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배우자 부양 스트레스의 이해: 심리 통합 모델의 제안 = Spousal Caregiving Stress: Towards a Conceptualization of a Psychological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27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amin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pousal caregiving is an important step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spousal caregiving stress in Korea where rapid demographic shift to an aged society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this review article, the authors not only provided evidence of the direct effects of objective stressors such as the type and extent of disability but also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 age, gender, economic status, and health), psychological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optimism, self-perceived control, self-effica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contextual variables (social , cultural, and familial ). The authors then propose a model of spousal caregiver stress with a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Finally, the authors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expand understanding of spousal caregiving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s and education to alleviate spousal caregiving burden.
      번역하기

      Examin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pousal caregiving is an important step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spousal caregiving stress in Korea where rapid demographic shift to an aged society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this review article, the aut...

      Examining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spousal caregiving is an important step to a broader understanding of spousal caregiving stress in Korea where rapid demographic shift to an aged society is currently taking place. In this review article, the authors not only provided evidence of the direct effects of objective stressors such as the type and extent of disability but also the influence of demographic variables ( age, gender, economic status, and health), psychological variables (emotional stability, optimism, self-perceived control, self-efficacy, and marital satisfaction), and contextual variables (social , cultural, and familial ). The authors then propose a model of spousal caregiver stress with a focus on psychological variables. Finally, the authors provid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o expand understanding of spousal caregiving and discuss implications for clinical interventions and education to alleviate spousal caregiving burde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노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배우자가 부양 주체로 대두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은 노년기 성인의 부양 스트레스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들을 광범위하게 개관하고,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을 강조하는 배우자 부양 스트레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부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객관적 스트레스원,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건강, 경제적 자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정서적 안정성, 낙관성, 통제감, 효능감, 부부관계 만족), 맥락적 요인(사회적, 문화적, 가족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객관적 스트레스원이 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그리고 맥락적 요인에 따라 부양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스트레스는 달라질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실용적 함의와 배우자 부양에 관한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노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배우자가 부양 주체로 대두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은 노년기 성인의 부양 스트레스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

      노년 인구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배우자가 부양 주체로 대두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배우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을 고려하는 것은 노년기 성인의 부양 스트레스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부양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관한 연구들을 광범위하게 개관하고,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을 강조하는 배우자 부양 스트레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배우자 부양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객관적 스트레스원,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성별, 연령, 건강, 경제적 자원), 부양자의 심리적 요인(정서적 안정성, 낙관성, 통제감, 효능감, 부부관계 만족), 맥락적 요인(사회적, 문화적, 가족 요인)으로 구분하였다. 객관적 스트레스원이 부양자의 부양 스트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부양자의 인구학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그리고 맥락적 요인에 따라 부양자가 지각하는 주관적 스트레스는 달라질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의 실용적 함의와 배우자 부양에 관한 미래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13 (13): 63-83, 1993

      2 이경자, "치매노인의 간호 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15 (15): 30-51, 1995

      3 김수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한국노년학회 24 (24): 111-128, 2004

      4 송미영,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37 (37): 131-160, 2007

      5 우국희, "치매노인 수발인의 수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가족갈등과 부정적 지지를 중심으로" 10 : 383-413, 1997

      6 김재민,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의 타당도" 10 (10): 126-131, 2001

      7 이미애, "주부양제공자의 하위집단별 부양부담 및 특정수발항목에 대한 부담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3 (33): 279-300, 2006

      8 정경희,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수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9 한경혜,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 (21): 81-109, 2009

      10 이가옥,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20 (20): 215-228, 2000

      1 김윤정, "치매노인의 장애기간과 부양자의 대처자원이 부양자의 부담 및 부양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13 (13): 63-83, 1993

      2 이경자, "치매노인의 간호 문제와 돌보는 가족원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15 (15): 30-51, 1995

      3 김수영, "치매노인을 돌보는 가족부양자의 우울과 삶의 만족 예측요인" 한국노년학회 24 (24): 111-128, 2004

      4 송미영,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37 (37): 131-160, 2007

