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호우특성과 재해영향을 고려한 호우재해위험도 분석 = Analysis of Heavy Rain Hazard Risk Based on Local Heavy Rain Characteristics and Hazard Impac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111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호우 예측 정확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호우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WMO에서 제시...

      호우 예측 정확도의 향상에도 불구하고 호우재해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은 기상이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의 부족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WMO에서 제시한 영향예보 핵심개념인 재해, 취약성, 노출 개념을 활용하여 지역별 호우잠재영향을 평가하고 호우발생과 연계하여 호우재해의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노출과 취약성 변수로 호우잠재영향을 구성하였고, 호우재해지수는 호우특보 기준에 따라 선정한 3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 지수의 가중치는 주성분분석을 이용하여 산정하였으며, 호우재해지수는 동일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정하였다. 호우잠재영향지수와 실제 호우피해액과의 상관분석 결과 높은 상관관계가 증명되어 호우잠재영향지수는 실제의 피해양상을 적절히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호우재해위험도는 호우잠재영향지수와 호우재해지수로 구성된 위험도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는 시공간적으로 변화하는 호우예특보를 위한 호우영향분석 연구의 토대를 제공하고 지역별 호우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espite the improvement in accuracy of heavy rain forecasting, socioeconomic costs due to heavy rain hazards continue to increase. This i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weather. In this study, the risk of heavy rain hazard was analy...

      Despite the improvement in accuracy of heavy rain forecasting, socioeconomic costs due to heavy rain hazards continue to increase. This is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weather. In this study, the risk of heavy rain hazard was analyzed using the concepts of hazard, vulnerability, and exposure, which are key concepts of impact forecast presented by WMO. The potential impacts were constructed by the exposure and vulnerability variables, and the hazard index was calculated by selecting three variables according to the criteria of heavy rain warning. Weights of the potential impact index were calculated by using PCA and hazard index was calculated by applying the same weight.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potential impact index and damages showed a high correla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tential impact index appropriately reflects the actual damage pattern. The heavy rain hazard risk was estimated by using the risk matrix consisting of the heavy rain potential impact index and the hazard index.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the impacts analysis study for weather warning with spatial/temporal vari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useful data to establish the local heavy rain hazard prevention measur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석근,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 산정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광섭,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 30 (30): 61-70, 2010

      3 송영석, "호우특보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113-121, 2016

      4 정종혁, "피해자료 기반 지역별 호우 ‧ 대설 기상재해 취약성 분석" 214-215, 2014

      5 정종혁, "피해 및 지리정보 기반 호우 ‧ 대설 재해 취약성 분포 특성분석" 165-167, 2014

      6 이현종, "침수피해 영향인자 분석을 통한 호우침수위험도 예측 모델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39-45, 2016

      7 국립방재연구원, "지역사회기반 홍수 피해저감지수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2011

      8 박상식,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한국방재학회 14 (14): 67-76, 2014

      9 이지연, "주성분 분석을 통해 생성된 대리변수의 정확도 측정 : 부(Wealth) 변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0 신안국, "저수지 홍수 재해위험도 평가" 서울시립대학교 2016

      1 박석근, "홍수피해발생 잠재위험도 산정방안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2 임광섭, "홍수지표의 인과관계를 이용한 홍수위험지수 개발" 대한토목학회 30 (30): 61-70, 2010

      3 송영석, "호우특보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113-121, 2016

      4 정종혁, "피해자료 기반 지역별 호우 ‧ 대설 기상재해 취약성 분석" 214-215, 2014

      5 정종혁, "피해 및 지리정보 기반 호우 ‧ 대설 재해 취약성 분포 특성분석" 165-167, 2014

      6 이현종, "침수피해 영향인자 분석을 통한 호우침수위험도 예측 모델 연구" 한국방재학회 16 (16): 39-45, 2016

      7 국립방재연구원, "지역사회기반 홍수 피해저감지수 개발" 국립방재연구원 2011

      8 박상식, "지역별 방재역량을 고려한 호우특보 기준 차등화" 한국방재학회 14 (14): 67-76, 2014

      9 이지연, "주성분 분석을 통해 생성된 대리변수의 정확도 측정 : 부(Wealth) 변수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10 신안국, "저수지 홍수 재해위험도 평가" 서울시립대학교 2016

      11 이민우, "우리나라의 지역별 홍수피해 특성을 고려한 홍수피해 취약성 평가" 한국방재학회 13 (13): 245-256, 2013

      12 이창희, "서울시 지역안전도 평가모형 개발 연구: 홍수재해를 중심으로"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6

      13 한승룡, "복합위험요소에 대한 도시지역의 재해위험도 평가" 한국방재학회 15 (15): 33-43, 2015

      14 김지수, "도시 홍수 취약성의 공간적 분포-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지리학회 19 (19): 615-626, 2013

      15 김보경,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홍수 위험요인 도출"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7 (7): 125-142, 2011

      16 조형진, "기후변화로 인한 홍수위험의 사회적 취약성 평가 연구 - 인천시를 사례로 -" 기후연구소 10 (10): 341-354, 2015

      17 유가영,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의 개발 및 도입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8

      18 WMO, "WMO Guidelines on Multi-hazard Impact-based Forecast and Warning Services"

      19 WMO, "Urban Flood Management. Associated Programme on Flood Management"

      20 노형진, "SPSS를 활용한 주성분분석과 요인분석" 한올출판사 4-8, 2014

      21 WMO, "International Meteorological Vocabular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7-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5-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地籍(지적) -> 지적과 국토정보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KCI등재후보
      2010-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adastr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 0.2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