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휠체어 사용 장애인을 위한 스마트홈 구축 및 사용성평가 = The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ing of the Smart Home for Wheelchair Users - Focus on th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t Home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0080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에서 접근성이 부족하여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접...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주거 환경에서 접근성이 부족하여 일상생활활동에 어려움을 겪는다.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이용한 스마트홈은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일상생활활동에 있어 접근성을 높여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을 위해 스마트홈을 구축하였고, 구축된 스마트홈에 대한 사용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사용성평가는 시나리오기반사용경험평가, 도구적 일상생활활동평가, 그리고 심층설문방법을 사용하였다. 지역사회 거주 휠체어 사용 장애인 3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홈 사용성평가를 실시한 결과, 기존 거주지에 비해 구축된 스마트홈의 사용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심층설문 결과, 스마트홈 내부의 부분적인 개선 요구사항 또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스마트홈 구축 시 휠체어 사용 장애인의 주거환경 구축에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요소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eelchair users found difficulties in living independently in their house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The state of the art smart home technology may enable wheelchair users to live independently. In this study, we built a smart home, and teste...

      Wheelchair users found difficulties in living independently in their houses due to the lack of accessibility. The state of the art smart home technology may enable wheelchair users to live independently. In this study, we built a smart home, and tested its usability with three community dwelling wheelchair users. Three evaluation methods such as scenario-based test, K-IADL(Korea instrumental activity of daily living) test, and in-depth interview were used. All three users responded positively for using the smart home. Through this study, we also found several necessary amendments in building smart homes for wheelchair us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홈 구축
      • 3. 스마트홈 사용성평가 방법 및 결과
      • 요약
      • Abstract
      • 1. 서론
      • 2. 휠체어 사용자를 위한 스마트홈 구축
      • 3. 스마트홈 사용성평가 방법 및 결과
      • 4. 토의 및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6 (6): 1-10, 2002

      2 김정현, "지체 장애인을위한 QoLT 테스트베드 설계 및 적용" 한국 HCI 학회 931-933, 2013

      3 손량희, "중증지체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홈 구축 및 사용성 평가" 한국 HCI 학회 767-769, 2012

      4 한태륜,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8

      5 이기호,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방법" 한국 HCI 학회 851-856, 2008

      6 박경수, "사용성 평가 방법들의 선택에 관한 연구" 2 : 153-159, 1996

      7 "국민임대주택 업무편람" 국토교통부

      8 Aplin, T.,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home that impact on home modification decision making" 60 (60): 101-109, 2013

      9 Jokela, T., "The standard of user-centered design and the standard definition of usability: analyzing ISO 13407 against ISO 9241-11" ACM 53-60, 2003

      10 Demiris, G., "Technologies for an aging society: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home"applications" 33-40, 2008

      1 원장원, "한국형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ADL)와 한국형 도구적 일상생활활동 측정도구(K-IADL)의 특징" 6 (6): 1-10, 2002

      2 김정현, "지체 장애인을위한 QoLT 테스트베드 설계 및 적용" 한국 HCI 학회 931-933, 2013

      3 손량희, "중증지체장애인을 위한 스마트 홈 구축 및 사용성 평가" 한국 HCI 학회 767-769, 2012

      4 한태륜, "재활의학" 군자출판사 2008

      5 이기호,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제품을 평가하는 방법" 한국 HCI 학회 851-856, 2008

      6 박경수, "사용성 평가 방법들의 선택에 관한 연구" 2 : 153-159, 1996

      7 "국민임대주택 업무편람" 국토교통부

      8 Aplin, T., "Understanding the dimensions of home that impact on home modification decision making" 60 (60): 101-109, 2013

      9 Jokela, T., "The standard of user-centered design and the standard definition of usability: analyzing ISO 13407 against ISO 9241-11" ACM 53-60, 2003

      10 Demiris, G., "Technologies for an aging society: a systematic review of "smart home"applications" 33-40, 2008

      11 Chan, M., "Smart homes - current features and future perspectives" 64 (64): 90-97, 2009

      12 Bloswick, D., "Maneuverability and usability analysis of three knee-extension propelled wheelchairs" 25 (25): 197-206, 2003

      13 Demiris, G., "Findings from a participatory evaluation of a smart home application for older adults" 16 (16): 111-118, 2008

      14 Arthanat, S, "Development of the usability scale for assistive technology-wheeled mobility: A preliminary psychometric evaluation" 21 (21): 79-95, 2009

      15 Copolillo, A., "Assistive technology and home modification for people with neurovisual deficits" 28 (28): 211-220, 2011

      16 Fange, A., "Accessibility and usability in housing: Construct validity and implications for research and practice" 25 (25): 1316-1325, 2003

      17 Ma, M. Y., "A new design approach of user-centered design on a personal assistive bathing device for hemiplegia" 29 (29): 1077-1089, 2007

      18 김성희, "2014년 장애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34-14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05 0.05 0.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11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