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전쟁기 강원 지역 시동인지 『청포도』 = Cheongpodo, a Poetic Coterie Magazine in Gangwon Region of the War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이 글은 강원도와 강릉 근대 지역문학에서 첫 동인으로 알려진 청포도동인회와 동인지 『청포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첫 구명이다. 이제껏 실증적인 면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것이다. 논의는 청포도동인회의 조직과 활동상을 먼저 밝히고, 동인시의 됨됨이를 따지는 순서로 나누었다. 첫째, 청포도동인회는 『청포도』를 1952년과 1953년 두 차례 냈다. 이를 터무니로 동인회 출범은 전쟁기인 1950년대 초반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기록에 따르면 동인의 출범과 결성은 나누어 보아야 한다. 동인 조직은 강릉농업중학과 강릉여고, 그리고 강릉사범학교로 이어졌던 학연·지연을 바탕으로 1949년 무렵에 출범했다. 전쟁으로 활동이 잠시 멈추었다가 『청포도』 출판으로 동인 결성을 공식화했다. 둘째, 『청포도』 창간호는 부산에서, 2집은 대구에서 냈다. 동인 수는 황금찬·최인희 교사 세대와 함혜련·이인수·김유진 제자 세대, 5명에서 바뀌지 않았다. 그들 사이 연결망 밀도는 높았지만, 사제 관계는 연결망 지속성에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두 교사가 1954년 서울로 일터를 옮긴 뒤 동인회는 해체 순서를 밟았다. 셋째, 작품 안쪽 요소로 볼 때 동인시는 아어(雅語) 중심의 시어 선택과 글말투를 보여 준다. 가락 또한 2음보·3음보 정형률을 바탕에 놓고 단정한 형태를 되풀이했다. 게다가 그 무렵 우파 주류시와 영향 관계가 뚜렷하다. 관습 지향적이었던 셈이다. 넷째, 『청포도』 동인시는 자연 대상을 향한 소박한 인식이나 막연히 애상적인 내면 정서를 되풀이 속살로 담아냈다. 현실 경험의 재현적 진실에는 관심이 엷었다. 시적 주체 또한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순결하고 순수한 애상주의 주체를 좇아감으로써 솔직한 자기표현과는 거리가 있었다. 게다가 독자에게는 유미적 동일시를 강요하는 듯한 감상적 태도를 거듭해 감동을 이끌어내는 데 장애 요인을 키웠다. 따라서 작품 바깥쪽 요소로 볼 때 『청포도』의 시는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냈다. 청포도동인회와 『청포도』는 광복기부터 강릉이라는 소지역 지연과 사제의 학연이 5년 남짓 동안 가꾸어 낸 이채로운 문학 활동이었다. 그럼에도 그들 시는 관습 지향적이고 보수적인 됨됨이 탓에 그 무렵 여느 시와 견주어 높은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그들 시는 동인 자신뿐 아니라 지역 다음 세대에게도 전통임과 아울러 극복 대상이기도 했다.
      번역하기

      이 글은 강원도와 강릉 근대 지역문학에서 첫 동인으로 알려진 청포도동인회와 동인지 『청포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첫 구명이다. 이제껏 실증적인 면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것...

