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만곡개수로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흐름구조의 이차류의 특 징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대상으로는 Siebert (1982)의 연속만곡수로와 실험 조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561282
강릉 :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학위논문(석사) --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 토목공학과 , 2020. 2
2020
한국어
강원특별자치도
26 cm
I804:42001-00000001064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만곡개수로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흐름구조의 이차류의 특 징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대상으로는 Siebert (1982)의 연속만곡수로와 실험 조건...
본 연구에서는 만곡개수로에서 발생하는 나선형 흐름구조의 이차류의 특 징으로 분석하기 위해 3차원 수치모의를 수행하였다. 수치모의 대상으로는 Siebert (1982)의 연속만곡수로와 실험 조건을 적용하였으며 난류 모형으로 는 하이브리드 RANS/LES 기법 종류 중 하나인 IDDES와 SST 난 류 모델을 통하여 발생하는 난류를 해석하였다. 격자의 구조에 따른 모델 의 난류 해석을 보기 위해 SST 난류모델은 늘림 격자 구조와 균일 격자 구조에 따른 수치모의를 수행하였고 IDDES 난류모델은 늘림 격자 구조에서 수치모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VOF기법을 적용하여 자유수면 변 동을 해석하였다. 수치모의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Siebert (1982)의 수리 실험값과 Stoesser et al. (2010)의 RANS와 LES 난류모델 을 통한 수치모의 값과의 비교를 통해 보였다. 자유수면을 고려하여 수치 모의를 진행한 IDDES와 SST 모델 모두 최대 유속의 분포는 개수로 특징인 수면 근처에서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나 IDDES 모델의 경우 시간 평균의 부족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다. SST모델의 경우 수면 근 처에서의 이차류 해석에 있어 RANS 모델과 유사하게 해석되는 것을 보였 으며 수리 실험값과 유사한 LES 모델에 비해 부정확한 모습을 보였다. 전 반적인 이차류의 해석에 있어 SST의 균일 구조 격자가 늘림 격자 구조보다 좀 더 나은 해석 값을 보이지만 절대적인 격자의 차이로 인해 발 생하는 원인으로 보이며 추가적인 실험을 통해 정확한 비교가 필요하다. 또한 잠긴수제로 인한 이차류 저감 효과를 수치모의를 통해 수행하였으며 Park et al. (2019)의 90° 만곡수로 형상과 잠긴수제 재원 및 설치구간을 수치모의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잠긴수제의 설치를 통해 하상에서의 흐름 은 잠긴수제 설치 전에 비해 수로의 중앙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 며 잠긴수제 주변에서 복잡한 흐름을 보였다. 잠긴수제 설치 전 수로의 만 곡부 단면에서의 이차류는 만곡부 외측에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보였나 잠 긴수제를 설치 후 만곡부 이차류가 수로 중앙으로 분포되며 바닥이 아닌 중앙수심에서 형성되는 것을 보였다. 만곡부 외측의 흐름방향 유속 또한 저감되는 효과를 보았다. 결과적으로 잠긴수제의 설치로 인한 이차류의 형 성과 흐름방향 유속의 변화는 만곡부 외측의 하상에 안정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