엇인가?"

      6 Nussbaum, M.,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1

      7 이찬승, "공교육 정상화의 주요 장애요인(1)과 해결방안 모색"

      8 강순원, "강순원의 대안학교 기행"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3

      9 Miller, R., "What are schools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n culture" Holistic Education Press 1997

      10 Richards, M. C., "Toward wholeness: Rudolf Steiner education in America"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0

      1 日本ホリスティック敎育硏究會, "홀리스틱 교육의 이해" 책사랑 1999

      2 Miller, J., "홀리스틱 교육과정" 책사랑 2003

      3 곽덕주, "지식사회와 학교교육" 학지사 2011

      4 양은주, "아동기의 철학적 이해에 근거한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한국교육철학학회 35 (35): 107-138, 2013

      5 이찬승, "교육을 망치는 세균(GERM), 이를 박멸할 해독제는 무엇인가?"

      6 Nussbaum, M., "공부를 넘어 교육으로" 궁리 2011

      7 이찬승, "공교육 정상화의 주요 장애요인(1)과 해결방안 모색"

      8 강순원, "강순원의 대안학교 기행" 한신대학교 출판부 2013

      9 Miller, R., "What are schools for: Holistic education in American culture" Holistic Education Press 1997

      10 Richards, M. C., "Toward wholeness: Rudolf Steiner education in America"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0

      11 Hargreaves, A., "The fourth way: The inspiring future for educational change" Corwin/Sage 2009

      12 Mahmoudi, S., "Holistic education: An approach for 21 century" 5 (5): 178-186, 2012

      13 Sahlberg, P., "Finnish lessons: What can the world learn from educational change in Finland?" Teachers College Press 2011

      14 Lewis, H. R., "Excellence without a soul" PublicAffairs 2007

      15 Sahlberg, P., "Education policies for raising student learning: the Finnish approach" 22 (22): 147-171, 2007

      16 Tomlinson, S., "Education in a post-welfare society" Open University Press 2005

      17 Brooks, B. H., "Education for culture of peace through holistic education: A case study of the Robert Muller School of Fairview, Texas" McGill University 2006

      18 Nakagawa, Y., "Eastern philosophy and holistic education" University of Toronto 2000

      19 Miller, R., "Beyond reductionism: The emerging holistic paradigm in education" 28 (28): 382-393, 2000

      20 Woods, P., "Alternative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Philosophies, approaches, visions" Palgrave Macmillan 2009

      21 Carnie, F., "Alternative approaches to education" RoutledgeFalmer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7-02-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7-02-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홀리스틱교육연구 ->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olistic Education -> Journal of Holistic Convergence Education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6-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6-19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홀리스틱교육실천학회 ->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Practical Research In Holistic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2 1.12 1.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6 1.21 1.342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