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 및 학교 특성 그리고 교육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 학교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여 학력향상중점학교 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22979
2011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5-356(22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 및 학교 특성 그리고 교육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 학교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여 학력향상중점학교 운...
본 연구는 학력향상중점학교와 일반학교의 학생 및 학교 특성 그리고 교육활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이들 학교간 학업성취도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탐색하여 학력향상중점학교 운영 개선을 위한 정책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교육종단연구 1차년도 자료에 포함된 서울 소재 38개 중학교, 995명의 학생을 표본으로 하여 2수준 다층모형(HLM)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기초학력이나 가정환경이 불리한 학력향상중점학교 학생들이 일반학교에 비하여 영어 및 수학 교과에서 낮은 성취도를 보였다. 그러나 이러한 차이는 부 학력이나 가구 소득과 같은 학생 및 학교수준 투입변수의 영향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수준 과정 변수들 가운데 학업 효능감, 혼자 공부하는 시간, 방과후학교 참여여부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업 효능감이 높을수록, 혼자 공부하는 시간이 많을수록 그리고 방과후학교에 참여하는 학생보다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볼 때, 학력향상중점학교의 성공적 운영을 위해서는 학생들이 스스로 공부할 수 있는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고, 자기주도적 학습 방법에 대해 지도하며, 기초학력미달 학생에 대한 낙인효과 방지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tudent and school factors that might explain difference i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wit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improving their student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plore student and school factors that might explain difference i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with government financial support for improving their students’ learning ability and the other schools. For this purpose,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 2010, for 38 middle schools and 995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in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performed worse in mathematics and English than those in their counterparts. When student- and school-input variables were controlled for,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and the other school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This suggests that the achievement gap between these two types of schools could be explained by student and school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father’s education level and family income. Among the process variables, academic efficacy, hours of self-directed learning, particip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were significant in explain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academic ability improvement-oriented schools were made based on these findings; secure enough time and space for self-directed learning, instruction for self-directed learning, and preventative plan to eliminate labeling effect of under-achieving student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성현, "한국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현황과 과제. KEDI-KAERA 교육정책공동심포지엄 : 학교책무성 정책과 학업성취 데이터의 활용"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김양분, "한국교육현황분석:지역 간 학교 간 교육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3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조직의 효과: TIMSS-R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65-184, 2003
4 김희삼, "학업성취도,진학 및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0
5 김양분, "학력격차의 변화 추이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6 강영혜, "학력 격차 해소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7 곽수란, "학교효과 평가를 위한 교사관련 과정변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20, 2003
8 신혜숙,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를 감소시키는 교수학습활동변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299-321, 2010
9 김경근,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계층 및 지역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621-654, 2010
10 김성식,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풍토 변인의 영향 분석 -평균 성취 수준과 학생 간 격차와 관련하여-" 한국교육개발원 34 (34): 27-50, 2007
1 차성현, "한국의 학력향상 중점학교 운영 현황과 과제. KEDI-KAERA 교육정책공동심포지엄 : 학교책무성 정책과 학업성취 데이터의 활용" 한국교육개발원 2010
2 김양분, "한국교육현황분석:지역 간 학교 간 교육격차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개발원 2009
3 양정호,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조직의 효과: TIMSS-R의 위계적 선형모형 연구"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65-184, 2003
4 김희삼, "학업성취도,진학 및 노동시장 성과에 대한 사교육의 효과 분석" 한국개발연구원 2010
5 김양분, "학력격차의 변화 추이 및 해소 방안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6 강영혜, "학력 격차 해소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7 곽수란, "학교효과 평가를 위한 교사관련 과정변인 분석" 한국교육사회학회 13 (13): 1-20, 2003
8 신혜숙, "중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대한 사교육 효과를 감소시키는 교수학습활동변인 탐색" 한국교육평가학회 23 (23): 299-321, 2010
9 김경근, "중학생의 방과후학교 참여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 계층 및 지역에 따른 차별적 효과를 중심으로" 621-654, 2010
10 김성식, "중학교 학생의 학업성취에 대한 학교 풍토 변인의 영향 분석 -평균 성취 수준과 학생 간 격차와 관련하여-" 한국교육개발원 34 (34): 27-50, 2007
11 백병부, "중학교 단계에서의 학습부진 결정 요인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37 (37): 73-102, 2010
12 김진영, "수능 점수 분포를 통해 본 학교간, 지역간 학력 편차 연구" 15-43, 2009
13 상경아,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139-156, 2008
14 오성삼, "메타분석을 통한 한국형 학업성취 관련변인의 탐색" 37 (37): 1-25, 2000
15 이화진, "기초학력 미달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학력향상 중점학교 유형별 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4 (14): 151-176, 2011
16 류방란, "교육격차:가정 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06
17 반상진, "과외가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483-517, 2005
18 강상진, "고교 평준화 정책효과의 실증적 분석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5
19 김현진, "가정배경과 학교교육 그리고 사교육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5 (25): 485-508, 2007
20 Baker, D. P, "Worldwide shadow education: outside-school learning, institutional quality of schooling, and cross-national mathematics achievement" 23 (23): 1-17, 2001
21 박소영, "The Effects of Authentic Instruction on English Achievement" 한국교육개발원 35 (35): 131-151, 2008
22 Sirin,S.R, "Socioeconomic status and academic achievement: A meta-analytic review of research" 75 (75): 417-543, 2005
23 Pajares,F,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66 (66): 543-578, 1996
24 Scheerens,J, "School effec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process indicators of school functioning. In School effectiveness and school improvement" Swets & Zeitlinger 61-80, 1990
25 윤정일, "PISA 2003 학업성취도 결정요인 국제비교연구: 한국, 일본, 미국, 독일, 핀란드를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521-545, 2006
26 Raudenbush, S,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2nd ed.)" Sage Publication 2002
27 McLanahan,S, "Fragile families and the reproduction of poverty" 621 (621): 111-131, 2009
28 Rutter,M, "Fifteen Thousand Hours: Secondary Schools and their Effects on Children"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29 Coleman, J. S,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U.S. Government Printing Office 1966
30 서울시교육정보연구원, "Data 기반 서울교육정책 설계"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
31 Zimmerman, B.J,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80 (80): 284-290, 1988
32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발표" 교육과학기술부 2010
33 김성숙, "2009년 학업성취도 평가 분석현황 : 지역별 학력 차이와 학교특성 탐색.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결과 분석 : 학력차이 요인 탐색과 대응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1-31, 2010
34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및 기초학력 미달 학생 지원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10
대학중도탈락률 분석을 통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중등교사의 배경변인과 사회심리적 변인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다층분석
중학생이 지각한 부ㆍ모의 양육태도와 심리적 독립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14 | 2.14 | 2.0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18 | 2.09 | 2.591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