      5 우국희, "치매노인 수발인의 수발 및 사회적 지지에 대한 주관적 경험-가족갈등과 부정적 지지를 중심으로" 10 : 383-413, 1997

      6 김재민, "지역사회 거주노인의 인지기능에 따른 한국형 노인우울검사의 타당도" 10 (10): 126-131, 2001

      7 이미애, "주부양제공자의 하위집단별 부양부담 및 특정수발항목에 대한 부담도" 한국노인복지학회 33 (33): 279-300, 2006

      8 정경희, "장기요양보호대상 노인의 수발실태 및 복지욕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1

      9 한경혜, "장기요양보호노인을 돌보는 배우자의 부양동기, 가족관계의 질이 부양부담 및 부양경험의 보상에 미치는 영향: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21 (21): 81-109, 2009

      10 이가옥,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정서적 부양부담에 관한 연구" 20 (20): 215-228, 2000

      11 윤현숙, "장기요양보호노인 가족수발자의 수발부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배우자와 자녀 비교-" 한국노년학회 27 (27): 195-211, 2007

      12 김용희, "장기요양보호 노인 및 부양자특성이 부양자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9 (29): 1183-1196, 2009

      13 김혜경, "일본 재가 요보호노인과 부양자간의 관계의 질과 부양자의 정신건강" 한국노년학회 24 (24): 129-144, 2004

      14 백주희, "부양 전 부부관계의 질과 결혼기간이 치매노인 부양자의 스트레스 평가, 복지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7 (27): 255-272, 2007

      15 백주희, "미국 치매노인 부양자의 우울증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 배우자 부양자와 딸 부양자 비교 연구" 한국노년학회 29 (29): 1591-1609, 2009

      16 김정현, "문화적 가치가 수발부담 및 사회적 지지를 통해 남가주 한인 가족수발자의 신체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사회문화적 스트레스 대처모델을 적용하여" 한국노년학회 29 (29): 377-394, 2009

      17 최경숙, "만성질환자 배우자의 돌봄 경험에 관한 이론 구축" 301 (301): 122-136, 2000

      18 윤현숙, "뇌졸중 노인 부양가족의 부양부담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20 (20): 137-153, 2000

      19 이혜자,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이용여부가 치매노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26 (26): 329-346, 2006

      20 이해정, "노인대상자를 돌보는 비전문 간호제공자의 대응기전과 건강반응 예측요인" 30 (30): 893-904, 2000

      21 장혜경, "가족 내 돌봄 노동에 대한 사회적 지원방안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6

      22 Proctor, R., "When a little knowledge is a dangerous thing: A study of carers' knowledge about dementia, preferred coping style and psychological distress" 17 : 1133-1139, 2002

      23 Vitaliano, P. P., "The screen for caregiver burden" 31 (31): 76-83, 1991

      24 Bookwala, "The role of neuroticism and mastery in spousal caregivers' assessment of and response to a contextual stressor" 53 (53): 155-164, 1998

      25 Gilliam, C. M.,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ing self-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dementia family caregivers" 10 (10): 79-86, 2006

      26 Van Den Wijngaart, "The influence of stressors, appraisal and personal conditins on the burden of spousal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11 (11): 626-636, 2007

      27 Aranda, M. P., "The influence of ethnicity and culture on the caregiver stress and coping process: A sociocultural review and analysis" 37 : 342-354, 1997

      28 Motenko, A. K., "The frustrations, gratifications, and wellbeing of dementia caregivers" 29 : 166-172, 1989

      29 Rodin, J., "The construct of control: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correlates. in : Annual Review of Gerontology and Geriatrics, 5" Springer 3-55, 1985

      30 Zarit, S. H., "Subjective burden of husbands and wives as caregivers: A longitudinal study" 26 (26): 260-266, 1986

      31 Gonyea, J.G., "Subjective appraisal of Alzheimer’s disease caregiving: The role of self-efficacy and depressive symptoms in the experience of burden" 20 : 273-280, 2005

