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경도 정서·행동발달장애 학대아동 가족상담 사례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Family Counseling of the Abused Children with Mild Emotional·Behavioral Developmental Disorder : Grounded Theory Approach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82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hip, stop abuse and the stability of emotion and spirit of abused children through family counseling.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counseling of domestic of child abuse. The participant is domestic of child abus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around the grounded theo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8 sessions. 8 sessions consultatio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coding selected. The core category of grounded theory approach analyzed causal condition,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intervening, and consequence.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trying to solve a family problem, psychology stability of abused children, recovery of couple, and relearning need of family members. A sentence completion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analyzed the change and recovery of participant. The child showed big damage in response to the level of the pre-test, but the average is about 50% of the change and recovery from the post-test. In the pre-test father was 18 points, 16 points mother, but 27 points in posttest father, the mother was restored to the change of 24 poin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hip, stop abuse and the stability of emotion and spirit of abused children through family counseling.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counseling of domestic of child abuse. The participant i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hip, stop abuse and the stability of emotion and spirit of abused children through family counseling. This paper is a case study on counseling of domestic of child abuse. The participant is domestic of child abus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research around the grounded theory.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8 sessions. 8 sessions consultations were observed and analyzed by open coding, axial coding, and coding selected. The core category of grounded theory approach analyzed causal condition, phenomenon, contextual condition, intervening condition, action/intervening, and consequence.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trying to solve a family problem, psychology stability of abused children, recovery of couple, and relearning need of family members. A sentence completion test and self-esteem test were analyzed the change and recovery of participant. The child showed big damage in response to the level of the pre-test, but the average is about 50% of the change and recovery from the post-test. In the pre-test father was 18 points, 16 points mother, but 27 points in posttest father, the mother was restored to the change of 24 poi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관계 회복과 피해 학대아동의 정서적·정신적 안정을 통한 가족관계 회복이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족상담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아동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K군의 가족이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8회기를 진행하였다. 8회기 상담내용은 개방코딩과 축 코딩과 선택코딩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근거이론의 핵심범주는 인과적 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행위/상호적용 전략, 그리고 결과를 분석했다. 근거이론의 분석결과는 K군의 심리적 안정과 부부관계 회복, 자녀학대 중단으로 인한 가족관계 회복과 노력을 재인식하였다.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위해서 문장완성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로 연구대상자의 변화와 회복을 비교했다. K군은 사전검사에서 심한손상의 수준으로 응답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 평균 50%정도의 변화와 회복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검사결과, 아버지는 사전검사 18점, 어머니는 16점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아버지는 27점, 어머니는 24점으로 회복의 변화를 보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관계 회복과 피해 학대아동의 정서적·정신적 안정을 통한 가족관계 회복이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족상담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아동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K...

      본 연구의 목적은 부부관계 회복과 피해 학대아동의 정서적·정신적 안정을 통한 가족관계 회복이다. 본 연구는 아동학대 가족상담 사례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아동학대를 경험하고 있는 K군의 가족이다. 연구방법은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질적연구이다. 연구는 8회기를 진행하였다. 8회기 상담내용은 개방코딩과 축 코딩과 선택코딩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근거이론의 핵심범주는 인과적 조건, 현상, 맥락적 조건, 중재적 조건, 행위/상호적용 전략, 그리고 결과를 분석했다. 근거이론의 분석결과는 K군의 심리적 안정과 부부관계 회복, 자녀학대 중단으로 인한 가족관계 회복과 노력을 재인식하였다. 연구결과의 객관성을 위해서 문장완성검사와 자아존중감 검사로 연구대상자의 변화와 회복을 비교했다. K군은 사전검사에서 심한손상의 수준으로 응답하였으나 사후검사에서 평균 50%정도의 변화와 회복이 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의 검사결과, 아버지는 사전검사 18점, 어머니는 16점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 아버지는 27점, 어머니는 24점으로 회복의 변화를 보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주, "학부모의 아동학대와 대처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5

