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소남 윤동규의 의례 생활과 예학 연구 = Yun Dong-gyu’s Ritual Life and His Ritual Stud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14840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소남 윤동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반이 약한 근기 성호학파의 대표적인 유학자로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실천을 통해 당시의 유교적 사회문화를 갱신하려고 했다. 그는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의 학문적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각각 경건한 의례적 실천과 비판적 학문방법론을 전개했으며, 그러한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실천은 개인의 성숙과 더불어 공동체의 복지 증진까지 고려한 것이었다. 그는 지속적인 자기 수양과 경건한 의례 수행을 통해 비현실적이고 공허한 학문 담론과 지나치게 새롭고 개인주의적인 유행에서 벗어나서 철저하게 실천적인 爲己之學을 실천했다. 더불어 ‘記疑’의 저술방식과 ‘通貫無疑’의 정경비평적 방법론을 통해 기존의 학문을 주체적이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비판적 自得之學을 연구했다. 특히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은 예학의 연구와 실천에서 가난한 경제적 형편과 현실적 실천 가능성을 고려하는 ‘利民’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번역하기

      소남 윤동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반이 약한 근기 성호학파의 대표적인 유학자로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실천을 통해 당시의 유교적 사회문화를 갱신하려고 했...

      소남 윤동규는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기반이 약한 근기 성호학파의 대표적인 유학자로서, 비판적이고 주체적인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실천을 통해 당시의 유교적 사회문화를 갱신하려고 했다. 그는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의 학문적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각각 경건한 의례적 실천과 비판적 학문방법론을 전개했으며, 그러한 학문적 연구와 현실적 실천은 개인의 성숙과 더불어 공동체의 복지 증진까지 고려한 것이었다. 그는 지속적인 자기 수양과 경건한 의례 수행을 통해 비현실적이고 공허한 학문 담론과 지나치게 새롭고 개인주의적인 유행에서 벗어나서 철저하게 실천적인 爲己之學을 실천했다. 더불어 ‘記疑’의 저술방식과 ‘通貫無疑’의 정경비평적 방법론을 통해 기존의 학문을 주체적이고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비판적 自得之學을 연구했다. 특히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은 예학의 연구와 실천에서 가난한 경제적 형편과 현실적 실천 가능성을 고려하는 ‘利民’의 방향으로 전개되었다.방향으로 전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Yun Dong-gyu (尹東奎, 1695~177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leading the Seongho school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seldom had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poverty. This situation drove them to have a lot of time for pursuit of their own social-cultural authority to lead their communities. To acquire his own social-cultural authority in his region, Yun Dong-gyu was absorbed in independent practical learning for the sake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and critical self-acquisition and self-reflection for himself. His continuous self-cultivation and pious ritual practice during his lifetime became the ground of practical learning for the sake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and his canonical criticism became the foundation of independent learning for the sake of critical self-acquisition and self-reflection. His independent and critical practical learning had resulted in ritual studies devoting himself to the welfare of his mankind.
      번역하기

      Yun Dong-gyu (尹東奎, 1695~177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leading the Seongho school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seldom had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poverty. This situation drove them to have a lot of time for pursuit of their ...

      Yun Dong-gyu (尹東奎, 1695~1773)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scholars leading the Seongho school in the late Joseon period. They seldom had political power and economic poverty. This situation drove them to have a lot of time for pursuit of their own social-cultural authority to lead their communities. To acquire his own social-cultural authority in his region, Yun Dong-gyu was absorbed in independent practical learning for the sake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and critical self-acquisition and self-reflection for himself. His continuous self-cultivation and pious ritual practice during his lifetime became the ground of practical learning for the sake of self-realization and selfcultivation, and his canonical criticism became the foundation of independent learning for the sake of critical self-acquisition and self-reflection. His independent and critical practical learning had resulted in ritual studies devoting himself to the welfare of his mankin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
      • Ⅲ. 윤동규의 의례적 실천과 예학 방법론
      • Ⅳ. 윤동규 예론의 방향과 예설의 전개
      • 국문요약
      • Ⅰ. 머리말
      • Ⅱ. 실천적 爲己之學과 비판적 自得之學
      • Ⅲ. 윤동규의 의례적 실천과 예학 방법론
      • Ⅳ. 윤동규 예론의 방향과 예설의 전개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원재린,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鄕政論계승 양상 -李瀷(1681~1762)과 安鼎福(1712~1791)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37) : 197-222, 2011

