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정신병리의 관계: 적응적 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 = The Relationship Between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and Psychopathology: Adaptive and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elf-focused attention has been considered to contribute to both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Thus Lee and Kwon (2005) developed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in order to differentiate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with postulating the existence o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istinguished by SDSAS can be differentiated on psychopathology measures. For this purpose, SDSAS and the Symptom Checklist-Revised (SCL-90-R) were measur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SAS and SCL-90-R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ral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scale and psychopathology scores, whereas self-absorption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pathology scores. Second, defensive/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were selected by SDSAS and participants' levels of psychopathology were compared. Results revealed that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sychopathology measures tha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scores betwee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Self-focused attention has been considered to contribute to both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Thus Lee and Kwon (2005) developed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in order to differentiate two types o...

      Self-focused attention has been considered to contribute to both psychopathology and psychotherapy. Thus Lee and Kwon (2005) developed the Scale for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SDSAS) in order to differentiate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 situation, with postulating the existence o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and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if two types of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distinguished by SDSAS can be differentiated on psychopathology measures. For this purpose, SDSAS and the Symptom Checklist-Revised (SCL-90-R) were measured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irs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SDSAS and SCL-90-R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general dispositional self-focused attention scale and psychopathology scores, whereas self-absorption sca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sychopathology scores. Second, defensive/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were selected by SDSAS and participants' levels of psychopathology were compared. Results revealed that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on psychopathology measures tha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Furthermo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sychopathology scores between non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group and low self-focused attention group.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자기초점적 주의는 정신병리 영역에서는 우울 및 불안을 유발 및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심리적 적응과 건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이에 이지영과 권석만(2005)은 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존재를 가정하고 이를 구분해낼 수 있는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DSAS의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정신병리 및 정신건강 측정치 상에서 타당하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SDSAS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실시하였다. 먼저, SDSAS의 두 하위척도와 SCL-90-R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는 정신병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은 반면, 자기몰입 척도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DSAS의 두 하위척도 점수에 근거해 방어적/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을 선발하고,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을 비교집단에 포함시켰다. 종속측정치 상에서의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은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에 비해 정신병리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은 정신병리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자기초점적 주의는 정신병리 영역에서는 우울 및 불안을 유발 및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심리적 적응과 건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이에 이지영과 권...

      자기초점적 주의는 정신병리 영역에서는 우울 및 불안을 유발 및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심리치료 영역에서는 심리적 적응과 건강에 기여하는 요인으로 간주되어져 왔다. 이에 이지영과 권석만(2005)은 질적으로 다른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존재를 가정하고 이를 구분해낼 수 있는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SDSAS)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SDSAS의 두 가지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정신병리 및 정신건강 측정치 상에서 타당하게 구분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SDSAS와 간이정신진단검사(SCL-90-R)를 실시하였다. 먼저, SDSAS의 두 하위척도와 SCL-90-R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반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는 정신병리와 유의미한 상관을 보이지 않은 반면, 자기몰입 척도는 높은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SDSAS의 두 하위척도 점수에 근거해 방어적/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을 선발하고,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을 비교집단에 포함시켰다. 종속측정치 상에서의 세 집단 간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은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에 비해 정신병리 수준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비방어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집단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이 낮은 집단은 정신병리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앞으로의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성희, "정신감정이 의뢰된 성범죄자들의 재범 여부 및 진단에 따른 하위 유형의 심리특성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26, 2008

      2 이인혜,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과 부적응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633-651, 2008

      3 이지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451-464, 2005

      4 박성현,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27-1147, 2008

      5 임선영, "사후반추사고가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예기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39-56, 2007

      6 이지영,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39-55, 2009

      7 박상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785-796, 2006

      8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4

      9 신민섭, "가정 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611-636, 2004

      10 정승아,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471-482, 2004

      1 조성희, "정신감정이 의뢰된 성범죄자들의 재범 여부 및 진단에 따른 하위 유형의 심리특성 비교"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2 (22): 15-26, 2008

      2 이인혜, "자기초점주의가 자전기억의 과일반화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자기초점주의의 적응성과 부적응성" 한국임상심리학회 27 (27): 633-651, 2008

      3 이지영,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심리학회 24 (24): 451-464, 2005

      4 박성현,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1127-1147, 2008

      5 임선영, "사후반추사고가 사회적 자기효능감 및 예기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6 (26): 39-56, 2007

      6 이지영,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 관계"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9 (9): 39-55, 2009

      7 박상규,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 간의 관계" 한국건강심리학회 11 (11): 785-796, 2006

      8 김광일,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중앙적성출판사 1984

      9 신민섭, "가정 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611-636, 2004

      10 정승아,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3 (23): 471-482, 2004

      11 Bögels, S. M., "elf-consciousness, self-focused attetntion, blushing propensity and fear of blushing" 21 : 573-581, 1996

      12 Deffenbacher, J. L., "Worry, emotionality and task-generated interference in task anxiety: An empirical test of attentional theory" 70 : 248-254, 1978

      13 Kittler, J. E., "Weight concerns in individuals with body dysmorphic disorder" 8 : 115-120, 2007

      14 Creed, A. T., "The two face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Self report, peer-report, and behavioral correlates" 12 : 411-431, 1998

      15 Natale, M., "The relationship of defensive language behavior in patient monologues in the course of psychoanalysis" 34 : 466-470, 1978

      16 Wicklund, R. A., "The fallacy of the private-public self-focus distinction" 55 : 491-523, 1987

      17 Ingram, R. E., "The cognitive side of anxiety" 11 : 523-536, 1987

      18 Schlenker, B. R., "Social anxiety and self presentation: A concepualization and model" 92 : 641-669, 1982

      19 Cheek, J. M., "Shyness and sociability" 41 : 330-339, 1982

      20 Pyszynski, T., "Self-regulatory perseveration and the depressive self-focusing style: A self-awareness theory of reactive depression" 102 : 122-138, 1987

