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구현 방법과 시스템 동작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사용자인식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기반의 송신부와 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336235
2019
-
567
KCI등재
학술저널
715-722(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구현 방법과 시스템 동작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사용자인식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기반의 송신부와 오...
본 논문은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사용자 인식 시스템의 구현 방법과 시스템 동작 결과를 소개하고 있다. 가시광통신을 이용한 사용자인식 시스템은 안드로이드 시스템 기반의 송신부와 오픈소스 컨트롤러 기반의 수신부로 나뉘어져 있다. 송신부 모듈에서는 사용자의 개인 인식 정보 데이터를 코드로 변환하고 이를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 카메라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가시광으로 변환하여 수신부로 전송한다. 수신부에서는 포토다이오드 모듈을 통해 가시광을 수신하고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한다. 수신 데이터에 대한 프로세싱 모듈 역할은 오픈소스 컨트롤러가 맡게 되며, 본 시스템에서는 AVR 마이크로 컨트롤러 기반의 아두이노를 사용하였다. 버스트모드(burst mode) 방식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0111의 비트 패턴을 스타트비트로 설정하고 이를 인식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하는 시스템은 가시광을 매개로 맨체스터 데이터 인코딩 (Manchester data encoding)방식의 데이터의 송신과 수신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troduces the implementation of an user-aware system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its operations. The user-aware system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nsists of the transmitter based on the android system and the receiver...
This paper introduces the implementation of an user-aware system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d its operations. The user-aware system using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consists of the transmitter based on the android system and the receiver based on an open-source controller. In the transmitter, user’s personal information data is encoded and converted to visible light signals by the android camera interface. In the receiver, the photodiode module receives the incoming visible light signals and converts to electrical signals and the open-source controller, that is arduino processes the received data. The processing module finds the start bit of 0111 to determine the user information data from the packet for the burst-mode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system successfully transmits and receives visible light data with the manchester encodi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선, "인체 감지 제어 기능을 갖는 UV LED Bar의 최적 설계"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1219-1226, 2017
2 김범수, "위치추적 가로등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13 (13): 1275-1280, 2018
3 류대현,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구축"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485-490, 2016
4 김태훈, "오픈소스 컨트롤러를 사용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899-906, 2017
5 주용민, "안전모 장착용 가스 누출 경보 IoT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13 (13): 1411-1416, 2018
6 이효승, "아두이노를 이용한 소규모 서버 룸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385-390, 2017
7 Xu Hao Xu, "사물인터넷에 아두이노 윤과 클라우드를 이용한 LED조명 제어 시스템 설계"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983-988, 2016
8 이재원, "립모션 센서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로봇팔"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1127-1134, 2017
9 W. Choi, "A Burst-Mode Digital Receiver With Programmable Input Jitter Filtering for Energy Proportional Links" 50 (50): 737-748, 2015
10 박재성, "5G 이동통신시스템 동향 및 기술적 요구사항" 한국전자통신학회 10 (10): 1257-1264, 2015
1 김창선, "인체 감지 제어 기능을 갖는 UV LED Bar의 최적 설계"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1219-1226, 2017
2 김범수, "위치추적 가로등에 관한 연구" 한국전자통신학회 13 (13): 1275-1280, 2018
3 류대현, "오픈소스 하드웨어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의 개방형 IoT 플랫폼 구축"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485-490, 2016
4 김태훈, "오픈소스 컨트롤러를 사용한 층간 소음 방지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899-906, 2017
5 주용민, "안전모 장착용 가스 누출 경보 IoT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13 (13): 1411-1416, 2018
6 이효승, "아두이노를 이용한 소규모 서버 룸 환경 모니터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385-390, 2017
7 Xu Hao Xu, "사물인터넷에 아두이노 윤과 클라우드를 이용한 LED조명 제어 시스템 설계" 한국전자통신학회 11 (11): 983-988, 2016
8 이재원, "립모션 센서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한 원격 제어 로봇팔" 한국전자통신학회 12 (12): 1127-1134, 2017
9 W. Choi, "A Burst-Mode Digital Receiver With Programmable Input Jitter Filtering for Energy Proportional Links" 50 (50): 737-748, 2015
10 박재성, "5G 이동통신시스템 동향 및 기술적 요구사항" 한국전자통신학회 10 (10): 1257-1264, 2015
지하철 플랫폼 스크린 도어 침범 인식을 위한 변형된 캐니에지검출 알고리듬
데이터마이닝을 활용한 유전자 질병 분석을 위한 MKSV시스템 구현
온실과 무가온저장고의 재배환경 및 저장성 증가를 위한 플라즈마 히터 개발
민간 및 기관 소유 유휴공간 임차를 통한 태양광발전단지 구축 및 수익화 분석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7-08-2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학국전자통신학회 -> 한국전자통신학회영문명 : The Korea Ins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9 | 0.89 | 0.7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77 | 0.76 | 0.698 | 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