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인자, "현대소설 크로노토프들의 대화성과 교섭적 읽기" 한국문학교육학회 (31) : 267-289, 2010
2 나경수, "한국의 신화" 한얼미디어 2005
3 김난주, "한국의 신화" 집문당 2007
4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한국문학과 환상성" 예림기획 2001
5 홍순애,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브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4 : 57-79, 2017
6 최인자, "크로노토프의 文化的 解析을 통한 小說讀書" 1 : 217-236, 1996
7 최인자,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해방" 크로노토프의 양상" 18 : 164-171, 2012
8 Freud, J.,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프로이트 전집, 18" 열린책들 1996
9 최영자, "조정래의 <아리랑>과 莫言의 <紅高粱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305-331, 2016
10 Mikhailovich, Bakhtin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1988
1 최인자, "현대소설 크로노토프들의 대화성과 교섭적 읽기" 한국문학교육학회 (31) : 267-289, 2010
2 나경수, "한국의 신화" 한얼미디어 2005
3 김난주, "한국의 신화" 집문당 2007
4 서강여성문학연구회, "한국문학과 환상성" 예림기획 2001
5 홍순애, "한국근대소설의 ‘길’ 모티브와 크로노토프(chronotope)" 동덕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4 : 57-79, 2017
6 최인자, "크로노토프의 文化的 解析을 통한 小說讀書" 1 : 217-236, 1996
7 최인자, "채만식 소설에 나타난 "해방" 크로노토프의 양상" 18 : 164-171, 2012
8 Freud, J., "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프로이트 전집, 18" 열린책들 1996
9 최영자, "조정래의 <아리랑>과 莫言의 <紅高粱家族>에 나타난 탈식민지적 크로노토프 비교 연구" 한중인문학회 (51) : 305-331, 2016
10 Mikhailovich, Bakhtin M., "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 1988
11 조미숙, "염상섭 『효풍』의 크로노토프 연구 - '응접실', '길', '문턱'의 크로노토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66) : 167-197, 2020
12 황유진, "여성인물의 여정(旅程) 성장담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13 이소운, "여로형 소설의 크로노토프" 국어교육학회(since1969) (41) : 247-282, 2007
14 서정기, "신화와 상상력" 살림 2010
15 나병철, "식민지 근대의 공간과 탈식민적 크로노토프" 현대문학이론학회 (47) : 151-177, 2011
16 윤원철, "시간이란" 평단문화사 [서울] 2013
17 소광섭, "시간의 순례자" 월간원광사 2013
18 한국동서철학회, "시간과 철학" 철학과 현실사 2009
19 한용환, "소설학 사전" 문예출판사 1999
20 안숙원, "소설의 크로노토프와 여성 서사시학(Ⅰ) - ≪토지≫를 대상으로 -" 한국현대소설학회 (21) : 205-230, 2004
21 권덕하, "소설의 대화이론" 소명출판 2002
22 신진숙, "생태적 글쓰기와 신화적 상상력의 상관성 고찰 -환동해(環東海) 고래 이야기와 생태소설 『꽃피는 고래』를 중심으로-" 한국근대문학회 (26) : 285-322, 2012
23 이종건, "살아 있는 시간" 궁리 2016
24 최미숙, "베르그송과 기억의 문제 ― 물질과 기억을 중심으로 ―" 한국철학회 (93) : 185-208, 2007
25 한상우, "베르그송 읽기" 세창미디어 2015
26 신명희, "발달심리학" 학지사 2013
27 최영자, "박경리 『토지』의 크로노토프 양상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633-646, 2018
28 여홍상, "바흐친과 문학 이론" 문학과 지성사 1997
29 서정철, "바흐찐과 크로노토프(chronotope)- 라블레의 소설 연구를 중심으로 -" 외국문학연구소 (08) : 251-278, 2001
30 김대행,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1999
31 이대규, "문학교육과 수용론" 이회문화사 1998
32 김병욱, "문학과 문학교육" 문학과 문학교육연구소 2000
33 김형경, "꽃피는 고래" 창비 2008
34 송명희, "김정한 소설의 크로노토프-'섬'을 공간으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8 (8): 107-136, 2004
35 오양진, "김동리 소설에 나타난 자연의 크로노토프 연구 - 「까치 소리」를 중심으로 -" 민족문화연구원 (55) : 197-226, 2011
36 김종구, "「메밀꽃 필 무렵」의 시공간과 장소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7 (7): 21-42, 2003
37 앙리 르페브르, "[단행본]공간의 생산" 에코리브르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