      이 글은 강원도와 강릉 근대 지역문학에서 첫 동인으로 알려진 청포도동인회와 동인지 『청포도』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본격적인 첫 구명이다. 이제껏 실증적인 면모조차 밝혀지지 않은 것이다. 논의는 청포도동인회의 조직과 활동상을 먼저 밝히고, 동인시의 됨됨이를 따지는 순서로 나누었다. 첫째, 청포도동인회는 『청포도』를 1952년과 1953년 두 차례 냈다. 이를 터무니로 동인회 출범은 전쟁기인 1950년대 초반으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기록에 따르면 동인의 출범과 결성은 나누어 보아야 한다. 동인 조직은 강릉농업중학과 강릉여고, 그리고 강릉사범학교로 이어졌던 학연·지연을 바탕으로 1949년 무렵에 출범했다. 전쟁으로 활동이 잠시 멈추었다가 『청포도』 출판으로 동인 결성을 공식화했다. 둘째, 『청포도』 창간호는 부산에서, 2집은 대구에서 냈다. 동인 수는 황금찬·최인희 교사 세대와 함혜련·이인수·김유진 제자 세대, 5명에서 바뀌지 않았다. 그들 사이 연결망 밀도는 높았지만, 사제 관계는 연결망 지속성에서 느슨해질 가능성이 있었다. 그리하여 두 교사가 1954년 서울로 일터를 옮긴 뒤 동인회는 해체 순서를 밟았다. 셋째, 작품 안쪽 요소로 볼 때 동인시는 아어(雅語) 중심의 시어 선택과 글말투를 보여 준다. 가락 또한 2음보·3음보 정형률을 바탕에 놓고 단정한 형태를 되풀이했다. 게다가 그 무렵 우파 주류시와 영향 관계가 뚜렷하다. 관습 지향적이었던 셈이다. 넷째, 『청포도』 동인시는 자연 대상을 향한 소박한 인식이나 막연히 애상적인 내면 정서를 되풀이 속살로 담아냈다. 현실 경험의 재현적 진실에는 관심이 엷었다. 시적 주체 또한 현실과 거리를 둔 채 순결하고 순수한 애상주의 주체를 좇아감으로써 솔직한 자기표현과는 거리가 있었다. 게다가 독자에게는 유미적 동일시를 강요하는 듯한 감상적 태도를 거듭해 감동을 이끌어내는 데 장애 요인을 키웠다. 따라서 작품 바깥쪽 요소로 볼 때 『청포도』의 시는 전반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냈다. 청포도동인회와 『청포도』는 광복기부터 강릉이라는 소지역 지연과 사제의 학연이 5년 남짓 동안 가꾸어 낸 이채로운 문학 활동이었다. 그럼에도 그들 시는 관습 지향적이고 보수적인 됨됨이 탓에 그 무렵 여느 시와 견주어 높은 수준에 이른 것은 아니었다. 따라서 그들 시는 동인 자신뿐 아니라 지역 다음 세대에게도 전통임과 아울러 극복 대상이기도 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targeting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nd its magazine known as the first poetic coterie in modern local literature of Gangwon-do and Gangneung. Still, its empirical look has not been revealed. Revealing the coterie Cheongpodo`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the character of the coterie poems was examined. First, the coterie published Cheongpodo twice in 1952 and 1953. Based on it, the establishment of the coterie has been known as the war period in the early 1950s.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formation of the coterie should be divided. The coteri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around 1949 based on the regionalism/school relations through Gangneung Agricultural High School, Gangneung Girls` High School, and Gangneung School of Education. Pausing the activity due to the war, the formation of the coterie was formalized by publishing Cheongpodo. Second, the first issue of Cheongpodo was published in Busan while its second issue was published in Daegu. The number of its member was not changed from five people such as the teacher generation like Hwang Geumchan, and Choi Inhee, and the disciple generation like Ham Hyeryeon, Lee Insoo, and Kim Yujin. Even though the density of their network was high, their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could be loosen in the continuity of network. Therefore, the coterie was gradually broken up after two teachers moved to Seoul in 1954. Third, regarding the internal elements of works, poems of the coterie showed writing pattern and poetic language focusing on refined words. The neat form was repeated based on two or three metre. Moreover, they showed the clear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right-wing mainstream poems of the time, which was the custom-oriented. Fourth, poems of the coterie Cheongpodo contained the simple perception of nature or vaguely repeated the sorrowful internal emotions.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the reproductive truth of reality experience. Regarding the poetic main agent, it was far distant from honest self-expression by following the main agent of pure sorrowfulness distant from the reality. Moreover, it was an obstacle factor to draw deep touching by repeating the appreciative attitude just like forcing readers to have esthetic identification. Therefore, regarding the external elements of works, overall, poems of the coterie showed the conservative tendency. The coterie and its Cheongpodo were such unusual literary activities formed by school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and regionalism in a small region of Gangneung from Independence for about five years. Nevertheless, compared to other cities of the time, their poems did not show the higher level because of their custom-oriented and conservative character. Thus, their poems were not only the tradition, but also the subject to overcome to the coterie members and also the next generation in the region.
      번역하기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targeting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nd its magazine known as the first poetic coterie in modern local literature of Gangwon-do and Gangneung. Still, its empirical look has not been revealed. Revealing the coterie Ch...

