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의 정체성 찾기와 규범의 경계 가로지르기 = Finding female identity and crossing the boundaries of norm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다루는 소설은 1990년대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 제도, 폭력적 남성, 희생되는 여성’이라는 도식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층위에서 여성 문제에 접근하고 ...

      여성의 정체성 찾기를 다루는 소설은 1990년대 이후 ‘남성중심주의 사회 제도, 폭력적 남성, 희생되는 여성’이라는 도식적인 서사구조에서 벗어나 다양한 층위에서 여성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규범, 주체, 타자의 관계를 핵심축으로 하는 주체 형성 과정에 주목해 이들 작품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본고는 이러한 입장에서 오정희의 「옛 우물」, 한강의 「몽고반점」, 주지영의 「사나사나」에 나타나는 여성 정체성 찾기를 고찰하였다. 세 작품 모두 남성/여성의 단순한 이분법적 대립구조를 넘어, 보편규범과 특수규범의 대립, 주체와 타자의 대립, 타자의 특수규범에 대한 지향을 공통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면서 「옛 우물」에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하지 않는 점, 「몽고반점」에서는 특수규범의 세계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사나사나」에서는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시키는 번역의 단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가 등장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지닌다. 오정희의 「옛 우물」의 여성 ‘나’는 ‘옛 우물’로 표상되는 모성성의 세계를 특수규범으로 설정하고, 이 규범을 통해 타자로서 도구화된 ‘나’를 해체하고 새로운 ‘나’의 정체성을 확보한다. 한강의 「몽고반점」의 처제는 동물적 폭력이 난무하는 보편규범에 길들여지기를 거부하고 ‘몽고반점’으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을 강렬히 욕망함으로써 화석화되어 간다. 한편 ‘그’는 처제의 특수규범의 세계로 나아가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등장한다. 주지영의 「사나사나」의 여성 소설가 ‘나’는 도구화된 여성 되기를 거부하고 두 명의 경계선상의 주체를 매개로 해서 ‘옹이 나무’로 표상되는 특수규범으로 나아간다. ‘나’는 ‘옹이의 언어’로 ‘옹이의 세계’를 지향하는 소설을 쓰고자 함으로써, 경계를 가로질러 특수규범을 이동(번역)시켜 보편규범을 재정식화하는 경계선상의 주체로 질적으로 전회한다. ‘소설가’이자 ‘번역가’인 이러한 여성 인물 ‘나’의 등장으로, 이 작품은 현 단계 여성 정체성 찾기 소설이 나아갈 한 방향을 강렬하게 제시하게 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ince the 1990s, novels dealing with women’s identities have been approaching women’s problems from various levels, away from the schematic narrative structure of “male-centered social system, violent men, and victimized women.” Therefore, it ...

      Since the 1990s, novels dealing with women’s identities have been approaching women’s problems from various levels, away from the schematic narrative structure of “male-centered social system, violent men, and victimized wome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pproach these works, paying attention to the process of forming a subject that has the relationship of norms, subjects, and other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considered finding female identity of Oh Jeong-hee’s “the Old Well”, Han kang “Mongo Banjeom”, and Ju Ji-young’s “Sana Sana”. All three works commonly deal with the confrontation between universal and special norms, the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s and others, and the orientation of others to special norms. The difference is that “the Old Well” does not have a boundary-line subject, “Mongo Banjeom”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and “Sana Sana” show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moves special norms across the boundary. ‘I’ in “the Old Well” sets the world of motherhood which is represented as ‘Old Well’ as a special norm, and through this norm, the instrumentalized ‘I’ is dismantled and the identity of the new ‘I’ is secured. The sister-in-law of “Mongo Banjeom” refuses to be tamed by universal norms rampant in animal violence. She is becoming fossilized by intense desire for special norms represented as ‘mongolian mark’. Meanwhile, ‘he’ appears as a boundary-line subject that aims for special norms of the sister-in-law. The female novelist ‘I’ of “Sana Sana” refuses to be a tooled woman and moves on to a special norm represented by ‘knotty tree’ through the medium of two boundary-line subjects. I’m going to write a novel aimed at ‘the world of the knotty tree’ in ‘the language of knotty tree.’ Through this, I translate special norms across boundaries and turn qualitatively to a boundary-line subject that redefines the universal norms. With the advent of the female character ‘I’ who is a novelist and a translator, this work strongly suggests the direction that novels seeking female identity today will tak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2. ‘옛 우물’과 모성성, 도구화된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3. ‘몽고반점’과 식물성, 특수규범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 4. ‘옹이’와 공거의 장, 특수규범을 번역하는 경계선상의 주체 5. 맺음말
      • 1. 머리말 2. ‘옛 우물’과 모성성, 도구화된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3. ‘몽고반점’과 식물성, 특수규범에 틈입하는 경계선상의 주체 4. ‘옹이’와 공거의 장, 특수규범을 번역하는 경계선상의 주체 5. 맺음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병철, "한강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환상과 에로스의 회생-「내 여자의 열매」와 「몽고반점」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61) : 291-323, 2017

