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직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 분석: Q 방법론을 중심으로 = Exploratory Study on the Meaning of Job in University Students: Application of Q Methodolog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93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job have much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life and relation with meaning of life. Concerning the environment of current labor market, the youth’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job is imperative in practical and theoretical points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job and to find the cluster of perception on that.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for analyzing university studdents’ perception. Q method based on the Q sample which was from statements and the P sample which was composed of study participants. This P sample has done sorted(Q-sorting) according to the self-reference. This study’s Q sample was composed of 60 statements on the meaning of job. Also, for the comprehensive constructing research population, the university type, region, gender, grade, and major were considered. Finally, P sampl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8 university students from various types of universities, genders, grades and majors. The QUANL PC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study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four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the job meaning. First, happiness-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earching for the happiness and opportunities for personal dream. Second, reality-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channel for getting instrumental means. Third, growth-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investment for life and growth opportunity, and fourth, independence-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job is the channel for making life more fre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 were provided in this study.
      번역하기

      The job have much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life and relation with meaning of life. Concerning the environment of current labor market, the youth’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job is imperative in practical and theoretical points of view. The...

      The job have much influence on the individual’s life and relation with meaning of life. Concerning the environment of current labor market, the youth’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job is imperative in practical and theoretical points of 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ubjective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job and to find the cluster of perception on that.
      This study used Q methodology for analyzing university studdents’ perception. Q method based on the Q sample which was from statements and the P sample which was composed of study participants. This P sample has done sorted(Q-sorting) according to the self-reference. This study’s Q sample was composed of 60 statements on the meaning of job. Also, for the comprehensive constructing research population, the university type, region, gender, grade, and major were considered. Finally, P sampl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composed of 38 university students from various types of universities, genders, grades and majors. The QUANL PC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the study results.
      The study results showed four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n the job meaning. First, happiness-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of searching for the happiness and opportunities for personal dream. Second, reality-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channel for getting instrumental means. Third, growth-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of investment for life and growth opportunity, and fourth, independence-oriented style was based on the perception that job is the channel for making life more freely.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suggestion were provided in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직업은 개인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삶의 의미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 노동시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특히 청년층이 직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는 실천적, 이론적으로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직업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반응을 분석하여 인식의 군집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Q 방법론이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Q방법론은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구성하고, 이를 연구 대상자인 P 표본이 자가 참조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60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이 완성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으로 대학유형, 지역, 성별, 학년, 전공 등의 측면에서 가급적 다양한 배경의 대학생을 연구에 참여시키기 위하여, 수도권과 지방, 국립대와 사립대를 고려하여 연구대상 대학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대학에서 성별, 학년, 전공 등을 고려해 학생들을 조사에 참여시켰다. 최종적으로는 38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P 표본이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의 분석에는 QUANL PC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직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Q 요인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네 개의 유형으로는 첫째, 직업을 주로 행복을 추구하고 꿈을 실현하는 기회로 인식하는 ‘행복 추구형’, 둘째, 직업을 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구적 수단을 얻는 통로로 이해하고 있는 ‘현실 직시형’, 셋째, 자신의 인생에 대한 투자나 성장의 기회 제공의 통로 등으로 이해하는 ‘성장 지향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직업을 자유로운 삶을 가능하게 해 주는 계기로서 인식하는 ‘독립기반 조성형’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실천적, 이론적 제언을 제공하고 있다.
      번역하기

      직업은 개인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삶의 의미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 노동시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특히 청년층이 직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직업은 개인의 일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삶의 의미와 깊은 관련을 갖고 있다. 현재 우리사회의 노동시장의 현실을 감안할 때, 특히 청년층이 직업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는 실천적, 이론적으로 중요한 주제라고 할 수 있다. 이에 이 연구는 직업에 대한 대학생의 주관적 반응을 분석하여 인식의 군집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 Q 방법론이 연구방법으로 활용되었다. Q방법론은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을 구성하고, 이를 연구 대상자인 P 표본이 자가 참조에 따라 분류하는 방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최종적으로 60개의 진술문으로 구성된 Q 표본이 완성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으로 대학유형, 지역, 성별, 학년, 전공 등의 측면에서 가급적 다양한 배경의 대학생을 연구에 참여시키기 위하여, 수도권과 지방, 국립대와 사립대를 고려하여 연구대상 대학을 선정하고, 선정된 각 대학에서 성별, 학년, 전공 등을 고려해 학생들을 조사에 참여시켰다. 최종적으로는 38명의 대학생으로 구성된 P 표본이 구성되었다. 연구결과의 분석에는 QUANL PC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직업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을 Q 요인을 실시한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도출되었다. 네 개의 유형으로는 첫째, 직업을 주로 행복을 추구하고 꿈을 실현하는 기회로 인식하는 ‘행복 추구형’, 둘째, 직업을 주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도구적 수단을 얻는 통로로 이해하고 있는 ‘현실 직시형’, 셋째, 자신의 인생에 대한 투자나 성장의 기회 제공의 통로 등으로 이해하는 ‘성장 지향형’, 그리고 마지막으로 직업을 자유로운 삶을 가능하게 해 주는 계기로서 인식하는 ‘독립기반 조성형’ 등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 연구는 실천적, 이론적 제언을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진,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고재성,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7-42, 2010