      This paper is the first research targeting Cheongpodo literary coterie and its magazine known as the first poetic coterie in modern local literature of Gangwon-do and Gangneung. Still, its empirical look has not been revealed. Revealing the coterie Cheongpodo`s organization and activities, the character of the coterie poems was examined. First, the coterie published Cheongpodo twice in 1952 and 1953. Based on it, the establishment of the coterie has been known as the war period in the early 1950s. However, the establishment and formation of the coterie should be divided. The coteri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in around 1949 based on the regionalism/school relations through Gangneung Agricultural High School, Gangneung Girls` High School, and Gangneung School of Education. Pausing the activity due to the war, the formation of the coterie was formalized by publishing Cheongpodo. Second, the first issue of Cheongpodo was published in Busan while its second issue was published in Daegu. The number of its member was not changed from five people such as the teacher generation like Hwang Geumchan, and Choi Inhee, and the disciple generation like Ham Hyeryeon, Lee Insoo, and Kim Yujin. Even though the density of their network was high, their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could be loosen in the continuity of network. Therefore, the coterie was gradually broken up after two teachers moved to Seoul in 1954. Third, regarding the internal elements of works, poems of the coterie showed writing pattern and poetic language focusing on refined words. The neat form was repeated based on two or three metre. Moreover, they showed the clear influence relationship with the right-wing mainstream poems of the time, which was the custom-oriented. Fourth, poems of the coterie Cheongpodo contained the simple perception of nature or vaguely repeated the sorrowful internal emotions. There was not much interest in the reproductive truth of reality experience. Regarding the poetic main agent, it was far distant from honest self-expression by following the main agent of pure sorrowfulness distant from the reality. Moreover, it was an obstacle factor to draw deep touching by repeating the appreciative attitude just like forcing readers to have esthetic identification. Therefore, regarding the external elements of works, overall, poems of the coterie showed the conservative tendency. The coterie and its Cheongpodo were such unusual literary activities formed by school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disciple and regionalism in a small region of Gangneung from Independence for about five years. Nevertheless, compared to other cities of the time, their poems did not show the higher level because of their custom-oriented and conservative character. Thus, their poems were not only the tradition, but also the subject to overcome to the coterie members and also the next generation in the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금찬, "황금찬 시전집(1-5)" 융성출판 1988

      2 구명숙, "해방 이후부터 전쟁까지 한국 여성시" 역락 2011

      3 "해군"

      4 함혜련, "함혜련시전집" 서문당 1992

      5 남기택,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5) : 67-92, 2010

      6 하동호, "한국시집 발행연표 총람" 심상사 1975

      7 양문규,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4) : 52-71, 2010

      8 "학풍" 인천일보사 1953

      9 박태일, "파성 설창수 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11

      10 최시봉, "최인희 시 연구" 江陵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 황금찬, "황금찬 시전집(1-5)" 융성출판 1988

      2 구명숙, "해방 이후부터 전쟁까지 한국 여성시" 역락 2011

      3 "해군"

      4 함혜련, "함혜련시전집" 서문당 1992

      5 남기택, "한국전쟁과 강원지역문학 - 지역문학장의 양상을 중심으로" 한국문학회 (55) : 67-92, 2010

      6 하동호, "한국시집 발행연표 총람" 심상사 1975

      7 양문규, "한국근대문학에 나타난 강원도-강릉․영동 지역을 중심으로" 민족문학사학회 (44) : 52-71, 2010

      8 "학풍" 인천일보사 1953

      9 박태일, "파성 설창수 문학의 이해" 도서출판 경진 2011

      10 최시봉, "최인희 시 연구" 江陵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11 남기택, "최인희 시 연구" 한국비평문학회 (32) : 295-312, 2009

