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인지행동적 요인과 부부 불만족도 사이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marital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ropriate cognitive-behavioral model was constructed and was tes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we evalu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belief discrepa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marital perception on how major marital life events affect marital dissatisfaction.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ssessment scale and general marital dissatisfaction assessment scale were administered to 130 married couples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behavioral factors (e.g., major marital life events, marital belief discrepancy, negative marital perception, negative marital emotion, and negative marital behavior) and general marital dissatisfaction. We also fou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belief discrepancy an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marital percept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 marital life event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Finally, the mediation model showed appropriate goodness of fit compared to alternative models. We conclude that the integrative cognitive-behavioral model suggested by the present study i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Korean marital problems. Clinical implic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번역하기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marital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ropriate cognitive-behavioral model was constructed and was tes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we evaluated the...

      The present research investigates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of marital problem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ppropriate cognitive-behavioral model was constructed and was test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lso, we evalu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belief discrepancy and the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marital perception on how major marital life events affect marital dissatisfaction. Cognitive-behavioral factors assessment scale and general marital dissatisfaction assessment scale were administered to 130 married couples in Korea.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ognitive-behavioral factors (e.g., major marital life events, marital belief discrepancy, negative marital perception, negative marital emotion, and negative marital behavior) and general marital dissatisfaction. We also foun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marital belief discrepancy and mediating effect of negative marital perception on the connection between major marital life events and marital dissatisfaction. Finally, the mediation model showed appropriate goodness of fit compared to alternative models. We conclude that the integrative cognitive-behavioral model suggested by the present study is a potential explanation for Korean marital problems. Clinical implica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모델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적 요인으로 모델을 구성하고 부정적 부부생활 사건이 부부 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부부신념 불일치 변인의 중재역할과 부정적 부부지각 변인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으며 중재 효과와 매개 효과를 포함한 전 모델을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3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인지행동적 요인 측정도구와 부부 불만족 척도를 실시하고 얻어진 자료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행동적 요인들과 부부 불만족도와의 상관 조사에서 주요 부부 생활사건, 부부신념 불일치, 부정적 부부지각, 부정적 부부감정, 부정적 부부행동 변인 모두 전반적 부부 불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주요 부부 생활사건과 부부 불만족도 사이에서 부부신념 불일치 요인의 유의미한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부부지각은 양 변인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을 사용하여 전체 모델을 검증한 결과 주요 부부 생활사건과 부부신념 불일치가 부정적 부부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부부지각이 이 두 변인과 부부 불만족도 사이를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매개모델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합당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제안된 인지행동적 모델은 한국 부부들에게 존재하는 부부문제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모델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적 요인으로 모델을 구성하고 부정적 부부생활 사건이 부부 불만족도에 ...

      본 연구에서는 국내 부부를 대상으로 부부문제에 대한 인지행동적 모델의 적절성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인지행동적 요인으로 모델을 구성하고 부정적 부부생활 사건이 부부 불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의 부부신념 불일치 변인의 중재역할과 부정적 부부지각 변인의 매개역할을 검증하였으며 중재 효과와 매개 효과를 포함한 전 모델을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130쌍의 부부를 대상으로 하여 인지행동적 요인 측정도구와 부부 불만족 척도를 실시하고 얻어진 자료를 상관분석, 회귀분석 및 구조 방정식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지행동적 요인들과 부부 불만족도와의 상관 조사에서 주요 부부 생활사건, 부부신념 불일치, 부정적 부부지각, 부정적 부부감정, 부정적 부부행동 변인 모두 전반적 부부 불만족도와 유의미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주요 부부 생활사건과 부부 불만족도 사이에서 부부신념 불일치 요인의 유의미한 중재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부부지각은 양 변인 사이에서 유의미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구조방정식 모델 접근법을 사용하여 전체 모델을 검증한 결과 주요 부부 생활사건과 부부신념 불일치가 부정적 부부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부정적 부부지각이 이 두 변인과 부부 불만족도 사이를 매개한다고 가정하는 매개모델의 경로계수가 모두 유의미하였으며 합당한 적합도를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제안된 인지행동적 모델은 한국 부부들에게 존재하는 부부문제를 포괄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진숙, "한국판 부부감정 척도의 개발" 7-8, 2009

      2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18 (18): 123-139, 1999

      3 이현숙, "인지 행동적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7 (7): 5-29, 1999

      4 김진숙, "부부신념 척도의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459-473, 2009

      5 이창숙, "부부갈등 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Baucom과 Epstein의 인지 - 행동적 모델에 기초하여" 3 (3): 46-71, 1998

      6 권정혜,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19 (19): 207-218, 2000

      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8, 2000

      8 권정혜, "결혼만족도 검사; 사용자 메뉴얼" 학지사 2002

      9 Jacobson, N. S., "spouses as observers of the events in their relationship" 49 : 269-277, 1981

      10 Fincham, F. D., "To arrive where we began: A reappraisal of cognition in marriage and in marital therapy" 4 : 167-184, 1990

