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忠州地方에 있어서 國內 및 導入 Silage 用 옥수수의 生産性과 地域適應性에 關한 硏究 = Studies on the Productivity and Adaptability of Foreign or Domestic Corn for Silage in Chungju Area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551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本 實驗은 導入 및 國産 옥수수 品種比較를 통해 忠州地에 적합한 Silage용 옥수수 品種의 選拔과 地域 適應性을 규명하고자 遂行했던 바 그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着穗高는 모든 品種이 杆長의 중간 이하에 위치하였으며 葉數는 中ㆍ晩生種인 P3160과 DK729가 각각 15.4와 13.7로 가장 많았다.
      2. 倒伏, 缺株 및 錄色度 유지는 P3160과 DK729가 良好했다.
      3. 總 物收量은 P3160과 DK729가 他品種들에 비해 有意的(p>0.05)으로 많았으며 乾物암이삭收量도 같은 京鄕을 나타냈다.
      4. 部位別 乾物重 比率  있어서는 거의 모든 品種이 암이삭比率이 높았다.
      5. 葉面積과 個體 生長速度, 그리고 TDN 收量에 있어서는 모두 P360과 DK729 및 G 4743이 높았다.
      6. 以上의 結果로 볼 때 이곳 忠州地方에서 Silage용으로 옥수를 栽培時에는 P360과 DK729 및 G 4743 品種을 선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번역하기

      本 實驗은 導入 및 國産 옥수수 品種比較를 통해 忠州地에 적합한 Silage용 옥수수 品種의 選拔과 地域 適應性을 규명하고자 遂行했던 바 그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着穗高는 모든...

      本 實驗은 導入 및 國産 옥수수 品種比較를 통해 忠州地에 적합한 Silage용 옥수수 品種의 選拔과 地域 適應性을 규명하고자 遂行했던 바 그 결과를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着穗高는 모든 品種이 杆長의 중간 이하에 위치하였으며 葉數는 中ㆍ晩生種인 P3160과 DK729가 각각 15.4와 13.7로 가장 많았다.
      2. 倒伏, 缺株 및 錄色度 유지는 P3160과 DK729가 良好했다.
      3. 總 物收量은 P3160과 DK729가 他品種들에 비해 有意的(p>0.05)으로 많았으며 乾物암이삭收量도 같은 京鄕을 나타냈다.
      4. 部位別 乾物重 比率  있어서는 거의 모든 品種이 암이삭比率이 높았다.
      5. 葉面積과 個體 生長速度, 그리고 TDN 收量에 있어서는 모두 P360과 DK729 및 G 4743이 높았다.
      6. 以上의 結果로 볼 때 이곳 忠州地方에서 Silage용으로 옥수를 栽培時에는 P360과 DK729 및 G 4743 品種을 선책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lect cultivar of corn for silage and examine closely regional adaptability in Chungju areas by making use of domestic, foreign recommended cultivars and imported new cultivars to investigate of regional adaptability of existing recommended cultivars and new importing cultivars continuosl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sition of ear was below half of stalk length in all cultivars, and in number of leaf, P 3160 and DK 729 were the most of all cultivars by 15.4 and 13.7 respectively.
      2. Lodging, missing hill and greeness of P 3160 and DK 729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3. In total dry matter yield, o3160 and DK 729 were significantly(p<0.05)the highest of all cultivars, and also dry matter ear yield showed the same tendency.
      4. In total dry matter weight ratio of each part, ration of ear in all cultivars were mostly high.
      5. In left area, crop growth rate and TDN yield, p 3160, DK 729 and Gj4743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6. As mentioned above, selection of the P 3160, DK 729 and G 4743 were though desirable as cultivated of corn for silage in this Chungju areas


      번역하기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lect cultivar of corn for silage and examine closely regional adaptability in Chungju areas by making use of domestic, foreign recommended cultivars and imported new cultivars to investigate of regional ad...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elect cultivar of corn for silage and examine closely regional adaptability in Chungju areas by making use of domestic, foreign recommended cultivars and imported new cultivars to investigate of regional adaptability of existing recommended cultivars and new importing cultivars continuosly.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osition of ear was below half of stalk length in all cultivars, and in number of leaf, P 3160 and DK 729 were the most of all cultivars by 15.4 and 13.7 respectively.
      2. Lodging, missing hill and greeness of P 3160 and DK 729 were bett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3. In total dry matter yield, o3160 and DK 729 were significantly(p<0.05)the highest of all cultivars, and also dry matter ear yield showed the same tendency.
      4. In total dry matter weight ratio of each part, ration of ear in all cultivars were mostly high.
      5. In left area, crop growth rate and TDN yield, p 3160, DK 729 and Gj4743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cultivars.
      6. As mentioned above, selection of the P 3160, DK 729 and G 4743 were though desirable as cultivated of corn for silage in this Chungju area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