      12 "청포도. In 강릉문화대전"

      13 "청포도"

      14 "죽순"

      15 "종" 효안동인 1952

      16 김동윤, "전란기의 제주문학과 『제주신보』" 영주어문학회 19 : 157-185, 2010

      17 한길로, "일제 말 지방 유림의 동향과 친일시의 국면 - 강릉 유림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60) : 304-338, 2016

      18 인창의숙60년사발간위원회, "인창의숙60년사" 인창중고등학교․경기국민학교 1982

      19 인창의숙50년사편찬위원회, "인창의숙50년사" 인창중고등학교 ・ 경기국민학교 1972

      20 "이인(二人)"

      21 권현형, "이곳에 서기 위한 강릉지방의 새로운 시문학을 위하여" 청사 2 : 179-180, 1988

      22 황금찬, "예술가의 삶" 혜화당 1993

      23 "영문(嶺文)"

      24 최인희, "여정백척(旅情百尺)" 가리온출판사 1982

      25 "여자중학생 문예작품집" 교육주보사 1949

      26 권동환, "여명" 문화신문사 1949

      27 함혜련, "시인 황금찬-그의 인간과 문학" 영언문화사 1988

      28 김유진, "산계리" 강원일보사 1985

      29 이인수, "본토의 소금" 문원사 1971

      30 이남호, "박목월 시전집" 민음사 2004

      31 "민족시인 심연수"

      32 박태일, "목포지역 정훈매체 『전우』 연구 ―한국전쟁기 정훈문학 연구 1" 현대문학이론학회 (38) : 213-262, 2009

      33 한정호, "마산의 문학 동인지․1" 마산문학관 2007

      34 "동국학생시집"

      35 이인수, "눈보라" 예문관 1975

      36 "녹원(鹿苑)"

      37 신봉승, "내 기억 속에 살아 있는 향기" 혜화당 1993

      38 오영식, "김광균 문학전집" 소명출판 2014

      39 "금오"

      40 이윤수, "광복 30년 경북문단 점철(기 1)" (복간) : 1979

      41 강원일보사사편찬위원회, "강원일보 40년사" 강원일보사 1985

      42 남기택, "강원영동지역문학의 정체와 전망" 청운 2013

      43 엄창섭, "강원문학의 사적 고찰―영동지역의 현대시문학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1 : 331-348, 1997

      44 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사(현대편)" 강원도 1995

      45 엄현섭,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각성" 청운 2014

      46 엄현섭,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3" 청운 2016

      47 엄현섭, "강원도 지역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2" 청운 2015

      48 김풍기, "강원도 지역 원형과 인문학적 각성 2" 청운 2015

      49 유재인, "강원도 비사" 강원일보사 1974

      50 "강원도 문학단체의 역사 및 문인 인명록"

      51 서준섭, "강원도 근대문학 연구에 대하여" 강원대학교강원문화연구소 11 : 107-118, 1992

      52 조동걸, "강원도" 뿌리깊은나무 1983

      53 "강원경찰"

      54 강릉시사편찬위원회, "강릉시사(상권)" 강릉문화원 1996

      55 강릉대학교60년사편찬위원회, "강릉대학교60년사" 강릉대학교 2006

      56 崔乘鶴, "崔寅熙 硏究"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1987

      57 M. H. Abrams, "The Mirror and the Lamp: romantic theory and the critical tradition" Oxord Univ. press 1953

      58 Geoffrey Leech, "A Lingustic Guide to English Poetry" Longman 1969

      59 이운룡, "6․25 동란과 싸우는 강원경찰" 강원문화연구사 1951

      60 성주현, "1930년대 말 강원도 고성지역 문예비밀결사운동" 한국민족운동사학회 35 : 51-77,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4 0.54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5 0.879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