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발달장애인 권리 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대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 분석 = A Survey and Analyze on the Acceptance Attitudes and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y on “The Act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8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ake and perceive the recently in effect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he parents reside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185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for the act, but they showed low level of acceptance for the national policies regar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people without disability. The parents think highly of guarantee of self-determination and right in judicial and criminal proceeding and think lowly of exclusive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measure to prevent crime target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lfare service appliance and penalty system. The parents experienced cases of physical abuse, neglection, bullying and sexual abuse in this order. The parents request welfare services in the order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support, employment and vocational training, care and support and early diagnosis support. The parents seek aid in the order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 community service center,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uss and suggest amendments regarding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ake and perceive the recently in effect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and analyze how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ake and perceive the recently in effect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subjects were the parents reside in the Gwangju and Jeonnam area. 185 survey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4.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had high level of understanding and expectation for the act, but they showed low level of acceptance for the national policies regarding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and acceptance of people without disability. The parents think highly of guarantee of self-determination and right in judicial and criminal proceeding and think lowly of exclusive prosecutor and judicial police officer system, measure to prevent crime targeted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lfare service appliance and penalty system. The parents experienced cases of physical abuse, neglection, bullying and sexual abuse in this order. The parents request welfare services in the order of rehabilitation and development support, employment and vocational training, care and support and early diagnosis support. The parents seek aid in the order of developmental disability support center, community service center, school and education office. In conclusion this research discuss and suggest amendments regarding act on support and guarantee of right for person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ased on the perception of the parent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시행되면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이 어떠한 지에 대하여 조사ㆍ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지역의 장애학생 부모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185개의 질문지는 spss win 24에 의하여 통계 처리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수용태도는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우선 적용과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이해와 기대는 높은 수용태도를 나타냈으나, 발달장애인에 대한 국가정책과 비장애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낮은 수용태도를 나타내었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인식은 법에 나타난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형사ㆍ사법 절차의 권리보장 등은 높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전담검사 및 사법경찰관제도, 발달장애인 대상 범죄 예방 조치, 복지서비스 신청제도, 벌칙, 양벌규정 등의 적정성 등은 낮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장애학생 부모가 경험한 피해 사례는 장애학생에게 신체폭력 및 유기, 집단따돌림, 그리고 성폭력 순이었으며, 장애학생 부모가 요구하는 복지 서비스는 재활 및 발달지원, 고용ㆍ직업훈련, 돌봄 및 휴식지원, 그리고 조기진단 순이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가 주로 찾는 기관은 발달장애지원센터, 읍면동사무소, 학교 및 교육청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 수용태도 및 인식에 근거해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시행 초기부터 바로 잡아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시행되면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이 어떠한 지에 대하여 조사ㆍ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

      발달장애인 권리보장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발달장애인지원법’)이 시행되면서 장애학생 부모의 수용태도 및 인식이 어떠한 지에 대하여 조사ㆍ분석되었다. 연구대상은 광주ㆍ전남지역의 장애학생 부모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수집된 185개의 질문지는 spss win 24에 의하여 통계 처리되었다. 분석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수용태도는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우선 적용과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이해와 기대는 높은 수용태도를 나타냈으나, 발달장애인에 대한 국가정책과 비장애인의 태도에 대해서는 낮은 수용태도를 나타내었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에 대한 인식은 법에 나타난 자기결정권의 보장과 형사ㆍ사법 절차의 권리보장 등은 높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전담검사 및 사법경찰관제도, 발달장애인 대상 범죄 예방 조치, 복지서비스 신청제도, 벌칙, 양벌규정 등의 적정성 등은 낮게 인식하는 문항이었다. 장애학생 부모가 경험한 피해 사례는 장애학생에게 신체폭력 및 유기, 집단따돌림, 그리고 성폭력 순이었으며, 장애학생 부모가 요구하는 복지 서비스는 재활 및 발달지원, 고용ㆍ직업훈련, 돌봄 및 휴식지원, 그리고 조기진단 순이었다. 그리고 장애학생 부모가 주로 찾는 기관은 발달장애지원센터, 읍면동사무소, 학교 및 교육청 순으로 나타났다. 장애학생 부모의 발달장애인지원법 수용태도 및 인식에 근거해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시행 초기부터 바로 잡아야 할 점에 대하여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용태, "한국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제정과 과제" 2016

      2 박유리, "초등학교 일반아동의 장애 수용태도와 부모양육태도"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51-68, 2013

      3 이복실, "중증 성인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실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5-27, 2015

      4 신나래,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9) : 175-195, 2015

      5 李鍾男,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聖心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6 정경희, "일반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어머니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85-308, 2009

      7 이상미,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의 진술양상"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0) : 237-255, 2015

      8 김고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연구 -부모의 중요성 인식과 교수실행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99-118, 2015

      9 박종엽,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8 (18): 181-213, 2014

      10 유용식,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제주도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 : 143-174, 2005

      1 조용태, "한국 발달장애인지원법의 제정과 과제" 2016

      2 박유리, "초등학교 일반아동의 장애 수용태도와 부모양육태도" 한국발달장애학회 17 (17): 51-68, 2013

      3 이복실, "중증 성인발달장애인 가족의 돌봄 부담과 서비스 욕구에 관한 연구 - 어머니와 실무자를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5-27, 2015

      4 신나래, "장애인의 가정폭력 피해경험 예측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9) : 175-195, 2015

      5 李鍾男,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에 관한 연구" 聖心女子大學校 大學院 1994

      6 정경희, "일반초등학생의 장애수용태도와 어머니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의 관계" 한국특수아동학회 11 (11): 285-308, 2009

      7 이상미, "성폭력 피해 지적장애인의 진술양상"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0) : 237-255, 2015

      8 김고은, "성인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에 관한 연구 -부모의 중요성 인식과 교수실행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8) : 99-118, 2015

      9 박종엽, "생태체계적 관점에서 본 발달장애자녀 어머니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8 (18): 181-213, 2014

      10 유용식, "비장애인들의 장애인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 제주도 비장애인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3) : 143-174, 2005

      11 원상화, "발달장애아동을 위한 독일의 특별지원서비스 현황 및 한국에서의 시사점" 한국발달장애학회 14 (14): 21-41, 2010

      12 이경아,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온라인 공동체 상호작용과 성장과정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6 (66): 181-205, 2014

      13 조홍중, "‘발달장애’의 개념에 관한 고찰 -관련 법률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1, 2012

      14 Muir, K., "‘whose responsibility?’ Resilience in families of children with a developmental disability" 29 (29): 922-937, 2014

      15 "Lanterman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16 Wehmeyer, M. L., "Estabilishing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tervention to promote Self-determination and enhanced student Self-determination" 46 (46): 195-210, 2013

      17 "Community Care Direct Payment 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