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어령, "해학의 미적 범주" 1958
2 강만길,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사 1984
3 홍혜원, "폭력의 구조와 소설적 진실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391-417, 2011
4 송인희, "포스트모던 시대의 파토스" 한국수사학회 (15) : 189-213, 2011
5 안함광, "최근창작평" 4 (4): 1935
6 김남천, "최근의 창작 (2) 사회적 반영의 거부와 춘향전의 哀話적 재현-김유정 「산골」"
7 장수경, "정념의 관점에서 본 김유정 소설의 미학 - 「봄봄」, 「노다지」, 「소낙비」, 「가을」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55 (55): 237-270, 2016
8 안함광, "작금 문예진 總檢-금년 하반기를 주로" 3 (3): 1935
9 이선, "인공지능과 감정지능 –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소 (19) : 161-180, 2017
10 고현범, "인간·환경·미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23-150, 2015
1 이어령, "해학의 미적 범주" 1958
2 강만길, "한국현대사" 창작과비평사 1984
3 홍혜원, "폭력의 구조와 소설적 진실 -김유정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47) : 391-417, 2011
4 송인희, "포스트모던 시대의 파토스" 한국수사학회 (15) : 189-213, 2011
5 안함광, "최근창작평" 4 (4): 1935
6 김남천, "최근의 창작 (2) 사회적 반영의 거부와 춘향전의 哀話적 재현-김유정 「산골」"
7 장수경, "정념의 관점에서 본 김유정 소설의 미학 - 「봄봄」, 「노다지」, 「소낙비」, 「가을」을 중심으로 -" 한민족문화학회 55 (55): 237-270, 2016
8 안함광, "작금 문예진 總檢-금년 하반기를 주로" 3 (3): 1935
9 이선, "인공지능과 감정지능 – 누스바움의 감정론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소 (19) : 161-180, 2017
10 고현범, "인간·환경·미래"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123-150, 2015
11 김유정, "원본 김유정 전집" 강 2007
12 곽상순, "알레아적 놀이 구조의 서사학-김유정론" 시학과 언어학회 2005
13 한효, "신진작가론-그들의 작품상의 제 경향" 2 : 1937
14 정주아, "신경증의 기록과 염인증자(厭人症者)의 연서쓰기 - 김유정 문학에 나타난 죽음충동과 에로스" 한국문학연구학회 (57) : 243-278, 2015
15 김동인, "삼월의 창작-촉망할 신진, 김유정씨 「금따는 콩밭」"
16 김미영, "병상(病床)의 문학, 김유정 소설에 형상화된 육체적 존재로서의 인간" 인문학연구원 71 (71): 45-79, 2014
17 김문집, "병고작가원조운동의 변-김유정군의 관한" 3 (3): 1937
18 이명호, "문화연구의 감정론적 전환을 위하여: 느낌의 구조와 정동경제론 검토" 한국비평이론학회 20 (20): 113-139, 2015
19 엄흥섭, "문예시평-성격묘사의 부조화"
20 김주리, "매저키즘의 관점에서 본 김유정 소설의 의미" 한국현대문학회 (20) : 295-324, 2006
21 정연희, "김유정의 자기서사에 나타나는우울과 알레고리 연구 - 「두꺼비」와 「생의 반려」를 중심으로" 국어문학회 65 (65): 75-98, 2017
22 정태용, "김유정론-니힐리즘과 문학" 1958
23 정창범, "김유정론" 3 (3): 1955
24 윤병로, "김유정론" 1960
25 유인순, "김유정과 우울증" 한국현대소설학회 (35) : 121-138, 2007
26 임정연, "김유정 자기서사의 말하기 방식과 슬픔의 윤리" 한국현대소설학회 (56) : 469-496, 2014
27 김윤정, "김유정 소설의 정동 연구 — 연애, 결혼 모티프를 중심으로 —" 현대문학이론학회 (71) : 101-126, 2017
28 정연희, "김유정 소설의 실재의 윤리와 윤리의 정치화" 현대문학이론학회 (60) : 515-536, 2015
29 정연희, "김유정 소설의 멜랑콜리 미학과 총체성의 저항" 우리문학회 (56) : 535-564, 2017
30 신제원, "김유정 소설의 가부장적 질서와 폭력에 대한 연구" 국어국문학회 (175) : 229-258, 2016
31 김근호, "김유정 소설에서의 반전과 감정의 정치학" 한중인문학회 (55) : 1-25, 2017
32 김주리,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파괴적 신체 고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1) : 341-358, 2006
33 오은엽,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정념의 기호학적 연구 -<金따는 콩밧>, <금>, <노다지>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회 (47) : 135-161, 2015
34 김혜영,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욕망의 의미" 한국현대소설학회 17 : 159-182, 2002
35 김예리, "김유정 문학의 웃음과 사랑" 한국예술연구소 (14) : 211-231, 2016
36 김근호, "김유정 농촌 소설에서 화자의 수사적 역능 -인물에 대한 화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현대소설학회 (50) : 35-70, 2012
37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3. 사랑의 등정)" 새물결 2015
38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2. 연민)" 새물결 2015
39 마사 누스바움, "감정의 격동(1. 인정과 욕망)" 새물결 2015
40 김종호, "‘전이(轉移)’를 통한 소설 인물의 변모 양상" 한국비평문학회 (25) : 179-204,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