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고용지원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센터는 중앙기관 1개와 그 외 18개지사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다. 선행 연구에서 수요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04422
2015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15(5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200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고용지원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센터는 중앙기관 1개와 그 외 18개지사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다. 선행 연구에서 수요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
2004년부터 실시되고 있는 고용지원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센터는 중앙기관 1개와 그 외 18개지사의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이다. 선행 연구에서 수요자의 만족도 조사를 통해 서비스의 필요성이 입증되었다. 그러나 센터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 양적 서비스에서 질적 서비스를 실시할 필요성이 나타나면서 수요분석을 통해 고용지원 보조공학 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2013년도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보조공학기기지원사업의 성과의 분석 통해 보조공학기기 수용에 대한 추계율을 분석하였다. 국가 및 지자체에서 지원하고 관리하는 센터의 경우의 보조공학서비스가 필요한 장애인 수요자를 지원하기에 인력 및 지원이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이를 통해 증가하는 장애인 인구수와 그 들의 다양한 욕구를 해결 할 수 있는 고용지원 보조공학 센터는 설립이 필요하다고 조사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at is facilities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supported employment since 2004"s. This center have one central organization and 18 branch offices. The need of this service through satisfac...
It is Korea Employment Agency for the Disabled that is facilities providing assistive technology services for supported employment since 2004"s. This center have one central organization and 18 branch offices. The need of this service through satisfaction research of the demand is confirmed by precedent study Therefore foundation of assistive technology center for supported employment should be required by demand analysis because of improving professional and providing "qualitative" services instead of "quantitative" ones. So assistive technology center for supported employment can resolve a problem about various needs for increasing disabled population. Demand of establishing this center has been research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영환,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의 변화형태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83-87, 2012
2 보건복지부, "제 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12
3 고용노동부, "제 4차 장애인고용촉진 5개년 계획(안)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4 이근민, "장애인고용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전달체계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4
5 최원석, "보조공학서비스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6
6 전영환, "보조공학서비스 효과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7
7 오도영,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 미국, 일본,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161-189, 2009
8 전영환, "보조공학기기의 장애인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 효과"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77-83, 2012
9 이근민,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 한국형 W.T.C. 설립 타당성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4
1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3년 상반기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실적 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3
1 전영환, "취업장애인의 보조공학기기 사용의 변화형태 분석"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83-87, 2012
2 보건복지부, "제 4차 장애인정책종합계획" 보건복지부 2012
3 고용노동부, "제 4차 장애인고용촉진 5개년 계획(안)수립을 위한 기초연구"
4 이근민, "장애인고용을 위한 보조공학서비스전달체계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4
5 최원석, "보조공학서비스효과성 제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6
6 전영환, "보조공학서비스 효과분석"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007
7 오도영, "보조공학서비스 전달체계에 대한 국가간 비교 연구: 미국, 일본, 스웨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행정연구원 18 (18): 161-189, 2009
8 전영환, "보조공학기기의 장애인 고용증대 및 고용유지 효과" 한국재활복지공학회 6 (6): 77-83, 2012
9 이근민, "보조공학기기 지원 서비스의 현황과 전망 - 한국형 W.T.C. 설립 타당성 연구"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4
10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3년 상반기 보조공학기기 지원사업 실적 보고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13
11 한국자앵인고용공단, "2004 보조공학 서비스 욕구 및 수요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 구직·근로 장애인을 중심으로" 한국장애인고용공단 2004
IT 융합기반 도로안전지킴이로봇을 통한 도로 건설 현장에서의 장애인운전환경 개선 연구
장애인의 스마트 기기 접근성 제고를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7 | 0.27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8 | 0.36 | 0.566 | 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