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modern Kousyousei(公娼制) and the Japanese military’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it leads to the occupation of the occupied army after the defeat, t...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modern Kousyousei(公娼制) and the Japanese military’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it leads to the occupation of the occupied army after the defeat, t...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apan’s modern Kousyousei(公娼制) and the Japanese military’s “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 issue, and existing research results that it leads to the occupation of the occupied army after the defeat, the US military’s gender policy was amplified and changed by interaction with the garrison. Since 1945, U.S. troops deployed abroad have had to operate in unfamiliar invironments that not only are far away from their families but also feel superior in race and culture, so GHQ’s policy has developed under the circumstances of occupied Japan. Through this process, we would like to find out how women, who were called “to the breakwater of sex” to maintain social order, were marginalized and exposed to greater violence between the Japanese government’s policies 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s gender policy.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본의 근대 공창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관련성, 그리고 그것이 패전 후 점령군 ‘위안부’로 이어진다는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1910년대 후반부터 시행된 ‘...
이 연구는 일본의 근대 공창제도와 일본군 ‘위안부’ 문제의 관련성, 그리고 그것이 패전 후 점령군 ‘위안부’로 이어진다는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바탕으로 1910년대 후반부터 시행된 ‘아메리칸 플랜’이라는 미군의 성 정책이 주둔지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증폭되고 변화했다는 점을 일본이 패전 후 미군의 점령을 대비해 만든 특수위안시설협회(RAA)의 설립과 이후의 활동 내용을 통해 살펴볼 것이다. 1945년 이후에 해외로 배치되는 미군들은 가족들과 멀리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인종 및 문화적인 측면에서 우월감을 느끼게 하는 낯선 환경에서 작전을 수행해야 했기 때문에 미 본국의 성 정책에 기초하지만, 점령지 일본의 상황 하에서 본국과는 다른 GHQ의 정책이 전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패전 후, 사회질서의 유지를 위해 ‘성의 방파제로’ 호출되었던 여성들이 일본 정부 시책과 이를 받아들여 안정적인 점령을 꾀했던 미군정의 성 정책 사이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주변화되어가고 더 큰 폭력에 노출되었는지 밝히고자 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도우스 마사요, "패자의 선물" 구월 1992
2 존 다우어,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민음사 2009
3 심아정, "일본인 ‘위안부’문제를 어떻게 공공화할 것인가-‘공인’과 ‘은폐’의 연속성을 묻다" 2020
4 ‘전쟁과 여성에 대한 폭력’ 리서치 액션 센터, "일본인 ‘위안부’-애국심과 인신매매" 논형 2021
5 일본의 전쟁 책임 자료센터, "일본의 군 ‘위안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6 문승숙, "오버 데어 : 2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미군 제국과 함께 살아온 삶" 그린비 2017
7 후지메 유키, "성의 역사학-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8 박정미, "금욕에서 예방으로: 2차 세계전쟁기 미군의 성병통제, 생명권력과 젠더" 비판사회학회 (113) : 234-263, 2017
9 김귀옥, "그곳에 한국군 ‘위안부’가 있었다-식민주의와 전쟁, 가부장제의 공조" 선인 2019
10 川元祥一, "開港慰安婦と被差別部落 戦後RAA慰安婦への軌跡" 三一書房 1997
1 도우스 마사요, "패자의 선물" 구월 1992
2 존 다우어, "패배를 껴안고 : 제2차 세계 대전 후의 일본과 일본인" 민음사 2009
3 심아정, "일본인 ‘위안부’문제를 어떻게 공공화할 것인가-‘공인’과 ‘은폐’의 연속성을 묻다" 2020
4 ‘전쟁과 여성에 대한 폭력’ 리서치 액션 센터, "일본인 ‘위안부’-애국심과 인신매매" 논형 2021
5 일본의 전쟁 책임 자료센터, "일본의 군 ‘위안부’ 연구" 동북아역사재단 2011
6 문승숙, "오버 데어 : 2차 세계대전부터 현재까지 미군 제국과 함께 살아온 삶" 그린비 2017
7 후지메 유키, "성의 역사학-근대국가는 성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삼인 2004
8 박정미, "금욕에서 예방으로: 2차 세계전쟁기 미군의 성병통제, 생명권력과 젠더" 비판사회학회 (113) : 234-263, 2017
9 김귀옥, "그곳에 한국군 ‘위안부’가 있었다-식민주의와 전쟁, 가부장제의 공조" 선인 2019
10 川元祥一, "開港慰安婦と被差別部落 戦後RAA慰安婦への軌跡" 三一書房 1997
11 いのうえ せつこ, "敗戦秘史 占領軍慰安所-国家による売春施設" 新評論 2008
12 藤野豊, "性の国家管理-買売春の近現代史" 不二出版 2001
13 井上節子, "占領軍慰安所-敗戦秘史 国家による売春施設" 新評論 1995
14 芝田英昭, "占領期の性暴力 戦時と平時の連続性から問う" 新日本出版社 2022
15 恵泉女学園大学平和文化研究所, "占領と性 : 政策・実態・表象" インパクト出版会 2007
16 吉見義明, "シリーズ日本の中の世界史「買春する帝国: 日本軍「慰安婦」問題の基底」" 岩波書店 2019
17 林博史, "アメリカ軍の性対策の歴史-1950年代まで" 学会学会誌編集委員会 (7) : 2005
18 Commission on Training Camp Activities, "War Department, Smash The Line!"
19 Anne Cipriano Venzon, "The United States in the First World War" Routledg 2013
20 Scott W. Stern, "The Long American Plan: The U.S. Government’s Campaign Against Venereal Disease and Its Carriers" 38 (38): 2015
21 David J. Piva, "Purity and Hygiene: Women, Prostitution, and the ‘American Plan,’ 1900-1930" Greenwood press 2002
22 Brandt Allan M, "No magic bullet:a social history of venereal disease in the United States since 1880" Oxford University Press 1987
23 김서형, "20세기 초 혁신주의 개혁가들과 연방정부의 성병 통제 정책" 인문학술원 (15) : 477-519, 2021
1970년대 일본에서의 김지하 담론― 《김지하: 우리에게 있어서의 의미》를 중심으로
상하이시절의 이광수와 사회주의― 역술 「아라사혁명기」(1920)를 중심으로
동국정운한자음 DB 활용 극대화를 위한검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반도 지하의 후견헌법― 소설 「총독의 소리」의 경륜론과 메이지 헌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