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해방’의 전통과 복원 - 김학철을 중심으로 = The Tradition and Restoration of the ‘Liberation’ - Focusing on Kim Hak-che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16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out the bibliography of Kim Hak-cheol (1916-2001), author and member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First, I organize incomplet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eriod following the Liberation, when Kim shifted from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to author. In organizing Kim’s list of works prior to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I also investigate the political geography of the period. I then examine how Kim’s depiction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was restored around the time of the ‘lifting of the ban.’ In step with the fervor of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history at the time of liberation’ became an immensely important topic in the publishing world. In particular, I trac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Kim’s biographical works Hangjeonbyeolgok (1983) and Gyukjeongsidae (1986), originally published in China, were published in pirate editions by way of Japan. At this time, Kim’s novels were treated mostly as historical resources o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vercoming disciplinary violence (gewalt) to return to South Korean readers, this Korean Volunteer Army narrative offers an important chance to discuss the value of ‘survivance.’ By measuring the difference that appears between the ‘liberation’ and the ‘lifting of the ban,’ it is possible to begi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Liberation Period,’ which occupied the position of suppressed history for half a century.
      번역하기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out the bibliography of Kim Hak-cheol (1916-2001), author and member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First, I organize incomplet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eriod following the Liberation, when Kim shifted from ind...

      This article attempts to fill out the bibliography of Kim Hak-cheol (1916-2001), author and member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First, I organize incomplete bibliographic information from the period following the Liberation, when Kim shifted from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to author. In organizing Kim’s list of works prior to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I also investigate the political geography of the period. I then examine how Kim’s depiction of the Korean Volunteer Army was restored around the time of the ‘lifting of the ban.’ In step with the fervor of democratization in the 1980s, ‘history at the time of liberation’ became an immensely important topic in the publishing world. In particular, I trace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Kim’s biographical works Hangjeonbyeolgok (1983) and Gyukjeongsidae (1986), originally published in China, were published in pirate editions by way of Japan. At this time, Kim’s novels were treated mostly as historical resources o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Overcoming disciplinary violence (gewalt) to return to South Korean readers, this Korean Volunteer Army narrative offers an important chance to discuss the value of ‘survivance.’ By measuring the difference that appears between the ‘liberation’ and the ‘lifting of the ban,’ it is possible to begin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the ‘Liberation Period,’ which occupied the position of suppressed history for half a centur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풀빛 1988

      2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연변교육출판사 1954

      3 "해방직후 「프로」문인들 모습 첫 공개" 문학사상사 1989

      4 김윤식,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열음사 1989

      5 김희민, "해방 3년의 소설문학" 세계 1987

      6 "해금 30년, 해금 전후 지성사·문화사의 풍경들 -구보학회 제27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7 "해금 30년, 문학장의 변동 -구보학회 제26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8 이정식, "항전별곡 -조선독립동맹 자료Ⅰ" 거름 1986

      9 김학철, "항전별곡"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1983

      10 김윤식, "항일 빨치산문학의 기원 -김학철론" 391-424, 1988

      1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풀빛 1988

      2 김학철, "혜란강아 말하라" 연변교육출판사 1954

      3 "해방직후 「프로」문인들 모습 첫 공개" 문학사상사 1989

      4 김윤식, "해방공간의 민족문학 연구" 열음사 1989

      5 김희민, "해방 3년의 소설문학" 세계 1987

      6 "해금 30년, 해금 전후 지성사·문화사의 풍경들 -구보학회 제27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7 "해금 30년, 문학장의 변동 -구보학회 제26회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8 이정식, "항전별곡 -조선독립동맹 자료Ⅰ" 거름 1986

