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 1996~2023년 국내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On the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Integrated Literature Review: Focusing on Quantitative Research in Korea from 1996 to 2023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0641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연구를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헌을 단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33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7년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가 시작된 후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학술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이 조직 내 근로자에 한정되어 있어 독립근로자, 개인사업자 등으로 연구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방법은 대부분 양적 연구였으며, 선행변인과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있었다. 다섯째, 분석자료 측면에서 연구 초기에는 1차 자료, 최근에는 2차 자료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여섯째, 측정 도구와 하위요인은 Greenhaus et al.(1990)의 경력 만족과 Johnson(2001)의 고용 가능성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다. 일곱째, 경력 성공의 관점은 대부분 주관적 경력 성공만 측정하거나, 두 개념을 혼합해서 측정했다. 객관적 경력 성공만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다. 마지막으로, 경력 성공과 관련된 양적 연구의 종합모델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연구를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헌을 단계적...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연구를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파악하고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를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을 검색하고 검색된 문헌을 단계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33편의 학술지 논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 근로자의 경력 성공에 관한 연구는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2007년 여성 관리자 패널조사가 시작된 후 그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둘째, 학술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었다. 셋째, 연구대상이 조직 내 근로자에 한정되어 있어 독립근로자, 개인사업자 등으로 연구대상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연구방법은 대부분 양적 연구였으며, 선행변인과의 영향 관계를 규명하고 있었다. 다섯째, 분석자료 측면에서 연구 초기에는 1차 자료, 최근에는 2차 자료의 활용빈도가 높았다. 여섯째, 측정 도구와 하위요인은 Greenhaus et al.(1990)의 경력 만족과 Johnson(2001)의 고용 가능성이 가장 많이 쓰이고 있었다. 일곱째, 경력 성공의 관점은 대부분 주관적 경력 성공만 측정하거나, 두 개념을 혼합해서 측정했다. 객관적 경력 성공만 측정한 연구는 단 1편이었다. 마지막으로, 경력 성공과 관련된 양적 연구의 종합모델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research on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searched and reviewed step by step, and 33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and the numbe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Women Managers' Panel Survey began in 2007.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journal trends, research was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workers 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to freelancers and private businesses. Fourth,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research. Fifth,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frequency of use of primary data was high at the beginning and secondary data was recently. Sixth, as for the measurement tool and sub-factor, Greenhaus et al.'s career satisfaction and Johnson's employability were most often used. Seventh, most of the perspectives of career success were measured only by measur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or by mixing the two concepts. There was only one study that measured o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a comprehensive model of quantitative research related to career success was presen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research on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searched and reviewed step by step, and 33 pap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research trends and derive implications through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research on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To this end, the literature was searched and reviewed step by step, and 33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research on career success of female workers showed a tendency to gradually increase, and the number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Women Managers' Panel Survey began in 2007.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journal trends, research was being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hird, the research subjects were limited to workers in the organiz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subjects to freelancers and private businesses. Fourth, most of the research methods were quantitative research. Fifth, as for the analysis data, the frequency of use of primary data was high at the beginning and secondary data was recently. Sixth, as for the measurement tool and sub-factor, Greenhaus et al.'s career satisfaction and Johnson's employability were most often used. Seventh, most of the perspectives of career success were measured only by measuring subjective career success or by mixing the two concepts. There was only one study that measured objective career success. Finally, a comprehensive model of quantitative research related to career success was present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