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 연구 = A Study of Bangnanjang Juin, Park Tae-won`s short nove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글은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의 문장 구성 방식과 특징을 해명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방란장 주인」의 문장을 쉼표를 기준으로 272개의 의미소로 나누고 의미소의 연결 방식과 의미소에 나타난 서술자 발화의 기능 및 서술자 발화가 다루는 시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란장 주인」은 다양한 종류의 형식 형태소를 동원하여 문장을 이어나갔고, 때때로 어미나 조사를 변형하거나 생략함으로써 문장 연결의 새로운 방식을 고안해 내기도 했다. 또 의미소의 맨 앞에 맥락의 단절이나 우발적인 장면 전환을 뜻하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서사의 국면을 자연스럽게 전환하고 인물의 내면을 핍진하게 형상화하였다. 또 서술자 발화는 인물의 내면 기술, 장면 묘사, 사건의 경과 제시, 서술자 논평 등의 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소설의 진행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루었다. 동시에 서술자 발화는 작품의 초반에서 과거와 현재를 번갈아가며 다루었지만, 중반 이후부터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는 「방란장 주인」이 인물의 내면을 현재 시점에서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은 문장 구성 방식과 서술 방식은 한 문장으로 된 형식으로 형상화되는 동시에 고독으로 집약되는 예술가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는 내용과 조응하면서 「방란장 주인」의 미학을 이루었다.
      번역하기

      이 글은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의 문장 구성 방식과 특징을 해명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방란장 주인」의 문장을 쉼표를...

      이 글은 박태원 단편 「방란장 주인」의 문장 구성 방식과 특징을 해명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의미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 이 글에서는 먼저 「방란장 주인」의 문장을 쉼표를 기준으로 272개의 의미소로 나누고 의미소의 연결 방식과 의미소에 나타난 서술자 발화의 기능 및 서술자 발화가 다루는 시간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방란장 주인」은 다양한 종류의 형식 형태소를 동원하여 문장을 이어나갔고, 때때로 어미나 조사를 변형하거나 생략함으로써 문장 연결의 새로운 방식을 고안해 내기도 했다. 또 의미소의 맨 앞에 맥락의 단절이나 우발적인 장면 전환을 뜻하는 말을 사용함으로써 서사의 국면을 자연스럽게 전환하고 인물의 내면을 핍진하게 형상화하였다. 또 서술자 발화는 인물의 내면 기술, 장면 묘사, 사건의 경과 제시, 서술자 논평 등의 기능을 하고 있었으며, 이들은 소설의 진행에 따라 다양한 조합을 이루었다. 동시에 서술자 발화는 작품의 초반에서 과거와 현재를 번갈아가며 다루었지만, 중반 이후부터는 현재에 집중하고 있었다. 이는 「방란장 주인」이 인물의 내면을 현재 시점에서 다루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상과 같은 문장 구성 방식과 서술 방식은 한 문장으로 된 형식으로 형상화되는 동시에 고독으로 집약되는 예술가 개인의 삶을 다루고 있는 내용과 조응하면서 「방란장 주인」의 미학을 이루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used in "Bangnanjang Juin" of Park, Tae-won`s short novel, and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work. "Bangnanjang Juin" continued its sentences with various types of fomal morphemes, and occasionally devised a new way of linking sentences by modifying or omitting the ending or the postposition. Also, at the beginning of the semantic space, it were uesd the words of the meaning of disconnection of the context or accidental transitions. In addition, narrator utterances functioned as internal descriptions of characters, scene descriptions, event progression, narrator commentaries, etc., and various combinations were made as the novel progressed. And, the narrator discussed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but after the middle of the novel, the narrator focuses on dealing with the inside of the character at the present moment. As mentioned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sentence and the narrative method are shaped in the form of one sentenc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come the aesthetics of "Bangnanjang Juin" in correspondence with contents dealing with the life of the individual artist concentrated in solitude.
      번역하기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used in "Bangnanjang Juin" of Park, Tae-won`s short novel, and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work. "Bangnanjang Juin" continued its sentences with various types of fomal morphemes...

      The study explores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sentences used in "Bangnanjang Juin" of Park, Tae-won`s short novel, and aims to reveal the meaning of the work. "Bangnanjang Juin" continued its sentences with various types of fomal morphemes, and occasionally devised a new way of linking sentences by modifying or omitting the ending or the postposition. Also, at the beginning of the semantic space, it were uesd the words of the meaning of disconnection of the context or accidental transitions. In addition, narrator utterances functioned as internal descriptions of characters, scene descriptions, event progression, narrator commentaries, etc., and various combinations were made as the novel progressed. And, the narrator discussed the past and the present in turn at the beginning of the work, but after the middle of the novel, the narrator focuses on dealing with the inside of the character at the present moment. As mentioned above, the composition of the sentence and the narrative method are shaped in the form of one sentence, and at the same time, they have become the aesthetics of "Bangnanjang Juin" in correspondence with contents dealing with the life of the individual artist concentrated in solitud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동하, "한국 예술가 소설의 성격과 전개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15) : 9-44, 2001

      2 권은,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 텍스트’" 인문과학연구소 (41) : 353-384, 2014

      3 장영우,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한국문학연구소 (39) : 139-169, 2010

      4 오탁번,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 출판부 1999

      5 정현숙, "박태원 소설의 내부텍스트성(intratextuality)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7) : 281-300, 2010

      6 김겸향,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목소리" 구보학회 55-, 2006

      7 정준영, "박태원 내면에 담긴 주체성" 구보학회 3 : 57-84, 2008

      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9 서은혜, "메타 서술 상황의 제시를 위한 장문(長文) 실험" 구보학회 6 : 37-68, 2010

      10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1 이동하, "한국 예술가 소설의 성격과 전개양상" 한국현대소설학회 (15) : 9-44, 2001

      2 권은, "제국-식민지의 역학과 박태원의 ‘동경(東京) 텍스트’" 인문과학연구소 (41) : 353-384, 2014

      3 장영우,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한국문학연구소 (39) : 139-169, 2010

      4 오탁번, "서사문학의 이해" 고려대 출판부 1999

      5 정현숙, "박태원 소설의 내부텍스트성(intratextuality)연구" 인문과학연구소 (27) : 281-300, 2010

      6 김겸향, "박태원 소설에 나타난 이중적 목소리" 구보학회 55-, 2006

      7 정준영, "박태원 내면에 담긴 주체성" 구보학회 3 : 57-84, 2008

      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9 서은혜, "메타 서술 상황의 제시를 위한 장문(長文) 실험" 구보학회 6 : 37-68, 2010

      10 홍종선, "개화기 시대 문장의 문체 연구" 국어국문학회 (117) : 33-58, 1996

      11 박태원, "芳蘭莊主人-星群中의하나" 창문사 (1) : 23-29,

      12 박태원, "聖誕祭" 을유문화사 133-145, 1948

      13 박태원, "小說家仇甫氏의 一日" 문장사 205-217, 1938

      14 정재림, "‘거리’를 활용한 소설감상교육 -김유정 소설 감상을 중심으로­-" 우리문학회 (42) : 321-347, 2014

      15 신범순, "1930년대 시에서 니체주의적 사상 탐색의 한 장면(1) - 구인회의 ‘별무리의 사상’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72 (72): 11-58,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