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중력모형을 이용한 부산의 교역패턴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Analysis of Trade Pattern of Busan by Gravity Mod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503052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부산의 무역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부산의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특히 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의 무역패턴은 거의 중력모형이론과 일치하였다. 즉 부산의 무역은 경제규모의 크기와 비례하며 지리적 거리와는 반비례하였다. 하지만 지리적 거리와는 달리 지역경제통합체의 부산무역에 대한 효과는 긍정적이었다. 이는 지역경제통합체는 물리적 거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무역창출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부산의 경우 우선적으로 시장규모가 크고 지리적으로 근접한 국가와의 무역을 확대해나가는 한편,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경제협력체 등의 지역경제통합체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기존 지역경제통합체에의 우회적인 침투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부산의 무역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부산의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특히 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

      본 연구는 중력모형을 이용하여 부산의 무역패턴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부산의 무역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특히 지리적 요인)을 중심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부산의 무역패턴은 거의 중력모형이론과 일치하였다. 즉 부산의 무역은 경제규모의 크기와 비례하며 지리적 거리와는 반비례하였다. 하지만 지리적 거리와는 달리 지역경제통합체의 부산무역에 대한 효과는 긍정적이었다. 이는 지역경제통합체는 물리적 거리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무역창출의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결과들이 시사하는 바는 부산의 경우 우선적으로 시장규모가 크고 지리적으로 근접한 국가와의 무역을 확대해나가는 한편, 현재 추진하고 있는 동북아경제협력체 등의 지역경제통합체에 대한 적극적 참여와 기존 지역경제통합체에의 우회적인 침투가 중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ade pattern of Busan and the factor influencing on Busan trade, and to induce policy sugges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trade pattern of Busan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gravity model.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GDP(the size of trade countries) gives rise to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ra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de countr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ize of trade
      This result is similar to other study results. The effect of local economic integration on trade of Busan is a positive. Local economic integration has trade creation effect and make trade increased.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Busan's trade ratio to total production declines, it is important that Busan positively joins in local economic integr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ade pattern of Busan and the factor influencing on Busan trade, and to induce policy sugges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trade pattern of Busan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grav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rade pattern of Busan and the factor influencing on Busan trade, and to induce policy suggestion
      The result of analysis is as follows: The trade pattern of Busan is almost consistent with the theory of gravity model. In other words, it is revealed that the increase of GDP(the size of trade countries) gives rise to the increase of the size of trad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trade countries have a negative effect on size of trade
      This result is similar to other study results. The effect of local economic integration on trade of Busan is a positive. Local economic integration has trade creation effect and make trade increased. Therefore, under the circumstance that Busan's trade ratio to total production declines, it is important that Busan positively joins in local economic integr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중력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
      • Ⅲ. 중력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 Ⅳ. 시사점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중력모형에 대한 이론적 배경
      • Ⅲ. 중력모형을 이용한 실증분석
      • Ⅳ. 시사점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