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조선 일본인 문학의 ‘경성’ 재현 양상과 심상지리 연구 = The Study of Bilingual Literary Field between Korean Writers and Japanese Writers in Colonial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064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yŏngsŏng texts of the Japanese writers of the colonial period in an integrated manner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with modern Korean novels. The literary texts of Japanese writers in Korea in the colonial period are historical product.
      Not all areas of the literary texts can be represented. Some area cannot be represented nor narrated for various reasons. This kind of space in text has been a major subject of literary research because it is an indicator of the author's psychological state or cultural taboo. Few Japanese appeared in the text of modern Korean novels, and the ‘Namchon’ and ‘Yongsan’ were insufficiently reproduced.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text of the Japanese writers showed symmetrical phenomena such as the ‘mirror image’ of modern Korean novels. In other words, ‘Koreans’ and ‘Bukchon’ are not reproduced specifically in these works.
      In the colonial period, Kyŏngsŏng is a place of strong attachment and friendliness, but at the same time, it is recognized as a place of ‘anxiety’ and ‘horror’. The main genres are horror stories and crime novels, and ghosts or monsters appear in texts. These ‘ghost’-like beings are Korean peoples’ metaphor. In addition, Kyŏngsŏng is known to take the structure of a ‘dual city’ divided into Bukchon and Namchon, centering on the inner boundary of Cheonggye Stream. In reality, however,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regard the section from Jongno to Bonjeong, including Cheonggyecheon, as a “contact zone” where Koreans and Japanese can encounter each other.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yŏngsŏng texts of the Japanese writers of the colonial period in an integrated manner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with modern Korean novels. The literary texts of Japanese writers in Korea in the colonial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Kyŏngsŏng texts of the Japanese writers of the colonial period in an integrated manner from a comparative literary perspective with modern Korean novels. The literary texts of Japanese writers in Korea in the colonial period are historical product.
      Not all areas of the literary texts can be represented. Some area cannot be represented nor narrated for various reasons. This kind of space in text has been a major subject of literary research because it is an indicator of the author's psychological state or cultural taboo. Few Japanese appeared in the text of modern Korean novels, and the ‘Namchon’ and ‘Yongsan’ were insufficiently reproduced. What's interesting is that the text of the Japanese writers showed symmetrical phenomena such as the ‘mirror image’ of modern Korean novels. In other words, ‘Koreans’ and ‘Bukchon’ are not reproduced specifically in these works.
      In the colonial period, Kyŏngsŏng is a place of strong attachment and friendliness, but at the same time, it is recognized as a place of ‘anxiety’ and ‘horror’. The main genres are horror stories and crime novels, and ghosts or monsters appear in texts. These ‘ghost’-like beings are Korean peoples’ metaphor. In addition, Kyŏngsŏng is known to take the structure of a ‘dual city’ divided into Bukchon and Namchon, centering on the inner boundary of Cheonggye Stream. In reality, however,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regard the section from Jongno to Bonjeong, including Cheonggyecheon, as a “contact zone” where Koreans and Japanese can encounter each oth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경,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본정" spacetime 2015

      2 바바 아키라, "파도치는 반도ㆍ반도의 자연과 사람" 역락 2020

      3 다나카 히데미쓰, "취한 배" 소화 1999

      4 우치다 준, "제국의 브로커들" 길 2020

      5 김보현,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2" 역락 2015

      6 이준식, "일제강점기 경성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인구변동 -1925~1935년의 민족별 거주지분리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69) : 301-348, 2007

      7 하시야 히로시,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 2005

      8 강경애, "인간문제"

      9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07

      10 박광현, "월경의 기록" 어문학사 2013

      1 이연경,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본정" spacetime 2015

      2 바바 아키라, "파도치는 반도ㆍ반도의 자연과 사람" 역락 2020

      3 다나카 히데미쓰, "취한 배" 소화 1999

      4 우치다 준, "제국의 브로커들" 길 2020

      5 김보현,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2" 역락 2015

      6 이준식, "일제강점기 경성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인구변동 -1925~1935년의 민족별 거주지분리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69) : 301-348, 2007

      7 하시야 히로시,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 2005

      8 강경애, "인간문제"

      9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07

      10 박광현, "월경의 기록" 어문학사 2013

      11 박광현, "월경(越境)의 기록: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어문학사 2013

      12 박태원, "우맹"

      13 김경수,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일조각 2008

      14 차은정, "식민지의 기억과 타자의 정치학" 선인 2016

      15 나카지마 아쓰시, "식민지 조선의 풍경"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6 김효순, "식민지 조선의 문화정치와 경성일보 현상문학 연구 ─ 「파도치는 반도」와 나카니시 이노스케 작 동아를 둘러싼 사랑」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15) : 173-192, 2018

      17 가미야 다다타카(神谷忠孝), "식민지 일본어 문학론" 문 2010

      18 정충실, "식민지 경성 영화관의 이주 일본인들" 한국문화연구학회 6 (6): 2018

      19 이혜령, "식민자는 말해질 수 있는가 ― 염상섭 소설 속 식민자의 환유들" 대동문화연구원 (78) : 317-353, 2012

      20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소 (38) : 1-68, 2010

      21 이언 와트, "소설의 발생" 강 2009

      22 염상섭, "사랑과 죄"

      23 마에다 아이, "문학 텍스트 입문" 제이앤씨 2010

      24 지크문트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프로이트전집 13)" 열린책들 1997

      25 이헬렌, "동아 트라우마" 그린비 2013

      26 오병우, "나카니시 이노스케의 「不逞鮮人」에 나타난 일본어의 위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7-74, 2012

      27 에드워드 사이드, "권력 정치 문화" 마티 2012

      28 윤대석,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국어국문학회 (144) : 91-112, 2006

      29 권은, "경성 모더니즘" 일조각 2018

      30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003

      31 최진성, "日帝强占期 朝鮮神社의 場所와 權力: 全州神社를 事例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44-58, 2006

      32 황호덕, "京城地理志, 이중언어의 장소론―채만식의 '종로의 주민'과 식민도시의 (언어) 감각" 대동문화연구원 (51) : 107-141, 2005

      33 송미정, "『조선공론』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 재조 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34 Pratt, Mary Louise, "Imperial Eyes" Routledge 2007

      35 방민호, "1930년대 경성 공간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수첩 2006

      36 박광현, "1920년대 ‘외지문학’의 ‘조선어’" 한국일어일문학회 79 (79): 25-45,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11-06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연구소 ->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영문명 : 미등록 -> Institute for East Asi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9-11-0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논집 -> 동아시아문화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tudies -> Journal of East Aisan Cultures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1 0.784 0.3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