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는 Peter lbarra와 John Kitsuse(1993)에 의해 제시된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이 토론 교육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 후에 토론 교육 내용에 어떻게 활용...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Peter lbarra와 John Kitsuse(1993)에 의해 제시된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이 토론 교육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 후에 토론 교육 내용에 어떻게 활용...
본고는 Peter lbarra와 John Kitsuse(1993)에 의해 제시된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이 토론 교육에 있어서 어떤 부분에 적용 가능한지를 검토한 후에 토론 교육 내용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고찰한 것이다.
논제별로는 가치 논제 토론에는 적용할 수 없으며, 정책 논제 토론 중에서 ‘피해’와 ‘내재성’에 해당하는 부분에 ‘레토릭의 관용표현’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항레토릭’에 관해서는 반박에 있어서 기존 연구에서 제시된 ‘논점 회피’에는 적용할 수 없으나 ‘부분 인정 부분 반박’과 ‘전면적인 반박’에 적용하여 더 세밀화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제 정책 논제 토론 담화에 적용해서 검토하기 위해 ‘학교 무상급식’에 관한 방송 토론 담화를 선정하였다. 분석 자료에 나타난 찬성 측의 입론과 반대 측의 반박을 추출해 정리한 후에 ‘레토릭의 관용표현’과 ‘대항레토릭’을 적용한 결과 입론과 반박의 개선점이 명확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찬성 측의 입론에서 ‘레토릭의 관용표현’을 사용함으로써 문제의 대상이 뚜렷해져 본질적인 문제 해결을 위한 토론으로 진행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실제 토론 수업에서 토론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찬성 측의 입론이 잘 구성되어야 한다. 찬성 측 입론의 이상형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하고도 가장 적합한 수단’에 가까워지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토론 교육 내용에 더해 본고에서 소개한 ‘레토릭의 관용표현’의 활용이 필요하다.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근복, "합리적 정책토론의 구조와 운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7-52, 2013
2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3 육영주, "토론 유형에 따른 반박 전략" 한국언어문화학회 (50) : 165-187, 2013
4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5 서승아,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중등 학습자군의 웹 토론을 대상으로-" 한국화법학회 (18) : 39-72, 2011
6 서현석, "초등학교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한국화법학회 (18) : 73-102, 2011
7 박재현, "초·중·고 학생의 정책 토론 입론 양상 분석 -피해와 내재성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5) : 159-187, 2014
8 염재호, "정책토론의 논리와 수사 - 사회자의 관점에서 본 시사토론의 설득과 수사" 한국수사학회 (2) : 81-93, 2005
9 박재현, "정책 토론의 입론 구성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글학회 60 : 93-121, 2014
10 박재현, "방송 토론 인신공격 발언의 역기능과 개선 방안" 한국화법학회 (38) : 1-30, 2017
1 강근복, "합리적 정책토론의 구조와 운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7-52, 2013
2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3 육영주, "토론 유형에 따른 반박 전략" 한국언어문화학회 (50) : 165-187, 2013
4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5 서승아,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중등 학습자군의 웹 토론을 대상으로-" 한국화법학회 (18) : 39-72, 2011
6 서현석, "초등학교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한국화법학회 (18) : 73-102, 2011
7 박재현, "초·중·고 학생의 정책 토론 입론 양상 분석 -피해와 내재성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5) : 159-187, 2014
8 염재호, "정책토론의 논리와 수사 - 사회자의 관점에서 본 시사토론의 설득과 수사" 한국수사학회 (2) : 81-93, 2005
9 박재현, "정책 토론의 입론 구성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글학회 60 : 93-121, 2014
10 박재현, "방송 토론 인신공격 발언의 역기능과 개선 방안" 한국화법학회 (38) : 1-30, 2017
11 김주환, "대학생 토론 담화의 입론 구성 연구" 한국화법학회 (34) : 31-64, 2016
12 김주환, "대학생 토론 담화의 반박 전략 분석" 한국화법학회 (31) : 45-72, 2016
13 이민형, "가치 논제 토론의 입론 형식 유형 연구 - 필수 쟁점의 논리 구조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0 (50): 121-160, 2015
14 김혜연, "TV토론에 대한 매체언어교육적 접근을 위한 시론 : "메타TV토론"식 교수학습 방법을 적용하여" 83 : 161-210, 2009
15 김지연, "TV 토론 담화의 의사소통 전략에 대한 고찰 -체면위협행위를 중심으로-" 한국화법학회 (25) : 103-132, 2014
16 서영진, "TV 토론 담화 분석을 통한 논증 도식 유형화" 국어교육학회 (43) : 285-321, 2012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목표구조와 학생평가전문성의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신입직원의 멘토링을 통한 조직 적응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