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용사(구)나 동사(구) 등이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명사화라고 한다. 명사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 중의 하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명사화 현상을 실현하는 방식이 각 기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113729
주선 (한국외국어대학교)
2019
Korean
명사화 ; 명사화소 ; 명사 파생 접미사 ; ‘-ㅁ/음’ ; 번역양상 ; Nominalization ; Nominalizer ; Noun-derivational suffix ; Noun ending ; Translation aspect
KCI등재
학술저널
111-137(27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형용사(구)나 동사(구) 등이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명사화라고 한다. 명사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 중의 하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명사화 현상을 실현하는 방식이 각 기 다...
형용사(구)나 동사(구) 등이 명사의 역할을 하게 된 것은 명사화라고 한다. 명사화 현상은 언어의 보편적인 특징 중의 하나며, 중국어와 한국어에서 명사화 현상을 실현하는 방식이 각 기 다르다. 중국어에 비하면 한국어에서 보다 자유롭게 명사화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한중 번역시 의미와 형식상 완전히 일치한 대응어를 찾기 어려운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하지만 번 역학적 차원에서 명사화를 다루는 연구가 아직 드물다. 따라서 한국어 명사화 현상이 중국어 번역문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고는 소설 2권 및 시집 1권을 분석 자료로 선정하여 실제 번역 사례를 통해서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으로 인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이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고찰하고 유형화하는 데 목적을 둔다. 한국어에서 명사화를 실현하는 방식이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 명사화소 ‘-ㅁ/음’은 동 일한 형태로 명사형 어미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고, 명사 파생 접미사로서 명사화를 이룰 수도 있기 때문에 서로 구분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를 고찰함으로써 이들을 구 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명사형 어미 ‘-ㅁ/음’과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의 특징을 정리해 보았다. 더 나아가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를 중심으로 번역 사례의 중국어 번역 양상을 분석하였다. 본고에서 구축한 말뭉치 자료를 살펴본 결과는 ‘대응어, 명사 화, 삽입, 생략, 전환, 대체’와 같이’ 6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그중에 대응어와 명사화는 직역 의 범주로, 삽입과 생략, 전환, 대체는 의역의 범주로 볼 수 있다. 앞으로 한중 번역할 때 명사 파생 접미사 ‘-ㅁ/음’에 의한 명사화 현상으로 인한 어려움이 발생 시 본고에서 제시한 6가지 방법을 고려한다면 시사점을 줄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Nominal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verbs, adjectives and phrases that act as nouns in sentence. The ways of actualizing nominalization are different in Chinese and Korean. Compared with Chinese, Korean is able to actualize nominalization mo...
Nominalization refers to the process in which verbs, adjectives and phrases that act as nouns in sentence. The ways of actualizing nominalization are different in Chinese and Korean. Compared with Chinese, Korean is able to actualize nominalization more freely. Therefore, in the process of transl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it is difficult to fine the corresponding language that i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meaning and form of the original language, which increases the difficulty of translation. Since now, there are few studies who have explored the problem of nominaliz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ranslatology. However, it is necessary to make such study. Under this context, this paper selects two novels and one collection of poetry as the corpus data, investigating the phenomenon of nominalization in terms of Korean through the practical translation cases and summarizing in terms