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준오, "한국현대장르비평론" 문학과지성사 1990
2 민병기, "한국의 자유시와 정형시에 관계" 한국시학회 (4) : 117-145, 2001
3 박슬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한국현대문학회 (42) : 5-28, 2014
4 박숙영, "한국 자유시 형성의 일본 근대시 영향" 8 : 2010
5 김성윤, "한국 근대자유시 형성기 연구 : 1910년대 최승구, 김여제, 현상윤의 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99
6 김신정, "한국 근대 자유시의 형성과 의미" 상허학회 10 : 9-255, 2003
7 "학지광(1914년 12월 창간)"
8 "태서문예신보(1918년 10월 창간)"
9 "삼광(1919년 2월 창간)"
10 N. 프라이, "비평의 해부" 한길사 1983
1 김준오, "한국현대장르비평론" 문학과지성사 1990
2 민병기, "한국의 자유시와 정형시에 관계" 한국시학회 (4) : 117-145, 2001
3 박슬기, "한국과 일본에서의 자유시론의 성립-근대시의 인식과 선언" 한국현대문학회 (42) : 5-28, 2014
4 박숙영, "한국 자유시 형성의 일본 근대시 영향" 8 : 2010
5 김성윤, "한국 근대자유시 형성기 연구 : 1910년대 최승구, 김여제, 현상윤의 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1999
6 김신정, "한국 근대 자유시의 형성과 의미" 상허학회 10 : 9-255, 2003
7 "학지광(1914년 12월 창간)"
8 "태서문예신보(1918년 10월 창간)"
9 "삼광(1919년 2월 창간)"
10 N. 프라이, "비평의 해부" 한길사 1983
11 김준오, "문학사와 장르" 문학과지성사 2000
12 고미숙, "근대전환기 시가사의 시각(광산구중서박사화갑기념논문집)" 10-11 : 1996
13 노춘기, "근대계몽기 유학생집단의 시가 장르와 표기체계에 관한 인식 연구 ― '태극학보'를 중심으로" 한민족문화학회 (40) : 177-215, 2012
14 주승택, "국한문 교체기의 언어생활과 문학활동"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 : 287-311, 2004
15 최호영, "1920년대 초기 시에 나타난‘거리감’의 몇 가지 형식과 숭고시학" 한국시학회 (38) : 297-321, 2013
16 장철환, "1920년대 시적 리듬 개념의 형성 과정" 한국시학회 (24) : 277-31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