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연경,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본정" spacetime 2015
2 바바 아키라, "파도치는 반도ㆍ반도의 자연과 사람" 역락 2020
3 다나카 히데미쓰, "취한 배" 소화 1999
4 우치다 준, "제국의 브로커들" 길 2020
5 김보현,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2" 역락 2015
6 이준식, "일제강점기 경성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인구변동 -1925~1935년의 민족별 거주지분리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69) : 301-348, 2007
7 하시야 히로시,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 2005
8 강경애, "인간문제"
9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07
10 박광현, "월경의 기록" 어문학사 2013
1 이연경, "한성부의 작은 일본 진고개 혹은 본정" spacetime 2015
2 바바 아키라, "파도치는 반도ㆍ반도의 자연과 사람" 역락 2020
3 다나카 히데미쓰, "취한 배" 소화 1999
4 우치다 준, "제국의 브로커들" 길 2020
5 김보현, "재조일본인과 식민지 조선의 문화2" 역락 2015
6 이준식, "일제강점기 경성부의 공간구조 변화와 인구변동 -1925~1935년의 민족별 거주지분리를 중심으로-" 서울역사편찬원 (69) : 301-348, 2007
7 하시야 히로시, "일본제국주의, 식민지 도시를 건설하다" 모티브 2005
8 강경애, "인간문제"
9 홍성철, "유곽의 역사" 페이퍼로드 2007
10 박광현, "월경의 기록" 어문학사 2013
11 박광현, "월경(越境)의 기록: 재조(在朝)일본인의 언어․문화․기억과 아이덴티티의 분화" 어문학사 2013
12 박태원, "우맹"
13 김경수, "염상섭과 현대소설의 형성" 일조각 2008
14 차은정, "식민지의 기억과 타자의 정치학" 선인 2016
15 나카지마 아쓰시, "식민지 조선의 풍경"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6 김효순, "식민지 조선의 문화정치와 경성일보 현상문학 연구 ─ 「파도치는 반도」와 나카니시 이노스케 작 동아를 둘러싼 사랑」을 중심으로 ─" 한국일본학회 (115) : 173-192, 2018
17 가미야 다다타카(神谷忠孝), "식민지 일본어 문학론" 문 2010
18 정충실, "식민지 경성 영화관의 이주 일본인들" 한국문화연구학회 6 (6): 2018
19 이혜령, "식민자는 말해질 수 있는가 ― 염상섭 소설 속 식민자의 환유들" 대동문화연구원 (78) : 317-353, 2012
20 김종근, "식민도시 京城의 이중도시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 서울학연구소 (38) : 1-68, 2010
21 이언 와트, "소설의 발생" 강 2009
22 염상섭, "사랑과 죄"
23 마에다 아이, "문학 텍스트 입문" 제이앤씨 2010
24 지크문트 프로이트, "무의식에 관하여(프로이트전집 13)" 열린책들 1997
25 이헬렌, "동아 트라우마" 그린비 2013
26 오병우, "나카니시 이노스케의 「不逞鮮人」에 나타난 일본어의 위상" 동북아시아문화학회 1 (1): 57-74, 2012
27 에드워드 사이드, "권력 정치 문화" 마티 2012
28 윤대석, "경성의 공간분할과 정신분열" 국어국문학회 (144) : 91-112, 2006
29 권은, "경성 모더니즘" 일조각 2018
30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2003
31 최진성, "日帝强占期 朝鮮神社의 場所와 權力: 全州神社를 事例로" 한국지역지리학회 12 (12): 44-58, 2006
32 황호덕, "京城地理志, 이중언어의 장소론―채만식의 '종로의 주민'과 식민도시의 (언어) 감각" 대동문화연구원 (51) : 107-141, 2005
33 송미정, "『조선공론』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 재조 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34 Pratt, Mary Louise, "Imperial Eyes" Routledge 2007
35 방민호, "1930년대 경성 공간과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문학수첩 2006
36 박광현, "1920년대 ‘외지문학’의 ‘조선어’" 한국일어일문학회 79 (79): 25-45,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