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퍼스의 기호학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연구: -이론적 현황, 문제점과 대안적 모델- = A study on the semiotic communication of Peirce: Theoretical background, problems, and the exploration of an alternative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4469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eirce`s semiotics, settle problem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The secondary aim of this paper is to build an alternative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which can explain communication phenomena in the real world. For this purpose, advanced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relevant to the study is analyzed, arranging and organizing issues, to be illuminated the following semiotic communication process. Semiotic messages produced by the intended interpretant of the speaker are to be understandable by the effective interpretant of the receiver. This process is made up of a common interpretant, metaphor, and inference. Metaphor and inference based on the common interpretant work to generate cognitive comme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receiver. These processes lead to communication. Peirce`s semiotic communication is particularly distinctive in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the mechanisms of the sel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eirce`s semiotics, settle problem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The secondary aim of this paper is to build an alternative semiotic...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ommunication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Peirce`s semiotics, settle problems, and explore the possibility of building a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The secondary aim of this paper is to build an alternative semiotic communication model which can explain communication phenomena in the real world. For this purpose, advanced internal and external research relevant to the study is analyzed, arranging and organizing issues, to be illuminated the following semiotic communication process. Semiotic messages produced by the intended interpretant of the speaker are to be understandable by the effective interpretant of the receiver. This process is made up of a common interpretant, metaphor, and inference. Metaphor and inference based on the common interpretant work to generate cognitive commens between the speaker and the receiver. These processes lead to communication. Peirce`s semiotic communication is particularly distinctive in that it has the potential to explain the mechanisms of the self, individual,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창연,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메타퍼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46-69, 2004

      2 김성도, "해외문학 특집 : 현대기호학 현상, 인식, 그리고 기호 : 퍼스 기호학 서설" 23 : 425-449, 1994

      3 백선기, "한국 신문의 실명제 보도에 대한 의미구조 연구" (4) : 101-137, 1994

      4 백선기, "한국 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연구 : 정총리서리 폭행 사건 보도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 : 181-246, 1992

      5 이병주, "퍼스의 기호학과 라클라우⋅지젝의 담론이론을 통해 본 툴민의 논증 이론" 2 : 108-148, 2003

      6 김성도, "퍼스의 기호학 사상" 민음사 2006

      7 김성도, "퍼스의 기호학" 65 (65): 148-155, 1995

      8 Hoopes, J.,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9 이윤희, "퍼스(Peirce) 기호학적 접근으로 본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 홍상수 감독의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5 : 455-488, 2009

      10 이윤희,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1 조창연, "휴먼 커뮤니케이션의 메타퍼 모형 구축을 위한 연구:대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2 (12): 46-69, 2004

      2 김성도, "해외문학 특집 : 현대기호학 현상, 인식, 그리고 기호 : 퍼스 기호학 서설" 23 : 425-449, 1994

      3 백선기, "한국 신문의 실명제 보도에 대한 의미구조 연구" (4) : 101-137, 1994

      4 백선기, "한국 신문의 공정성에 대한 연구 : 정총리서리 폭행 사건 보도 대한 기호학적 분석을 중심으로" 1 : 181-246, 1992

      5 이병주, "퍼스의 기호학과 라클라우⋅지젝의 담론이론을 통해 본 툴민의 논증 이론" 2 : 108-148, 2003

      6 김성도, "퍼스의 기호학 사상" 민음사 2006

      7 김성도, "퍼스의 기호학" 65 (65): 148-155, 1995

      8 Hoopes, J., "퍼스의 기호학" 나남 2008

      9 이윤희, "퍼스(Peirce) 기호학적 접근으로 본 서사적 커뮤니케이션 - 홍상수 감독의 『생활의 발견』을 중심으로 -" 한국기호학회 25 : 455-488, 2009

      10 이윤희, "퍼스 기호학의 이해"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13

      11 이두원, "커뮤니케이션과 기호" 커뮤니케이션북스 1998

      12 이두원, "커뮤니케이션 현상에 대한 기호학적 접근"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4

      13 이두원, "찰스 퍼스의 커뮤니케이션 사상에 대한 연구-기호 세계의 속성과 논리중심으로" 3 (3): 432-454, 1997

      14 Eco, U., "일반 기호학 이론" 열린 책들 2009

      15 조창연, "인지생성과 기호생성의 관계에 대한 기호학적 연구- 피아제의 발생학적 인지이론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1 (1): 101-145, 2004

      16 강미정, "습관과 의미 : C. S. 퍼스의 해석체 이론 연구" 한국기호학회 25 : 261-286, 2009

      17 박상호, "스타크래프트의 기호와 공간에 관한 연구 : 퍼스의 기호론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8 조창연, "소셜 미디어의 매체 기호학적 함의- 퍼스 기호학을 중심으로" 한국기호학회 39 : 537-564, 2014

      19 조성택, "브랜드의 퍼스 기호학적 접근" 13 : 261-280, 2003

      20 백선기, "미디어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21 박정순, "대중 매체의 기호학" 나남 1995

      22 김주환, "논리와 추리의 기호학" 인간사랑 1994

      23 박명진, "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 연구" 1 : 151-168, 1995

      24 Santaella, L., "Why Peirce's Semiotics is also a theory of communication" Hacker 2004

      25 Tejera, V., "Transactions to the Charles S" Peirce Society 107-125, 1996

      26 Deledalle, G, "Théorie et pratique du signe" Payot 1979

      27 Arbib, M. A, "The metaphorical Brain 2: Neuronal Networks and Beyond" John Wiley & Sons 1989

      28 Eco, U, "The Sign of Three" Dupin, Holmes, Peirce 1983

      29 강미정, "Subject of SNS Design : The semiotic concept of self as developed by Peirce and Bakhtin/Volosinov" 한국기호학회 40 : 7-26, 2014

      30 Colapietro, V., "Peirce’s approach to the Self : a semiotic perspective on human subjectivity" SUNY press 1989

      31 이윤희, "Peircean symbol and its significance for interpreting activity: a functional approach to symbol" 한국기호학회 20 (20): 255-284, 2006

      32 Andrson, D., "Peirce on Metaphor" 20 (20): 453-468, 1984

      33 Oehler, K., "Peirce and Contemporary Thought: philosophical Inquires" Fordham Univ. Press 267-271,

      34 Pietarinen, Ahti-V. J., "Mobile Learning: Eassays of philosophy, Psychology and Education" Vienna : Passagen Verlag 81-98, 2003

      35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6 Nöth, W., "Handbuch der Semiotik, 2., vollständig neu nearb u. erweit Auf" Metzler 2000

      37 Baltzer, U., "Erkenntnis als Relationengeflecht: Kategorien bei Charles S" München usw. 1994

      38 Sorensen, B., "Comments regarding Charles S, Peirce's notion of consciousness, abduction, and the hypo-icon metaphor" 172 (172): 11-23, 2008

      39 Peirce, C. S., "Collected Paper(약어: CP)" Harvard Univ. Press 1958

      40 Habermas, J., "Charles S. Peirce über Kommunikation(9-33)" Suhrkamp 1991

      41 Savan, D., "An Introduction to C. S. Peirce’s Full System of Semiotic" Toronto Semiotic Circle 1988

      42 이두원, "An Explication of a semiotic phenomenological model of intraperonal communication" 33 (33): 235-250, 2011

      43 Cihua, X., "Abduction and Metaphor : An Inquiry into Common Cognitve Mechanism" 6 (6): 480-491,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emiotic inquiry -> Semiotic Inquir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6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9 1.335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