      2 방정민, "한강 소설, 「몽고반점」 연구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에로티시즘과의 상관관계 연구" 인문학연구소 (45) : 59-89, 2014

      3 윤평준,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1997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18

      5 이미란,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完)" 현대문학이론학회 (56) : 53-78, 2014

      6 Butler, Judith, "지상에 함께 산다는 것" 시대의창 2016

      7 정혜욱, "주디스 버틀러와 문화번역의 과제" 한국비평이론학회 20 (20): 141-174, 2015

      8 Butler, Judith,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9 Butler, J.,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 도서출판b 2009

      10 주지영,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모성,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정화와 재생의 현자-되기" 구보학회 (24) : 399-442, 2020

      1 나병철, "한강 소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환상과 에로스의 회생-「내 여자의 열매」와 「몽고반점」을 중심으로-" 청람어문교육학회 (61) : 291-323, 2017

      2 방정민, "한강 소설, 「몽고반점」 연구 - 라캉의 욕망이론을 중심으로 에로티시즘과의 상관관계 연구" 인문학연구소 (45) : 59-89, 2014

      3 윤평준, "푸코와 하버마스를 넘어서" 교보문고 1997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18

      5 이미란, "창작론적 비평 방법의 연구(完)" 현대문학이론학회 (56) : 53-78, 2014

      6 Butler, Judith, "지상에 함께 산다는 것" 시대의창 2016

      7 정혜욱, "주디스 버틀러와 문화번역의 과제" 한국비평이론학회 20 (20): 141-174, 2015

      8 Butler, Judith, "윤리적 폭력 비판" 인간사랑 2013

      9 Butler, J., "우연성, 헤게모니, 보편성" 도서출판b 2009

      10 주지영, "오정희의 「옛우물」에 나타난 젠더 탈주의 계보학: 모성, 여성의 이분법을 넘어서는 정화와 재생의 현자-되기" 구보학회 (24) : 399-442, 2020

      11 심진경, "오정희의 「옛우물」 다시 읽기" 시학과언어학회 (29) : 155-175, 2015

      12 오연희, "오정희 소설의 여성성 연구: <옛 우물>론"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1 : 269-285, 1997

      13 오정희, "옛 우물" 청아출판사 2015

      14 김경수, "여성적 광기와 그 심리적 원천―오정희 초기소설의 재해석" (여름) : 87-109, 1995

      15 안서현, "사나사나" 강 2019

      16 주지영, "사나사나" 강 2019

      17 Butler, Judith, "불확실한 삶" 경성대학교 2008

      18 이광래, "미셸 푸코" 민음사 1989

      19 Eagleton, T., "문학이론입문" 창작사 1986

      20 전혜은, "근대적 주체 이후의 행위성: 주디스 버틀러의 행위성 이론" 한국영미문학페미니즘학회 19 (19): 153-191, 2011

      21 김미정, "‘몸의 공간성’에 대한 고찰 -오정희 소설〈옛우물〉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25) : 125-148, 2005

      22 Lacan, J., "Écrits (1),(2)" Éditions du Seuil 196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