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는 선종(禪宗)의 성립을 알리는 표지(標識)이면서 조사선(祖師禪)의 종전(宗典)으로 받들어지고 있는 『육조단경(六祖壇經)』과 그를 계승한 대주혜해(大珠慧海)의 『돈오입도요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890022
2015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62(30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는 선종(禪宗)의 성립을 알리는 표지(標識)이면서 조사선(祖師禪)의 종전(宗典)으로 받들어지고 있는 『육조단경(六祖壇經)』과 그를 계승한 대주혜해(大珠慧海)의 『돈오입도요문...
본고에서는 선종(禪宗)의 성립을 알리는 표지(標識)이면서 조사선(祖師禪)의 종전(宗典)으로 받들어지고 있는 『육조단경(六祖壇經)』과 그를 계승한 대주혜해(大珠慧海)의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에 나타나는 ‘돈오’와 관련된 선사상을 고찰하였다. ‘돈오’는 위진(魏晋)시기 도생(道生)에 의하여 제시된 가장 중국적인 불교사상으로, 역대로 천태종과 화엄종의 교학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용되었던 개념이다. 특히 선종에 있어서는 하택신회(荷澤神會)와 『단경』에 있어서 채택되어 이후 조사선의 가장 핵심적인 선사상으로 운용된다. 『단경』에서는 ‘불성(佛性)’을 ‘자성(自性)’과 ‘자심(自心)’으로 설정하고있다. 『단경』에서 설하는 ‘자성’과 ‘자심’은 일반적인 불성의 ‘평등과 청정’의 성격을 지니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우리가 늘 접하는 심성(心性)과 인성(人性)의 각도로부터 논하고 있으며, 또한 그에 대하여 ‘돈오’할것을 지극히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돈오’의 입장에서는 전통적인 교학(敎學)과 북종(北宗) 신수(神秀)가 주장하는 ‘정(定)’으로부터 ‘혜(慧)’가 발현된다는 ‘종정발혜(從定發慧)’를 ‘정혜등학(定慧等學)’으로 제시한다. 『단경』에서는 또한 ‘돈오’의 입장에서 수행론이면서 도달할 궁극적인 경지로서의 ‘무념(無念)ㆍ무상(無相)ㆍ무주(無住)’를 제창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단경』의 선사상은 홍주종(洪州宗)의 마조도일과 대주혜해가 적극적으로 계승한다고 할 수 있는데, 특히 대주혜해는 『돈오입도요문론』을 찬술하여 ‘돈오’사상을 적극적으로 선양한다. 『돈오입도요문론』에서는 『단경』의 ‘정혜등학’을 ‘정혜등용(定慧等用)’으로 논하고, ‘무념ㆍ무상ㆍ무주’ 역시 자신의 새로운 관점을 더하여 해석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특히 혜해는 마조의 선사상적 특질인 ‘즉심즉불(卽心卽佛)’과 ‘도불용수(道不用修)’, ‘평상심시도(平常心是道)’의 관점들을 운용하여 『단경』의 선사상을 재해석하고 있음이 두드러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nsider zen thought with regard to Dono based on Yukjodangyung and Donoipdoyomun theory. Dono(頓悟), presented by Tao Sheng(道生) during Wei Jin(魏晉) dynasty, is the best chinese perspective Buddhism. It is regarded the most signifi...
This study consider zen thought with regard to Dono based on Yukjodangyung and Donoipdoyomun theory. Dono(頓悟), presented by Tao Sheng(道生) during Wei Jin(魏晉) dynasty, is the best chinese perspective Buddhism. It is regarded the most significant thought of Patriarch zen. On the Yukjodangyung, ‘the nature of Buddha(佛性)’ is established to ‘own-being(自性)’ and ‘own-mind(自心)’. And it suggested freedom from all ideas and thoughts as the ultimate stage. Daeju Hyehae(大珠慧海), succeed to the Yukjodangyung, edited Donoipdoyomun theory. In Donoipdoyomun theory he interpretate with his own viewpoint about ‘freedom from all thoughts(無念)’ ‘freedom from all physiognomy(無相)’ ‘freedom from all stay(無住)’.
참고문헌 (Reference)
1 徐小躍, "선과노장" 운주사 2000
2 賴永海, "불교와 유학" 운주사 1999
3 권석만,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운주사 2008
4 慧海撰, "頓悟入道要門論(卍續藏63)"
5 김진무, "道生의 '頓悟成佛論'과 그 意義" 한국불교학회 (34) : 69-106, 2003
6 慧海撰, "諸方門人參問語錄(卍續藏63)"
7 法藏述, "華嚴經探玄記(大正藏35)大乘無生方便門(大正藏85)"
8 慧達, "肇論疏(卍續藏54)"
9 董群, "祖師禪" 운주사 2000
10 吉藏, "法華義疏(大正藏34)"
1 徐小躍, "선과노장" 운주사 2000
2 賴永海, "불교와 유학" 운주사 1999
3 권석만,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운주사 2008
4 慧海撰, "頓悟入道要門論(卍續藏63)"
5 김진무, "道生의 '頓悟成佛論'과 그 意義" 한국불교학회 (34) : 69-106, 2003
6 慧海撰, "諸方門人參問語錄(卍續藏63)"
7 法藏述, "華嚴經探玄記(大正藏35)大乘無生方便門(大正藏85)"
8 慧達, "肇論疏(卍續藏54)"
9 董群, "祖師禪" 운주사 2000
10 吉藏, "法華義疏(大正藏34)"
11 道原, "景德傳燈錄(大正藏51)"
12 贊寧, "宋高僧傳(大正藏50)"
13 宗寶本, "壇經(大正藏48)"
14 敦煌本, "壇經(大正藏48)"
15 김진무, "『壇經』의 ‘三無’와 老莊의 ‘三無’思想의 비교" 불교학연구회 (12) : 353-378, 2005
백파긍선의 『육조대사법보단경요해(六祖大師法寶壇經要解)』에 나타난 진공(眞空)과 묘유(妙有)의 의미 고찰
중국화엄사상의 한국적 전개 (관념성과 실천성의 사이에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5 | 0.55 | 0.4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 | 0.51 | 0.714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