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풀빛 1988
2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연변교육출판사 1954
3 "해방직후 「프로」문인들 모습 첫 공개" 문학사상사 1989
4 김윤식,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열음사 1989
5 김희민, "해방 3년의 소설문학" 세계 1987
6 "해금 30년, 해금 전후 지성사·문화사의 풍경들 -구보학회 제27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7 "해금 30년, 문학장의 변동 -구보학회 제26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8 이정식, "항전별곡 -조선독립동맹 자료Ⅰ" 거름 1986
9 김학철, "항전별곡"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1983
10 김윤식, "항일 빨치산문학의 기원 -김학철론" 391-424, 1988
1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풀빛 1988
2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연변교육출판사 1954
3 "해방직후 「프로」문인들 모습 첫 공개" 문학사상사 1989
4 김윤식,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열음사 1989
5 김희민, "해방 3년의 소설문학" 세계 1987
6 "해금 30년, 해금 전후 지성사·문화사의 풍경들 -구보학회 제27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7 "해금 30년, 문학장의 변동 -구보학회 제26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8 이정식, "항전별곡 -조선독립동맹 자료Ⅰ" 거름 1986
9 김학철, "항전별곡"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1983
10 김윤식, "항일 빨치산문학의 기원 -김학철론" 391-424, 1988
11 한국출판문화운동사 편찬위원회, "한국출판문화운동사 –1970년대 말~1990년대 초" 한국출판문화운동동우회 2007
12 오무라 마스오,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소명출판 2017
13 역사학연구소, "한국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과 역사쓰기" 선인 2010
14 에티엔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여" 난장 2011
15 박태일, "평양 시기 김학철의 전투실기 「호가장 전투」" 국제한인문학회 1 (1): 35-75, 2017
16 이은직, "탁류" 풀빛 1988
17 김학철, "최후의 분대장" 문학과지성사 1995
18 이해영, "청년 김학철과 그의 시대" 역락 2006
19 한기형,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2014
20 김성수, "재․월북 작가 ‘해금’ 조치(1988)의 연구사·문화사적 의미" 상허학회 55 : 11-49, 2019
21 정흥수,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 –김윤식과 그의 시대" 문학과지성사 (봄) : 133-163, 2019
22 장문석, "월북작가의 해금과 작품집 출판(1) - 1985-1989년 시기를 중심으로" 구보학회 (19) : 39-111, 2018
23 김미지,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구보학회 (20) : 87-114, 2018
24 이건웅, "월간<출판문화> 내용에 대한 연구 : 1965년 2월(창간호)~2005년 12월(통권 481호)" 동국대학교 언론정보[산업]대학원 2007
25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한국의 근대성과 식민주의 비판" 역사비평사 2003
26 윤해동, "식민지근대와 공공성-변용하는 공공성의 지평"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8) : 163-195, 2010
27 황병주, "식민지 시기 ‘공’ 개념의 확산과 재구성" 한국사회사학회 (73) : 5-44, 2007
28 김주현, "선금술의 방법론 –신채호의 문학을 넘어" 소명출판 2020
29 허 수, "새로운 식민지 연구의 현주소 ―‘식민지 근대’와 ‘민중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6 : 9-32, 2006
30 강용훈,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소명출판 2013
31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반딧불의 잔존 –이미지의 정치학" 길 2020
32 신경림, "민중생활사의 복원과 혁명적 낙관주의의 뿌리" 창비 16 (16): 216-225, 1988
33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3
34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 경험과 마이너리티" 경인문화사 2017
35 최원식, "민주적 사회주의자의 길 -『김학철전집』 발간에 부쳐" 43 (43): 366-389, 2015
36 김학철, "무명소졸" 풀빛 1989
37 조르주디디-위베르만, "모든것을무릅쓴이미지들-아우슈비츠에서 온네장의 사진" 레베카 2017
38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권 임시의정원Ⅱ" 국사편찬위원회 2005
39 정창현, "남북 현대사의 쟁점과 시각" 선인 2009
40 강 옥, "김학철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2010
41 연변대학교 조선문학연구소, "김학철 · 김광주 외 –연세국학총서73,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13" 보고사 2007
42 김학철, "격정시대" 풀빛 1988
43 김학철, "격정시대" 료녕민족출판사 1986
44 "격랑의 삶, 김학철 선생과의 대담" 새얼문화재단 7 : 1995
45 김윤식, "거울로서의 자전自傳과 일기日記" 서정시학 2016
46 차승기, "‘언어=사실’의 세계 ― 전쟁과 르포르타주" 대동문화연구원 (107) : 7-28, 2019
47 김민수, "‘문학’에서 ‘글쓰기’로 -김윤식의 ‘글쓰기론 3부작’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구보학회 (22) : 247-283, 2019
48 김학철, "20세기의 신화" 창작과비평사 1996
49 박시형, "20세기 중국조선족문학사료전집 김학철 문학편(중)" 도서출판 숨 2002
50 장문석,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에게 질문하다-" 한국학연구소 (40) : 171-218, 2016
51 원용진, "'식민지적 공공성'과 8.15 해방공간" 한국언론정보학회 47 (47): 50-73,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