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학교 현장에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새로운 방식의 교육 형태와 학교 업무 전산화의 필요성이 대 두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서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256749
2004
Korean
370.714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67-77(11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최근 학교 현장에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새로운 방식의 교육 형태와 학교 업무 전산화의 필요성이 대 두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서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교...
최근 학교 현장에 인터넷의 보급과 함께 새로운 방식의 교육 형태와 학교 업무 전산화의 필요성이 대
두되었다. 이에 따라 새로운 교육 방식으로서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활용교
육을 통한 다양한 교수-학습 모형이 시도되고 있으나, 학교 업무 전산화는 오프라인에서 종이문서를 단
편적으로 입력하고 데이터를 출력하는 형태에 머물러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웹 기반의 업무처리
방식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 교구 관리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에서 관리하는 과학 교구 관리업무를 시․도교육청 기준
안에 따라 표준화, 정보화하고 또한 교육청의 교구기준에 따라 자료를 선정하여 업무의 효율성과 신속
성을 증진시킨다. 둘째, 교구관리시스템을 기초 정보 관리, 교구 기준 관리, 교구 현황 관리 등으로 구성
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 셋째, 초등학교 교구기준에 맞추어 설계함으로써 기준
량, 보유량 및 부족량의 파악과 교구확충계획을 효율적으로 수립하여 업무의 경감과 인력 및 시간의 낭
비를 줄일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ecently, the rapid progress of internet technology stirs the widespread development in the educational areas. Internet has been exploited as an effective means to support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as well as to supplement traditional off-line te...
Recently, the rapid progress of internet technology stirs the widespread development in the
educational areas. Internet has been exploited as an effective means to support 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as well as to supplement traditional off-line teaching-learning methods. Science instruments are very important tools for science-related courses in the elementary schools. However, managing science instruments effectively has not been concerned greatly so far. Only off-line management systems were presented. In this paper, a Web-based science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is proposed.
The proposed Web-based science instrument management system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an extensive model for science instrument management is presented. The proposed model can be used as a standard model for effective management. Second, the system can provide inventory information as well as standard instrument requirements to teachers anytime anywhere. The system helps teachers make decisions on procurement plan. Finally, the user interface is designed to support easy navigation and simple use.
목차 (Table of Contents)
재량활동시간을 이용한 ICT 활용교육의 현황 및 개선방안
컴퓨터보조 자기장학이 Flanders 주요수업언어지수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교원 원격 연수 시스템 분석을 통한 원격 연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