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이명선의 『조선문학사』와 유물사관 = Lee Myong sun'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and Socialis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742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essay aims to research a Korean literature scholar, Lee Myong sun. He was interested in the Socialism as a historical view of literature. His attitude toward the way of studying literature is a sort of positivism. But he was inclined to Socialism around 1939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progressive group.
      And also he stressed anti-feudalistic idea and resisted the power of foreign countries on researching Korean old literature. This means that researchers should follow social party platforms on studying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based on Socialism.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division of history, structure of description, consideration of religion and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clas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significant on two points. First, it is the firs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ism. Second, it is the book overcome positivism on studying literature.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awaiting solutions. First, the volume of it is very thin, second, he excluded the theory of other researchers, third, it was received the western literary theory without critical attitude.
      번역하기

      This essay aims to research a Korean literature scholar, Lee Myong sun. He was interested in the Socialism as a historical view of literature. His attitude toward the way of studying literature is a sort of positivism. But he was inclined to Socialism...

      This essay aims to research a Korean literature scholar, Lee Myong sun. He was interested in the Socialism as a historical view of literature. His attitude toward the way of studying literature is a sort of positivism. But he was inclined to Socialism around 1939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progressive group.
      And also he stressed anti-feudalistic idea and resisted the power of foreign countries on researching Korean old literature. This means that researchers should follow social party platforms on studying Korean literatur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as based on Socialism. The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division of history, structure of description, consideration of religion and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upper and the lower class.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significant on two points. First, it is the first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based on the Socialism. Second, it is the book overcome positivism on studying literature. But there are several problems awaiting solutions. First, the volume of it is very thin, second, he excluded the theory of other researchers, third, it was received the western literary theory without critical attitud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문학 연구의 다양한 흐름 중에 한 흐름, 즉 사회․경제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문학을 이해한 이명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명선은 초기 학문적 경향은 실증주의에 근거하지만, 1939년을 전후하여 사회주의에 경도된 진보진영의 민족주의로 학문적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방 이후 이명선은 고전소설에 기반하여 반봉건․반외세적인 요인을 타파하는 데에 초점을 두면서 사회주의의 행동 강령에 입각하여 직접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이명선의 조선문학사는 철저하게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씌어졌다. 그 양상은 네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시대구분. 둘째, 서술체제. 셋째, 내용적인 면에서 대립관계를 설정한다는 점. 넷째, 종교를 상정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특히 시대구분에서 ‘고대의 원시문학-중세기의 봉건문학-조선문학의 근대화’로 나눈 것이나, 서술체계에서 세계사의 보편 속에서 한국문학을 바라보겠다는 점, 모든 문학 갈래를 대립 관계로 설정하는 점 등은 이명선이 의도적으로 유물사관을 적용시킨 예다.
      조선문학사는 유물사관에 근거한 최초의 문학사라는 점, 당대의 실증주의를 넘어섰다는 점 등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분량이 적다는 점, 당시 같이 호흡했던 김태준․김재철 등의 이론을 배제했다는 점, 서구 이론을 직대입하면서 나타나는 문제 등은 일정한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번역하기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문학 연구의 다양한 흐름 중에 한 흐름, 즉 사회․경제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문학을 이해한 이명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명선은 초기 학문적 경향은 ...

      이 글은 해방 이후 한국문학 연구의 다양한 흐름 중에 한 흐름, 즉 사회․경제주의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문학을 이해한 이명선에 대한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이명선은 초기 학문적 경향은 실증주의에 근거하지만, 1939년을 전후하여 사회주의에 경도된 진보진영의 민족주의로 학문적 방향을 선회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해방 이후 이명선은 고전소설에 기반하여 반봉건․반외세적인 요인을 타파하는 데에 초점을 두면서 사회주의의 행동 강령에 입각하여 직접적인 실천을 강조한다.
      이명선의 조선문학사는 철저하게 유물사관에 입각하여 씌어졌다. 그 양상은 네 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시대구분. 둘째, 서술체제. 셋째, 내용적인 면에서 대립관계를 설정한다는 점. 넷째, 종교를 상정한다는 점 등이 그것이다. 특히 시대구분에서 ‘고대의 원시문학-중세기의 봉건문학-조선문학의 근대화’로 나눈 것이나, 서술체계에서 세계사의 보편 속에서 한국문학을 바라보겠다는 점, 모든 문학 갈래를 대립 관계로 설정하는 점 등은 이명선이 의도적으로 유물사관을 적용시킨 예다.
      조선문학사는 유물사관에 근거한 최초의 문학사라는 점, 당대의 실증주의를 넘어섰다는 점 등에서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분량이 적다는 점, 당시 같이 호흡했던 김태준․김재철 등의 이론을 배제했다는 점, 서구 이론을 직대입하면서 나타나는 문제 등은 일정한 한계로 지적할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 7 : 1995

      2 "해방공간의 좌우익 대립과 민족문학 논쟁 한국문학사 서술의 제문제" 단국대출판부 1993

      3 "한국사의 고ㆍ중세 시대구분 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5

      4 "한국사 정립의 방향 한국근대사의 재조명" 서울대출판부 1982

      5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전5 : 1982-1986

      6 "한국문학사론 연구" 문예출판사 1995

      7 "한국문학사 서술의 양상과 과제" 1985

      8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와 문제점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2

      9 "학의 방법론 연구" 19921994

      10 "총성의 역 사회주의 예술론" 1985

      1 "해방직후의 민족문학운동" 7 : 1995

      2 "해방공간의 좌우익 대립과 민족문학 논쟁 한국문학사 서술의 제문제" 단국대출판부 1993

      3 "한국사의 고ㆍ중세 시대구분 한국사의 시대구분" 신서원 1995

      4 "한국사 정립의 방향 한국근대사의 재조명" 서울대출판부 1982

      5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전5 : 1982-1986

      6 "한국문학사론 연구" 문예출판사 1995

      7 "한국문학사 서술의 양상과 과제" 1985

      8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와 문제점 연세대 국학연구원" 1992

      9 "학의 방법론 연구" 19921994

      10 "총성의 역 사회주의 예술론" 1985

      11 "천태산인의 국문학연구 민족문학사연구 민족문학사연구회" 1993

      12 "조선한문학사" 한성도서주식회사 1931

      13 "조선평민문학사" 민학사 1947

      14 "조선사회경제사" 이론과실천 1989

      15 "조선 지식계급의 고민과 其方向" (21) : 1936

      16 "이명선의 조선문학사 고" 한국문학회 1992

      17 "이명선의 국문학연구 방법론과 유물사관 고려대 국어국문학연구회" 1989

      18 "역사 앞에서" 창작과비평사 1993

      19 "안자산 국학론 선집" 현대실학사 1996

      20 "소설의 본질과 역사" 소련 콤 아카데미 문학부편 1988

      21 "사관이란 무엇인가" 청람 1985

      22 "문학사 기술의 경과와 방법 비교고찰 한국문학사 서술의 제문제" 단국대출판부 1993

      23 "동아시아문학사비교론" _ 서울대출판부 1993

      24 "국문학연구 방법론과 그 이념 기반의 재검토" (104) : 1979

      25 "고전문학 연구의 어제와 오늘 한국고전의 재인식" 1988

      26 "경성제국대학" 다락원 1980

      27 "개고 국문학사" 정음사 19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3 1.03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6 1.437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