      21 Carver, C. S., "Self-focusing effects of dispositional self-consciousness, mirror presence, and audience presence" 36 : 324-332, 1978

      22 Ingram, R. E., "Self-focused attention, gender, gender role, and vulnerability to negative affect" 55 : 967-978, 1988

      23 Wood, J. V., "Self-focused attention, coping responses, and distressed mood in everyday life" 58 : 1027-1036, 1990

      24 Woody, S., "Self-focused attention in the treatment of social phobia" 35 : 117-129, 1997

      25 Ingram, R. E.,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107 : 156-176, 1990

      26 Scheier, M. F., "Self-focused attention and the experience of emotion: Attraction, repulsion, elation, and depression" 35 : 625-636, 1977

      27 Gibbons, F. X., "Self-awareness and self-confrontation: Effects of self-focused attention on members of a clinical population" 48 : 662-675, 1985

      28 Suls, J., "Self-attention, life stress, and illness: A prospective study" 47 : 469-481, 1985

      29 Derogatis, L. R., "SCL-90 (Revised) Manual I.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1977

      30 Teasdale, J. D., "Ruminative self-focus and autobiographical memory" 36 : 1933-1943, 2004

      31 Nolen-Hoeksema, S., "Response to depression and their effects on the duration of depressive episodes" 100 : 569-582, 1991

      32 Fenigstein, A.,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43 : 522-527, 1975

      33 Jostes, A.,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 specific psychopathological features" 27 : 1285-1295, 1999

      34 Hope, D. A.,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social phobia" 52 : 626-639, 1988

      35 Farber, B. A., "Psychological-mindedness: Can there be too much of a good thing?" 26 : 210-216, 1989

      36 Hall, J. A., "Psychological-mindedness: A conceptual model" 106 : 131-140, 1992

      37 Conte, H. R., "Psychological mindedness as a predictor of psychotherpay outcome: A preliminary report" 31 (31): 426-431, 1990

      38 Nyklicek, I., "Psychological mindedness and symptom reduction after psychotherapy in a heterogeneous psychiatric sample" Comprehensive Psychiatry 2010

      39 Nasby, W., "Private self-consciousness, articulation of the self-schema, and recognition memory of trait adjectives" 49 : 704-709, 1985

      40 Trapnell, P. D.,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the five-factor model of personality: Distinguishing rumination from reflection" 76 : 284-304, 1999

      41 Monfries, M. M., "Private self-consciousnes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128 : 447-454, 1994

      42 Strack, S., "Pessimistic self- preoccupation, performance deficits, and depression" 49 : 1076-1085, 1985

      43 Saboonchi, F., "Perfectionism and self-consciousness in social phobia and panic disorder with agoraphobia" 37 : 799-808, 1999

      44 Ickes, W. J., "Objective self-awareness and self- esteem" 9 : 202-219, 1973

      45 Roets, A., "Need and ability to achieve closure: Relationships with symptoms of psychopathology" 48 : 155-160, 2010

      46 Chambers, R., "Mindful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29 : 560-572, 2009

      47 Lischetzke, T., "Is attention to feelings beneficial or detrimental to affective well-being? Mood regulation as a moderator variable" 3 (3): 361-377, 2003

      48 Watson, P. J., "Futher contrasts between self-reflectiveness and internal state awareness facrors of private self-consciousness" 130 : 183-192, 1996

      49 Schmitt, J. P., "Focus of attention in the treatment of depression" 20 : 457-463, 1983

      50 Anderson, E. M., "Factor structure of the private self-consciousness scale" 66 : 144-152, 1996

      51 Chang, L., "Factor interpretations of the self-consciousness scale" 24 : 635-640, 1998

      52 Burgio, K. L., "Effects of performance expectancy and self-focused attention on social interaction" 50 : 1216-1221, 1986

      53 Woody, S. R., "Effects of focus of attention on anxiety levels and social performance of individuals with social phobia" 105 : 61-69, 1996

      54 Panayiotou, G., "Effect of self-focused attention on the startle reflex, heart rate, and memory performance among socially anxious and nonanxious individuals" 35 : 328-336, 1998

      55 Winters, K. C., "Delusions and delusional thinking: A review of the literature" 3 : 227-253, 1983

      56 Carver, C. S., "Control theory: A useful conceptual framework for personality-social, clinical, and health psychology" 92 : 111-135, 1982

      57 Ingram, R. E.,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from an information processing perspective. in: Information processing approaches to clinical psychology" Academic Press 1986

      58 Mellings, T. M. B., "Cognitive processes in social anxiety: The effects of self-focus, rumination and anticipatory processing" 38 : 243-257, 2000

      59 Goldman, S. L., "Beliefs about mood moderate the relationship of stress to illness and symptom reporting" 41 : 115-128, 1996

      60 Ingram, R. E., "Attentional nonspecificity in depressive and generalized anxious affective states" 14 : 25-35, 1990

      61 Hope, D. A., "Attentional focus and casual attributions in social phobia: Implications from social psychology" 9 : 49-60, 1989

      62 Kinderman, P., "Attentional bias, persecutory delusions and the self-concept" 67 : 53-66, 1994

      63 Silvia, P., "Are rumination and reflection types of self-focused attention?" 38 : 871-881, 2005

      64 Beck, A. T., "Anxiety Disorders and Phobias: A Cognitive Perspective" Guilford Press 1985

      65 Duval, S., "A theory of objective self-awareness" Academic Press 1972

      66 Hartman, L. M., "A metacognitive model of social anxiety: Implications for treatment" 3 : 435-456, 1983

      67 Clark, D. M.,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69-93,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