      2 박 순, "학대받은 존속살해 무기수의 신화적 원형" 10 : 177-201, 2000

      3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통계" 보건복지부 2014

      4 이성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귀인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9 (9): 33-48, 2005

      5 이경옥, "정서장애아의 Bender-Gestalt Test 도형 모사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7 (7): 57-73, 2003

      6 이은미, "정서·행동장애 중도입국 다문화 청소년의 시계열적 자기이야기(self-narrative)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3, 2012

      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3

      8 최중옥, "연산 문장제 검사를 통한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지능과 근접발달대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3 : 113-129, 1999

      9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2015

      10 문상호, "아동학대 특례법, 이대로라면. . . 실효성 없는 법조문으로끝날 가능성 크다"

      1 이은주, "학부모의 아동학대와 대처방안 인식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5

      2 박 순, "학대받은 존속살해 무기수의 신화적 원형" 10 : 177-201, 2000

      3 보건복지부,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 통계" 보건복지부 2014

      4 이성화,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아동의 귀인양식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9 (9): 33-48, 2005

      5 이경옥, "정서장애아의 Bender-Gestalt Test 도형 모사에 관한 연구" 한국발달장애학회 7 (7): 57-73, 2003

      6 이은미, "정서·행동장애 중도입국 다문화 청소년의 시계열적 자기이야기(self-narrative)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16 (16): 1-23, 2012

      7 "전국아동학대현황보고서" 보건복지부 2013

      8 최중옥, "연산 문장제 검사를 통한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지능과 근접발달대의 상관관계 분석" 한국발달장애학회 3 : 113-129, 1999

      9 김영은, "아동학대예방을 위한 예비유아교사 인성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가천대학교 2015

      10 문상호, "아동학대 특례법, 이대로라면. . . 실효성 없는 법조문으로끝날 가능성 크다"

      11 Anthony J. Urquiza, "아동학대 방임피해 아동의 치료" 학지사 2003

      12 보건복지부, "아동복지법 제2조. 4조. 3조. 7조"

      13 최지영, "수험생어머니의 불안과 가족경계에 관한연구 : 근거이론적 접근" 한국가족치료학회 13 (13): 31-56, 2005

      14 Babbie Earl R., "사회조사방법론"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3

      15 최중진, "근거이론을 통해 살펴본 해결중심치료의 실천: 통합접근의 등장" 한국가족치료학회 24 (24): 1-26, 2016

      16 Silverman, A. B., "The Long-Term Sequelae of Child and Adolescent Abuse: A Longitudinal Community Study" 20 (20): 709-723, 1996

      17 Roe-Sepowitz, D. L., "The Impact of Child Abuse on Dissociative Symptoms : A Study of Incarcerated Women" 8 (8): 7-26, 2007

      18 Resenberg, H.,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1979

      19 Ross, S. M, "Risk of Physical Abuse to Children of Spouse Abusing Parents" 20 (20): 589-598, 1996

      20 Bethea, L. Primary, "Prevention of Child Abuse" 59 (59): 1572-1591, 1999

      21 Theoklitou, D., "Physical and Emotional Abuse of Primary School Children by Teachers" 36 (36): 64-79, 2012

      22 Famularo, R., "Parental Substance Abuse and the Nature of Child Maltreatment" 16 (16): 475-483, 1992

      23 Fuller-Thomson, E., "Making a Link Between Childhood Physical Abuse and Cancer : Results from a Regional Repres-entative Survey" 115 (115): 3341-3350, 2009

      24 Vizard, E. E., "Child Abuse: the Educational Perspective" Basil Blackwell 182-244, 1987

      25 이혜숙, "Arts-play 프로그램이 경도 정신지체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발달장애학회 11 (11): 61-79, 2007

      26 Kemp, Alan R., "Abuse in the Family : the Introduction" Brooks/Cole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발달장애학회지 -> 발달장애연구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7 0.87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0.98 1.174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