      32 Lazarus, R. S.,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Verlag 1984

      33 Cantor, M. H., "Strain among caregivers: A study of experience in the U. S" 23 : 597-624, 1983

      34 Kabitsi, N., "Spousal motivations of care for demented older adults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Greek and American female caregivers" 16 : 383-399, 2002

      35 Young, R. F., "Specifying caregiver outcomes: Gender and relationship aspects of caregiving strain" 29 : 660-666, 1989

      36 Hays, J. C., "Social correlates of the dimensions of depression in the elderly" 53 (53): 31-39, 1998

      37 Taylor, S. E., "Self-generated feelings of control and adjustment to physical illness" 47 (47): 91-109, 1991

      38 Zarit, S. H., "Relatives of the impaired elderly, correlates of feeling of burden" 20 (20): 649-655, 1980

      39 Berr, C., "Prevalence of dementia in the elderly in Europe" 15 : 463-471, 2005

      40 Ory, M. G., "Prevalence and impact of caregiving: A detailed comparison between dementia and nondementia caregivers" 39 (39): 177-186, 1999

      41 Vernooij-Dassen, M. J., "Predictors of sense of competence in caregivers of demented persons" 43 : 41-49, 1996

      42 Tennstedt S., "Predictors of informal care for frail elders: The role of secondary caregivers" 29 (29): 677-683, 1989

      43 Hilgeman, M. M., "Positive aspects of caregiving as a moderator of treatment outcome over 12 months" 22 (22): 361-371, 2007

      44 Duberstein, P. R., "Personality is associated with perceived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in older primary care patients" 18 (18): 25-37, 2003

      45 Hooker, K., "Personality counts for a lot: Predictors of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spouse caregivers in two disease group" 53 (53): 73-85, 1998

      46 Flynn, K. E., "Personality and health care decision-making style" 62 (62): 261-267, 2007

      47 Sainio, C., "Patient 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about care: The cancer patient's point of view" 24 (24): 172-179, 2001

      48 Brody, E. M., "Parent care as a normative stress" 25 : 19-29, 1985

      49 Gaugler, J. E., "Modeling caregiver adaptation over time: The longitudinal impact of behavior problems" 15 (15): 437-450, 2000

      50 Hooker, K.,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spouse caregivers: the role of personality" 7 : 367-375, 1992

      51 Fortinsky, R. H., "Measurement and correlates of family caregiver self efficacy for managing dementia" 6 : 153-160, 2002

      52 Alspaugh, M. E., "Longitudinal patterns of risk for depression in dementia caregivers: Objective and subjective primary stress as predictors" 14 (14): 34-43, 1999

      53 Lefcourt, H. M., "Locus of control and health. in : Handbook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Pergamon Press 1991

      54 Monin, J. K., "Interpersonal effects of suffering in older adult caregiving relationships" 24 (24): 681-695, 2009

      55 Vernooij-Dassen, M. J., "Information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ir caregivers: What information does a memory clinic pass on, and to whom?" 7 (7): 34-38, 2003

      56 Shurgot, G. R., "Influence of neuroticism, ethnicity, familism and social support on perceived burden in dementia caregivers: Pilot test of the transactional stress and social support model" 60 : 331-334, 2005

      57 Cox, T., "Individual differences, stress, and coping. in : Personality and stres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tress process" Wiley 269-284, 1991

      58 Sörensen, S., "How are personality traits related to preparation for future care needs in older adults?" 63 (63): 328-336, 2008

      59 Pinquart, M., "Helping caregivers of persons with dementia: which interventions work and how large are their effects?" 18 (18): 577-595, 2006

      60 Miller, B., "Gender differences in spouse caregiver strain: Socialization and role explanations" 52 : 311-321, 1990

      61 Yee, L. L., "Gender differences in psychiatric morbidity among family caregivers: A review and analysis" 40 : 147-164, 2000

      62 Miller, B., "Gender and control among spouse of the cognitively impaired : A research note" 27 : 447-453, 1987

      63 Stoller, E. P., "Gender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s of caregiving spouses. in : Gender, Families, and Elder Care" Sage 49-64, 1992

