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영화 리뷰 콘텐츠의 현재와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논쟁을 통해 본 영화비평의 방향성 = The Present of Movie Review Content and the Direction of Movie Criticism through the Debate of Star Wars : The Last Jedi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8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 날의 변화하는 영화콘텐츠 소비 환경에서 영화비평계는 전문가들이 생산하는 엘리트 비평의 비중이 축소되고 대중적 아마추어 비평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문화...

      오늘 날의 변화하는 영화콘텐츠 소비 환경에서 영화비평계는 전문가들이 생산하는 엘리트 비평의 비중이 축소되고 대중적 아마추어 비평이 활성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문화매개자’라고 할 수 있는 대중비평가에 의해 생산되는 영화 리뷰 콘텐츠를 가이드 리뷰와 스포일러 리뷰로 구분해 살펴보았다. 또한 <스타워즈 : 라스트 제다이>에 대한 평가를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한 전문 비평가들과 아마추어 대중 비평가들의 충돌 사례를 통해 영화비평계를 진단하고 향후 영화비평이 나아가야 할 발전적 방향성을 고찰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oday's changing environment of movie content consumption, the proportion of elite criticism produced by experts is decreasing and public amateur criticism is being activated. In response, this study divided movie review contents produced by public...

      In today's changing environment of movie content consumption, the proportion of elite criticism produced by experts is decreasing and public amateur criticism is being activated. In response, this study divided movie review contents produced by public critics, which can be called “online cultural intermediaries,” into guide reviews and spoiler reviews. In addition, through a conflict between professional and amateur public critics who were sharply opposed to the evaluation of Star Wars: The Last Jedi, we diagnosed movie criticism and considered the developmental direction in which movie criticism should proceed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지연, "허구와 현실을 오가는 은밀한 공동체로서의 온라인 팬덤 사례 연구"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8) : 77-118, 2020

      2 최배석, "한국인의 정치적 팬덤 정서와 영화의 수용 : <변호인>,(2013)과<국제시장>,(2014)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89-304, 2018

      3 "테일러콘텐츠"

      4 권선주, "전문가 평가가 영화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2013년 한국개봉영화의 증거" 한국문화경제학회 17 (17): 3-21, 2014

      5 "유튜브"

      6 "엔터미디어"

      7 "씨네21"

      8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웹진"

      9 "블랙밤바"

      10 "부기영화"

      1 유지연, "허구와 현실을 오가는 은밀한 공동체로서의 온라인 팬덤 사례 연구"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18) : 77-118, 2020

      2 최배석, "한국인의 정치적 팬덤 정서와 영화의 수용 : <변호인>,(2013)과<국제시장>,(2014)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289-304, 2018

      3 "테일러콘텐츠"

      4 권선주, "전문가 평가가 영화흥행성과에 미치는 영향력: 2013년 한국개봉영화의 증거" 한국문화경제학회 17 (17): 3-21, 2014

      5 "유튜브"

      6 "엔터미디어"

      7 "씨네21"

      8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웹진"

      9 "블랙밤바"

      10 "부기영화"

      11 조해진, "문화콘텐츠작품분석을 위한 스토리공학적모델설계에 관한 연구- 영화콘텐츠를 중심으로 -" 인문콘텐츠학회 (37) : 115-152, 2015

      12 임대근, "문화콘텐츠비평: 콘텐츠 액티비즘의 가능성" 인문콘텐츠학회 (53) : 71-85, 2019

      13 최연희, "문화비평과 미학" KNOU PRESS 2019

      14 김지현, "문화매개자로서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 웹 이후, 아마추어 비평의 발전과 영화비평 문화의 변화"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1

      15 김지현, "문화매개자로서 아마추어 영화비평 블로거 연구"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21) : 5-40, 2012

      16 이상길, "문화매개자 개념의 비판적 재검토: 매스미디어에서 온라인 미디어까지" 한국언론정보학회 52 (52): 154-176, 2010

      17 심보선, "문화매개(자)의 불확실성에 대한 사회학적 고찰: 문화정책과 문화산업 분야를 중심으로" The Korean Association for Cultural Sociology 27 (27): 333-383, 2019

      18 "무릉도원에서 삼라만담"

      19 "맥스무비"

      20 "매일경제"

      21 박유희, "디-워 논란과 영화비평의 존재방식" 20 (20): 2007

      22 원용진, "대중비평 시대를 어떻게 볼 것인가 : 대중비평의 형성 과정" 29 (29): 2007

      23 존 피스크, "대중문화의 이해" 경문사 1989

      24 김정은, "대중문화 비평의 관점과 기술" 커뮤니케이션북스 2015

      25 김희주, "다변화하는 플랫폼을 종횡하는 문화비평 노동자에 대한 연구" 성공회대학교 2017

      26 앤드류 킨, "구글, 유튜브, 위키피디아, 인터넷 원숭이들의 세상" 한울 2010

      27 "rogerebert. com"

      28 "metacritic"

      29 "Times"

      30 "The Atlantlc"

      31 이호은, "TV 영화소개프로그램과 영화관람에 관한 유형화 연구" 2008

      32 "Old Cinema DAY"

      33 So Young Lee, "Fandom as a Prosumer : Study on Information Behavior of Fandom" The Korea Society of Digital Policy and Management 11 (11): 747-759, 2013

      34 "Box Office Mojo"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9-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