      9 김학철, "항전별곡" 흑룡강 조선민족출판사 1983

      10 김윤식, "항일 빨치산문학의 기원 -김학철론" 391-424, 1988

      11 한국출판문화운동사 편찬위원회, "한국출판문화운동사 –1970년대 말~1990년대 초" 한국출판문화운동동우회 2007

      12 오무라 마스오, "한국문학의 동아시아적 지평" 소명출판 2017

      13 역사학연구소, "한국 민중사의 새로운 모색과 역사쓰기" 선인 2010

      14 에티엔 발리바르, "폭력과 시민다움 –반폭력의 정치를 위하여" 난장 2011

      15 박태일, "평양 시기 김학철의 전투실기 「호가장 전투」" 국제한인문학회 1 (1): 35-75, 2017

      16 이은직, "탁류" 풀빛 1988

      17 김학철, "최후의 분대장" 문학과지성사 1995

      18 이해영, "청년 김학철과 그의 시대" 역락 2006

      19 한기형, "저수하의 시간, 염상섭을 읽다" 소명출판 2014

      20 김성수, "재․월북 작가 ‘해금’ 조치(1988)의 연구사·문화사적 의미" 상허학회 55 : 11-49, 2019

      21 정흥수, "위기의 비평, 위기의 문학사 –김윤식과 그의 시대" 문학과지성사 (봄) : 133-163, 2019

      22 장문석, "월북작가의 해금과 작품집 출판(1) - 1985-1989년 시기를 중심으로" 구보학회 (19) : 39-111, 2018

      23 김미지, "월북문인 해금의 이면—‘불화’의 소멸 그 이후" 구보학회 (20) : 87-114, 2018

      24 이건웅, "월간<출판문화> 내용에 대한 연구 : 1965년 2월(창간호)~2005년 12월(통권 481호)" 동국대학교 언론정보[산업]대학원 2007

      25 윤해동, "식민지의 회색지대 –한국의 근대성과 식민주의 비판" 역사비평사 2003

      26 윤해동, "식민지근대와 공공성-변용하는 공공성의 지평"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8) : 163-195, 2010

      27 황병주, "식민지 시기 ‘공’ 개념의 확산과 재구성" 한국사회사학회 (73) : 5-44, 2007

      28 김주현, "선금술의 방법론 –신채호의 문학을 넘어" 소명출판 2020

      29 허 수, "새로운 식민지 연구의 현주소 ―‘식민지 근대’와 ‘민중사’를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6 : 9-32, 2006

      30 강용훈, "비평적 글쓰기의 계보 –한국 근대 문예비평의 형성과 분화" 소명출판 2013

      31 조르주 디디-위베르만, "반딧불의 잔존 –이미지의 정치학" 길 2020

      32 신경림, "민중생활사의 복원과 혁명적 낙관주의의 뿌리" 창비 16 (16): 216-225, 1988

      33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사를 다시 말한다" 역사비평사 2013

      34 역사문제연구소 민중사반, "민중 경험과 마이너리티" 경인문화사 2017

      35 최원식, "민주적 사회주의자의 길 -『김학철전집』 발간에 부쳐" 43 (43): 366-389, 2015

      36 김학철, "무명소졸" 풀빛 1989

      37 조르주디디-위베르만, "모든것을무릅쓴이미지들-아우슈비츠에서 온네장의 사진" 레베카 2017

      38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편찬위원회,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권 임시의정원Ⅱ" 국사편찬위원회 2005

      39 정창현, "남북 현대사의 쟁점과 시각" 선인 2009

      40 강 옥, "김학철 문학연구" 국학자료원 2010

      41 연변대학교 조선문학연구소, "김학철 · 김광주 외 –연세국학총서73,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13" 보고사 2007

      42 김학철, "격정시대" 풀빛 1988

      43 김학철, "격정시대" 료녕민족출판사 1986

      44 "격랑의 삶, 김학철 선생과의 대담" 새얼문화재단 7 : 1995

      45 김윤식, "거울로서의 자전自傳과 일기日記" 서정시학 2016

      46 차승기, "‘언어=사실’의 세계 ― 전쟁과 르포르타주" 대동문화연구원 (107) : 7-28, 2019

      47 김민수, "‘문학’에서 ‘글쓰기’로 -김윤식의 ‘글쓰기론 3부작’ 논의를 위한 예비적 고찰" 구보학회 (22) : 247-283, 2019

      48 김학철, "20세기의 신화" 창작과비평사 1996

      49 박시형, "20세기 중국조선족문학사료전집 김학철 문학편(중)" 도서출판 숨 2002

      50 장문석, "1960~1970년대 일본의 한국문학 연구와 ‘조선문학의 회(朝鮮文學の會)’-오무라 마스오(大村益夫) 교수에게 질문하다-" 한국학연구소 (40) : 171-218, 2016

      51 원용진, "'식민지적 공공성'과 8.15 해방공간" 한국언론정보학회 47 (47): 50-73,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