      2 이근호, "조선 후기 인천지역 學人의 분포와 성향" 8 : 2008

      3 박종천, "조선 후기 유교적 벽이단론의 스펙트럼" 한국종교학회 76 (76): 1-25, 2016

      4 박종천, "조선 후기 예론의 성격과 전개 양상" 한국학연구소 (31) : 139-168, 2013

      5 박종천,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들의 벽이단론(闢異端論) - 온건한 포용주의에 대한 재평가 -" 대한철학회 138 : 113-143, 2016

      6 박종천,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민족문화연구원 (65) : 249-288, 2014

      7 박종천,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소 31 : 25-54, 2014

      8 박종천, "의례적 계승인가, 사회적 구휼인가? -조선 후기 입후立後와 입양入養에 대한 다산의 논의-"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6) : 59-101, 2010

      9 "여유당전서"

      10 이봉규, "실학의 예론 - 성호학파의 예론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24) : 103-134, 2005

      1 원재린, "조선후기 星湖學派의 鄕政論계승 양상 -李瀷(1681~1762)과 安鼎福(1712~1791)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37) : 197-222, 2011

      2 이근호, "조선 후기 인천지역 學人의 분포와 성향" 8 : 2008

      3 박종천, "조선 후기 유교적 벽이단론의 스펙트럼" 한국종교학회 76 (76): 1-25, 2016

      4 박종천, "조선 후기 예론의 성격과 전개 양상" 한국학연구소 (31) : 139-168, 2013

      5 박종천, "조선 후기 영남 유학자들의 벽이단론(闢異端論) - 온건한 포용주의에 대한 재평가 -" 대한철학회 138 : 113-143, 2016

      6 박종천, "조선 후기 성호학파의 입후설(立後說)과 친족의식" 민족문화연구원 (65) : 249-288, 2014

      7 박종천, "일상의 성화(聖化)를 위한 유교적 의례화 –율곡 이이의 예학적 구상-" 유학연구소 31 : 25-54, 2014

      8 박종천, "의례적 계승인가, 사회적 구휼인가? -조선 후기 입후立後와 입양入養에 대한 다산의 논의-" 재단법인다산학술문화재단 (16) : 59-101, 2010

      9 "여유당전서"

      10 이봉규, "실학의 예론 - 성호학파의 예론을 중심으로 -" 한국사상사학회 (24) : 103-134, 2005

      11 "순암집"

      12 박수경, "순암 안정복의 사상과 제도개혁안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사학회 (32) : 53-78, 2013

      13 "소남선생윤공행장"

      14 "소남선생유고초"

      15 허경진, "소남 윤동규와 인천의 성호학파" 새얼문화재단 71 : 2011

      16 "소남 윤동규 서간"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17 박종천, "성호학파의 친족의식과 의례생활-광주안씨 종계를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26) : 43-87, 2013

      18 "성호집"

      19 김학수, "西溪遺戒’를 통해 본 박세당의 喪禮 인식과 그 파문" 한국계보연구회 1 : 2010

      20 박종천, "茶山 丁若鏞의 『讀禮通考』 硏究 初探" 한국실학학회 (21) : 7-38, 2011

      21 박종천, "朝鮮 後期 『讀禮通考』의 수용과 영향" 한국실학학회 (20) : 475-506, 2010

      22 姜世求, "星湖學派와 星湖門人 尹東奎" 역사실학회 28 : 2005

      23 Childs, B. 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as Scripture" Fortress Press 1979

      24 김보경, "18세기 향촌사회와 유교공동체 - 순암 안정복을 중심으로" 동양고전학회 (35) : 415-445, 2009

      25 이명희, "18세기 지방자치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고찰 順庵의 경기도 광주부 二里洞約을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9) : 291-332, 2005

      26 金成潤, "18세기 畿湖南人의 洪範이해-星湖 李翼과 邵南 尹東奎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회 16 :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20-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KCI등재후보
      2017-03-07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5-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6 0.86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7 1.505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