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산업안전보건 분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직무교육 이수자의 인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irections for Improving Job Training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Focused on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693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ethod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55 participants of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completed the programs between March and June in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including experience, workshop, and discussion on issues. In addition,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Moreover, the training programs for health manager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improved for training effectivenes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ethod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directions for improving methods, contents, and effectiveness of job training program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perceptions of participants in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to 255 participants of job training program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f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who completed the programs between March and June in 201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various training methods need to be applied in job training programs including experience, workshop, and discussion on issues. In addition, further specialized training programs on specific areas need to be expanded to meet the needs of safety and health managers. Moreover, the training programs for health managers should be carefully reviewed and improved for training effectivenes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의 성패가 좌우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고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이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효과에 등을 조사하여 직무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 및 교육방법의 효과 등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시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직무교육을 실시한 총 14개 직무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이수자 리스트를 확보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를 각각 75명씩 무선 표집하고 상대적으로 교육이수자가 적은 재해예방전문기관 종사자는 30명을 표집하여 총 255명을 표집하였다. 표집 과정에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 이수자가 각각 50%씩 분포되도록 하였다.
      직무교육 이수자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교육 내용 측면에서 전문성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집체교육에서 체험・실습, 실제 사례 간접 체험, 이슈 토론 등을 포함하여 직무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규교육과 보수교육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성 향상 차원에서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가 필요하고, 이를 보수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와 관련하여 업종별 특화 교육의 개설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보건관리자의 직무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보건관리자에 대한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에도 직무교육 기회의 접근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들은 직무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직무교육의 현장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직무교육의 유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의 성패가 좌우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고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

      사업장의 안전보건 관리를 실질적으로 책임지고 있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현장의 안전보건관리의 성패가 좌우될 정도로 그 중요성이 크고 현장에 미치는 영향력이 막대하다. 이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의 내용과 방법 및 효과에 등을 조사하여 직무교육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파악함으로써 양질의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산업안전보건 분야의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직무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 및 교육방법의 효과 등 직무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실효성 있는 직무교육 시행을 위한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를 위하여 2015년 3월부터 6월까지 직무교육을 실시한 총 14개 직무교육기관으로부터 교육이수자 리스트를 확보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를 각각 75명씩 무선 표집하고 상대적으로 교육이수자가 적은 재해예방전문기관 종사자는 30명을 표집하여 총 255명을 표집하였다. 표집 과정에서 신규교육 및 보수교육 이수자가 각각 50%씩 분포되도록 하였다.
      직무교육 이수자의 설문조사 분석 결과,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은 교육방법의 다양화가 요구되고 교육 내용 측면에서 전문성 확대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의 직무교육 개선 방향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교육 방법과 관련하여 집체교육에서 체험・실습, 실제 사례 간접 체험, 이슈 토론 등을 포함하여 직무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신규교육과 보수교육 내용의 차별화가 필요하다. 셋째, 전문성 향상 차원에서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가 필요하고, 이를 보수교육으로 적극적으로 인정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문화교육의 확대 및 다양화와 관련하여 업종별 특화 교육의 개설 확대가 요구된다. 넷째, 보건관리자의 직무교육 내용 및 방법에 대한 면밀한 검토와 보건관리자에 대한 교육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지방에도 직무교육 기회의 접근성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안전보건관리책임자 등 직무교육 이수자들은 직무교육의 효과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으나, 지속적으로 직무교육의 현장 적합성 및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직무교육의 유효성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소연, "프로그램 논리에 기반한 산업안전교육현황 및 논리 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21) : 49-68, 2010

      2 이명선, "정기 안전보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3 정원일, "안전보건교육 의무화와 산업재해"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49-164, 2013

      4 이승호,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069-1076, 2012

      5 이백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안전교육방안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9 (9): 19-31, 2007

      6 김철식, "산업재해 분석을 통한 안전교육훈련의 개선에 관한 연구" 6 (6): 15-21, 2003

      7 조흠학,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업주 교육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법학회 (11) : 65-98, 2008

      8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9 강종철,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인센티브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19 (19): 129-134, 2004

      10 전용일,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제도 개선방안 연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1 박소연, "프로그램 논리에 기반한 산업안전교육현황 및 논리 분석" 한국산업교육학회 (21) : 49-68, 2010

      2 이명선, "정기 안전보건교육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6

      3 정원일, "안전보건교육 의무화와 산업재해"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9 (9): 149-164, 2013

      4 이승호, "산업재해예방을 위한 산업안전보건교육의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13 (13): 1069-1076, 2012

      5 이백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효과적 안전교육방안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9 (9): 19-31, 2007

      6 김철식, "산업재해 분석을 통한 안전교육훈련의 개선에 관한 연구" 6 (6): 15-21, 2003

      7 조흠학, "산업안전보건법에서 사업주 교육의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법학회 (11) : 65-98, 2008

      8 고용노동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시행규칙"

      9 강종철,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인센티브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 19 (19): 129-134, 2004

      10 전용일, "산업안전보건교육 교육제도 개선방안 연구"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12

      11 고봉석, "산업안전보건 관리감독자 교육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251-262, 2011

      12 이원근, "산업안전교육의 효용성 제고 방안에 관한 연구" 13 (13): 271-278, 1998

      13 박경옥, "사업장내 안전보건교육 실태 분석 및 제고 방안 연구" 한국산업안전보건연구원 2007

      14 박영신, "기업의 안전문화 진단과 안전교육에 대한 함의: 산업재해근로자에 대한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3 (3): 5-39, 2000

      15 우태희, "기업 안전직무교육 평가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대한안전경영과학회 16 (16): 11-19, 2014

      16 홍성욱, "건설현장 안전교육에 대한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7 (7): 75-83, 2005

      17 김동하, "건설현장 근로자 및 관리기사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효율화 방안" 14 (14): 163-169, 1999

      18 고용노동부, "2013년 산업재해 현황분석"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직업교육연구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Research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6 2.06 2.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21 2.29 2.564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