      4 이정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109-1129, 2014

      5 장형석, "일의 의미 척도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1 (1): 81-117, 2000

      6 예지은, "신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2 (12): 67-86, 2009

      7 김계현, "상담과 심리검사" 학지사 2012

      8 이은정, "사회적기업의 여성친화성이 여성근로자의 일의 의미 및 고용불안정과 직무만족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16): 53-78, 2013

      9 손보영,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 다중역할계획태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1189-1208, 2013

      10 서진숙,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 김수진, "한국판 일의 의미 척도 (Working As Meaning Inventory; WAMI) 타당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2 심예린, "한국판 소명 척도 타당화 : 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3 고재성, "청년층 구직역량 개념 정의 및 가중치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29 (29): 17-42, 2010

      4 이정선,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의 관계: 일의 의미와 업무환경의 중재효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6 (26): 1109-1129, 2014

      5 장형석, "일의 의미 척도 구성 및 직무만족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1 (1): 81-117, 2000

      6 예지은, "신세대 직장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2 (12): 67-86, 2009

      7 김계현, "상담과 심리검사" 학지사 2012

      8 이은정, "사회적기업의 여성친화성이 여성근로자의 일의 의미 및 고용불안정과 직무만족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16): 53-78, 2013

      9 손보영, "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대학생 다중역할계획태도와의 관계에서 진로정체감과 일의 의미의 매개효과: 남녀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4 (14): 1189-1208, 2013

      10 서진숙,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11 황매향, "대학생의 일의 의미와 진로 결정과정에서의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한국심리학회 32 (32): 675-699, 2013

      12 김나래, "대학생의 일 자유의지: Work Volition Scale(WVS)의 타당화 연구"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41-58, 2014

      13 박주현, "대학생의 소명과 진로태도성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일희망의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14 이건남, "대학생의 구직역량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직업교육학회 31 (31): 199-225, 2012

      15 서희정, "대학생용 진로준비행동검사의 표준화 연구: 4년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05-125, 2014

      16 김진숙, "대학생들의 일의 개념" 한국상담학회 5 (5): 973-991, 2004

      17 장수현, "대학교 4학년의 구직행동과 일의 목적/의미 및 부모지지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상담연구소 35 (35): 1-17, 2014

      18 박도순,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2001

      19 양지혜, "개인과 조직의 가치 정렬이 역할 외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일의 의미를 매개효과로" 대한경영학회 28 (28): 715-734, 2015

      20 金鳳煥, "大學生의 進路決定水準과 進路準備行動의 發達 및 二次元的 類型化"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21 Blustein, D. S., "Voices of the forgotten half: The role of social class i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49 : 311-323, 2002

      22 Arnold, K.,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e mediating role of meaningful work" 12 (12): 193-203, 2007

      23 Arnett, J. J., "The psychology of globalization" 57 : 774-783, 2002

      24 Ashmos, D. P., "Spirituality at work. A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 9 (9): 134-145, 2000

      25 김순은, "Q 방법론의 이론적 배경과 비판적 고찰" 한국정책분석평가학회 9 (9): 201-216, 1999

      26 김헌수, "Q 방법론" 교육과학사 2000

      27 Hall, D. T., "Psychological success: When the career is a calling" 26 (26): 155-176, 2005

      28 Pratt, M. G., "Positive organizational scholarship:Foundations of a new discipline" Barrett-Koehler 309-327, 2003

      29 Rosso, B. D., "On the meaning of work: A theoretical integration and review" 30 (30): 91-127, 2010

      30 Petchsawang, P., "Measuring workplace spirituality in an Asian context" 12 (12): 459-468, 2009

      31 Steger, M. F., "Measuring meaningful work: The work and meaning inventory (WAMI)" 20 (20): 322-337, 2012

      32 Sverko, B., "Life roles, values, and careers" Jossey-Bass 3-21, 1995

      33 Wrzesniewski, A., "Jobs, careers, and callings: Work orientation and job transitions" The University of Michigan 1999

      34 Tanner, J. L., "Emerging adulthood in America: Coming of age in the 21st century"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1-55, 2005

      35 Chaves, A. P., "Conceptions of work: The view from urban youth" 51 (51): 275-286, 2004

      36 Scott, T. L., "Choices, constraints, and calling: Conservative protestant women and the meaning of work in the US" 22 (22): 1-38, 2002

      37 Elangovan, A. R., "Callings and organizational behavior" 76 (76): 428-440, 2010

      38 통계청, "2015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보도자료"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