      1 김진숙, "한국판 부부감정 척도의 개발" 7-8, 2009

      2 권정혜,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1" 18 (18): 123-139, 1999

      3 이현숙, "인지 행동적 부부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 7 (7): 5-29, 1999

      4 김진숙, "부부신념 척도의 개발"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459-473, 2009

      5 이창숙, "부부갈등 해결 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 Baucom과 Epstein의 인지 - 행동적 모델에 기초하여" 3 (3): 46-71, 1998

      6 권정혜, "부부 적응 프로그램의 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 연구" 19 (19): 207-218, 2000

      7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 161-178, 2000

      8 권정혜, "결혼만족도 검사; 사용자 메뉴얼" 학지사 2002

      9 Jacobson, N. S., "spouses as observers of the events in their relationship" 49 : 269-277, 1981

      10 Fincham, F. D., "To arrive where we began: A reappraisal of cognition in marriage and in marital therapy" 4 : 167-184, 1990

      11 O'Leary, K. D., "The influence of marital therapy on sexual satisfaction" 9 : 171-181, 1983

      12 Margolin, G., "The continuance and spillover of everyday tensions in distressed and nondistressed family" 10 : 304-321, 1996

      13 Swenson, C. H, "The behavior of love. in: Love today: A new exploration" Associated Press 86-100, 1972

      14 Arias, I., "The assessment of social cognition in the context of marriage. in: Assessment of marital discor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09-137, 1987

      15 Christensen, A., "The Spouse Observation Checklist: Empirical analysis and critique" 8 : 69-79, 1980

      16 Weiss, R. L, "Strategic behavioral marital therapy: Toward a model for assessment and intervention. in: Advances in family intervention, assessment and theory (Vol. 1)" JAI Press 229-271, 1980

      17 Robinson, E. A., "Pleasurable behavior in marital interaction: An observational study" 48 : 117-118, 1980

      18 Carter, B., "Overview: The change family life cycle-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in: The changing family life cycle: A framework for family therapy (2nd ed.)" Allyn & Bacon 3-28, 1988

      19 Jacobson, M. S., "Marital Therapy: Strategies Based on Social Learning and Behavior Exchange Principles" Brunner/Mazel 1979

      20 Snyder, D. K., "Marital Satisfaction Inventory. Revised(MSI-R) Manual" Western Psychological service 1997

      21 Beck, A. T., "Love is never enough" Guilford Press 1988

      22 Robert, A., "Latent Variable Interaction and Quadratic Effect Estimation: A Two-Step Technique Using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119 : 166-175, 1996

      23 Christensen, A., "Integrative behavioral couple therapy. in: Clinical Handbook of Marital therapy, 2nd edn." Guilford 1991

      24 Nichols, M. P.,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Allyn & Bacon 2001

      25 Dattilio, F. M, "Families in crisis. in: Cognitive- behavioral strategies in crisis intervention" Gulford Press 278-301, 1994

      26 Fincham, F. D., "Conflict in Marriage: Implications for Working with Couples" 50 : 47-77, 1999

      27 Baucom, D. H., "Cognitive-behavioral marital therapy" Brunner/Mazel 1990

      28 Dattilio, F. M., "Cognitive therapy with couples" Professional Resource Exchange 1990

      29 Dattilio, F. M., "Cognitive techniques with couples and families" 1 : 51-56, 1993

      30 Epstein, N., "Cognitive factors in marital disturbance. in: Psychology and cognitiion" Academic Press 351-385, 1993

      31 Beck, A. T.,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Guilford Press 1979

      32 Beck, A. T.,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1976

      33 Kelly, H. H., "Close relationships" W. H. Freemen 1983

      34 Jacobson, N. 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Guilford 1995

      35 Bradbury, T. N., "Attributions in marriage: Review and critique" 107 : 3-33, 1990

      36 Bradbury, T. N., "Attributions and Behavior in Functional and Dysfunctional Marriages" 64 : 569-576, 1996

      37 O'Leary, K. D, "Assessment of Marital Discord: An Integration for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Hillsdale 1987

      38 Baucom, D. H., "Assessing relationship standards: The Inventory of Specific Relationship Standards" 10 : 72-88, 1996

      39 Peterson, D. R., "Assess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y means of interaction records" 1 : 221-236, 1979

      40 Dattilio, F. M., "An Introduction to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with Couples and Families. in: Case Studies in Couple and Family Therapy: Systemic & Cognitive Perspectives" Guilford Press 1-36, 1998

      41 Broderick, J. E., "A method for derivation of areas for assessment in marital relationships" 9 : 25-34, 1981

      42 Bradbury, T. N., "A contextual model for advancing the study of marital interaction. in: Cognition in close relationships" Erlbaum 127-147, 1991

      43 Ellis, A., "A Guide to Successful Marriage" Wilshire Book Company 196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