      64 Miller, B., "Gender Differences in caregiving: Fact or artifact?" 32 (32): 498-507, 1992

      65 Sugiura K., "Gender Differences in Spusal Caregiving in Japan" 64 (64): 147-157, 2009

      66 Poulshock, S. W., "Families caring for elders in residence : Issues in the measurement of burden" 39 (39): 230-239, 1984

      67 Matthews, F. E., "Epidemiological pathology of dementia: Attributable-risks at death in the medical research council cognitive function and ageing study" 6 (6): 2009

      68 Collins, C., "Emotional distress and morbidity in dementia carers: a matched comparison of husbands and wives" 12 (12): 1168-1173, 1997

      69 Jenkins, K. R., "Does caring for your spouse harm one's health? Evidence from a United States nationally-representative sample of older adults" 29 : 277-293, 2009

      70 Danhauer, S. C., "Do behavioral disturbances in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predict caregiver depression over time?" 19 (19): 198-202, 2004

      71 Rose-Rego, S. K., "Differences in the perceived well-being of wives and husbands caring for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38 (38): 224-230, 1998

      72 Pinquart, M., "Differences between caregivers and noncaregivers in psychological health and physical health: A meta-analysis" 18 (18): 250-267, 2003

      73 Zanetti, O., "Depressive symptoms of Alzheimer caregivers are mainly due to personal rather than patient factors" 13 : 358-367, 1998

      74 Beers. M. H., "Dementia. in : Merck manual of geriatrics" Merck & Co. 2006

      75 Braun, M., "Dementia caregiving in spousal relationships: A dyadic perspective" 13 (13): 426-436, 2009

      76 Potter, J. F., "Comprehensive geriatric assessment in the outpatient setting: Populatio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influencing outcome" 28 (28): 447-457, 1993

      77 Lang, A., "Characteristics of middle-aged daughters and help to their elderly mothers" 45 : 193-202, 1983

      78 Martire, L. M., "Centrality of women's multiple roles: Beneficial and detrimental consequences for psychological well-being" 15 (15): 148-156, 2000

      79 Biegel, D. E., "Careving in Stroke, Family Caregiving in chronic Illness" Sage 1991

      80 Graham, C., "Carers' knowledge of dementia and their expressed concerns" 12 (12): 470-473, 1997

      81 Pruchno, R. A., "Caregiving spouses. Physical and mental health in perspective" 37 (37): 697-705, 1989

      82 Pearlin, L. I., "Caregiving and the stress process: An overview of concepts and their measures" 30 : 583-594, 1990

      83 Georgetown Center on Aging Society, "Caregivers of older persons profile"

      84 Fitting, M., "Caregivers for dementia patients: A comparison of husbands and wives" 26 : 248-252, 1986

      85 George, L. K., "Caregiver well-being: A multi- dimensional examination of family caregivers of demented adults" 27 : 253-259, 1986

      86 Chappell, N. L., "Burden and well-being among caregivers: Examining the distinction" 42 (42): 772-780, 2002

      87 Hayley, W. E., "Appraisal,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mediators of well-being in Black and White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64 : 121-129, 1996

      88 Pohl, J. M, "Analysis of the impact of mother-daughter relationships on the commitment to caregiving" 44 (44): 68-75, 1995

      89 Walker, A. J., "Amount of care given and caregiving satisfaction: A latent growth curve analysis" 51 (51): 130-142, 1996

      90 Pruchno, R. A., "Aberrant behaviors and alzheimer's disease: Mental health effects on spouse caregivers" 44 (44): 77-182, 1989

      91 Lawton, M. P., "A two-factor model of caregiving apprais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46 : 181-189, 1991

      92 Knight, B. G., "A sociocultural stress and coping model for mental health outcomes among African American caregivers in southern California" 55 : 142-150, 2000

      93 Sung, K., "A cross-cultural comparison of motivations for parent care: The case of Americans and Koreans" 8 : 195-209, 1994

      94 Schultz, R., "A 2-Year longitudinal study of depression among Alzheimer’ caregivers" 6 : 569-578, 1991

      95 통계청, "2008 고령자통계" 통계청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