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國思想은 韓國人이 처해 있는 환경적 여건에 맞추어 자생적인 사고와 전래된 사상들을 主體的으로 흡수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해온 결과물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4728737
김진윤 ((사)한국정치발전연구원)
2012
Korean
Koerean Thoughts ; Dangunsasang(檀君思想) ; Hongikingan(弘益人間) ; Buddhism ; Confucianism ; Donghak(東學) ; Identity. ; 한국사상 ; 단군사상 ; 홍익인간 ; 불교사想 ; 유교사상 ; 동학 ; 정체성 ; Koerean Thoughts ; Dangunsasang(檀君思想) ; Hongikingan(弘益人間) ; Buddhism ; Confucianism ; Donghak(東學) ; Identity.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41-64(24쪽)
1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韓國思想은 韓國人이 처해 있는 환경적 여건에 맞추어 자생적인 사고와 전래된 사상들을 主體的으로 흡수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해온 결과물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
韓國思想은 韓國人이 처해 있는 환경적 여건에 맞추어 자생적인 사고와 전래된 사상들을 主體的으로 흡수하여 그들의 생존을 위한 최선의 선택을 해온 결과물이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 ‘主體的’이라는 의미는 韓民族이 共同體를 형성한 시점에서 시작된 檀君思想의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하여 불교사상과 유교사상을 흡수하여 주체적 자기 것으로 만들었다는 것을 말한다. 즉 고유의 한국사상이 불교와 유교의 전래로 外形的인 모습에서 불교사상와 유교사상의 모습으로 한국사상을 포장하고 있지만 그 바탕에서 人間中心的 思考로 현실적인 인간의 모습과 그들의 질서에 주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한국사상은 우리 한민족이 태초부터 자연과 더불어 살아오면서 나름대로의 얻은 삶의 지혜와 질서의 總合이라고 규정할 수 있다. 이러한 한국사상의 正體性은 한민족이 형성돤 이후 줄곧 그 맥을 면면이 이어오는 과정에서 언제나 그 방향성의 指標가 되었으며, 그것이 바로 弘益人間精神과 理化世界精神을 根基로 한 人間中心的 思考로서 그 正體性의 핵심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Korean thought is the deliverables that Koreans subjectively absorbed in the indigenous ideas and imported thought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y've done the best choice for their survival. Here ‘subjective’ means that ...
The Korean thought is the deliverables that Koreans subjectively absorbed in the indigenous ideas and imported thought in accordance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they've done the best choice for their survival. Here ‘subjective’ means that at one point the Koreans absorbed in Buddhism and Confucian basd on Hongikingan(弘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 Mind in the Dangunsasang(檀君思想) on the subjective. The unique Korean thought is packed in the outward appearanc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to the guise of Buddhism and Confucianism, but it can be based on realistic appearance of human and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focuses their order Therefore, the Korean thought can be defined as the sum of its own wisdom and order of life that our ancestors gained from the beginning of life with nature. Since the Koreans were formed in the process of coming, the identity of these Korean thought always behave an indicator of the direction. And these anthropocentric thinking that based on Hongikingan(弘益人間) Mind and Ewhasiege(理化世界)Mind can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identity of Korean thought.
참고문헌 (Reference)
1 "論語"
2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93
3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 책세상 2001
4 윤사순,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1993
5 전영배, "한국사상의 흐름" 지구문화사 1995
6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博英社 1992
7 김재영, "한국사상의 맥" 한국학술정보(주) 2009
8 정경환, "최제우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211-242, 2012
9 정경환,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9-44, 2010
10 임형진, "수운의 이상사회론 -개벽과 청우당의 이상국가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15 (15): 177-213, 2011
1 "論語"
2 임승국, "한단고기" 정신세계사 1993
3 탁석산, "한국의 정체성" 책세상 2001
4 윤사순, "한국의 유학사상" 삼성출판사 1993
5 전영배, "한국사상의 흐름" 지구문화사 1995
6 황준연, "한국사상의 이해" 博英社 1992
7 김재영, "한국사상의 맥" 한국학술정보(주) 2009
8 정경환, "최제우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211-242, 2012
9 정경환, "제1장 풍류도의 내용과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민족사상학회 4 (4): 9-44, 2010
10 임형진, "수운의 이상사회론 -개벽과 청우당의 이상국가를 중심으로" 동학학회 15 (15): 177-213, 2011
11 김진윤, "민족의 전통사상과 정체성 - 경북의 整體性과 새마을정신의 연관성 맥락에서 -" 한국민족사상학회 6 (6): 107-137, 2012
12 "高麗史"
13 金忠烈, "高麗儒學史" 고려대학교출판부 1984
14 宋錫球, "韓國의 儒佛思想" 思社硏 1986
15 韓昇助, "韓國精神史의 脈絡, In 韓國의 傳統思想 흐름" 螢雪出版社 1983
16 朴忠錫, "韓國政治思想史" 三英社 1982
17 金榮國, "韓國政治思想" 博英社 1991
18 裵宗鎬, "韓國儒學史" 延世大學校出版部 1985
19 李篪衡, "茶山經學硏究" 太學社 1996
20 김진윤, "甲午東學農民運動의 목표와 방향으로서의 弊政改革案" 한국민족사상학회 5 (5): 135-186, 2011
21 尹絲淳, "東洋思想과 韓國思想" 乙酉文化社 1993
22 李克燦, "政治學" 法文社 2001
23 國民倫理學會, "思想과 倫理" 螢雪出版社 1998
24 "中庸"
25 蕭公權, "中國政治思想史" 聯經出版事業公司 1993
26 劉明鍾, "中國思想史(Ⅰ)" 以文出版社 1984
27 "三國遺史"
28 "三國史記"
29 "丁茶山全書"
30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384089&mobile&categoryId=1225"
31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00000000&docId=1084698&mobile&categoryId=200000124"
32 "http://terms.naver.com/entry.nhn?cid=1590&docId=570206&mobile&categoryId=1590"
33 "http://blog.naver.com/mujijan/90027784016"
34 E. H. Erikson, "The problem of ego identity" 4 : 56-121, 1956
한국의 선비정신과 정의사회의 구현 -정치인과 정치교수의 행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