of the translation methods. There are several ways of actualizing the nominalization in Korean. Among this part, ‘-m/um’ is able to be regarded as both noun ending and noun-derivational suffix to actualize the nominalization. They share the same morphology. First of all, this paper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oun ending ‘-m/um’ and the noun-derivational suffix ‘-m/um’ to help distinguish them through investigating the previous research. Then, noun-derivational suffix is regarded as the core to make the research and the case analysis.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corpus, this paper summarizes six types of translation methods, which are the corresponding words, nominalization, addition, omission, transformation and substitu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경, "현대중국어 명사화 형식 'NP+的+VP'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2 "표준국어대사전"
3 남성우, "통번역의 이해와 수행" 한국문화사 2006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07
5 최정아, "병렬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영어의 번역 단어수 연구" 한국번역학회 4 (4): 89-115, 2003
6 정연일, "번역학 입문-이론과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6
7 권인경, "문화소 번역 방법 연구-제주도 관광안내텍스트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5) : 37-59, 2013
8 우형식, "명사화소 ‘-(으)ㅁ’, ‘-기’의 분포와 의미 기능"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2 (12): 119-160, 1987
9 송창선, "명사화소 ‘-(으)ᄆ, -기’의 통사 특성" 국어교육학회 22 : 211-230, 1990
10 홍종선, "명사화 어미 ‘-음’과 ‘-기’" 한국언어학회 8 (8): 241-272, 1983
1 이은경, "현대중국어 명사화 형식 'NP+的+VP'연구"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2
2 "표준국어대사전"
3 남성우, "통번역의 이해와 수행" 한국문화사 2006
4 한강, "채식주의자" 창비 2007
5 최정아, "병렬 말뭉치를 통한 한국어-영어의 번역 단어수 연구" 한국번역학회 4 (4): 89-115, 2003
6 정연일, "번역학 입문-이론과 적용" 한국외국어대학교출판부 2006
7 권인경, "문화소 번역 방법 연구-제주도 관광안내텍스트를 중심으로" 동화와번역연구소 (25) : 37-59, 2013
8 우형식, "명사화소 ‘-(으)ㅁ’, ‘-기’의 분포와 의미 기능"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2 (12): 119-160, 1987
9 송창선, "명사화소 ‘-(으)ᄆ, -기’의 통사 특성" 국어교육학회 22 : 211-230, 1990
10 홍종선, "명사화 어미 ‘-음’과 ‘-기’" 한국언어학회 8 (8): 241-272, 1983
11 최형기, "명사화 {-음}, {-기}의 의미기능" 圓光大學校 人文科學大學 國語國文學科 14 : 97-116, 1991
12 최성규, "명사형 어미 ‘-ㅁ’의 형성 과정 탐색" 국어학회 (83) : 153-181, 2017
13 김창섭, "국어의 단어형상과 단어구조 연구" 태학사 1996
14 이익섭, "국어문법론강의" 學硏社 1999
15 김명광, "국어 접사 ‘-(으)ㅁ’, ‘-기’에 의한 단어 형성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4
16 임세정, "국어 명사형 어미와 명사 파생 접미사의 구별에 관한 교육방안 연구"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7 김한샘, "교육용 접사 선정을 위한 명사 파생 접미사 빈도 연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9 (9): 21-44, 2013
18 천명관, "고령화가족" 문학동네 2010
19 孔渊, "高龄化家族" 华中科技大学出版社 2014
20 尹海燕, "韩国现代名诗选读" 民族出版社 2005
21 洪满浩, "韩中词典" 黑龙江朝鲜民族出版社 2012
22 千日, "素食主义者" 重庆出版社 2013
23 中国社会科学院语言研究所词典编辑室, "现代汉语词典" 商务印书版 1960
24 한학중, "漢語의 名詞化 類型과 意味上의 特徵" 중국어문학연구회 (49) : 115-137, 2008
25 戴婷婷, "浅析汉语名词化现象" (2) : 81-85, 2004
26 黎锦熙, "新著国语文法" 商务印书馆 1924
27 刘月华, "实用现代汉语语法" 商务印书馆 2014
28 송철의, "國語의 派生語形成 硏究" 태학사 1992
29 崔在喜, "國語 名詞化 接尾形態素{-음}·{-기}의 特性에 대한 1990究" 조선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5 : 109-130, 1983
30 石定栩, "名词和名词性成分" 北京大学出版社 2011
31 沈在箕, "名詞化의 意味機能" 한국언어학회 5 (5): 79-102, 1980
32 胡裕树, "动词形容词的"名物化"和"名词化"" (2) : 81-85, 1994
33 시정곤, "‘X+음’의 정체는 무엇인가?" 형태론 1 (1): 133-141, 1999
34 Nida, E. A, "Toward a science oftranslating : With special reference to principles and procedures involved inBible" E. J. Brill 1964
35 Wilss,W., "The Science ofTranslation" Narr. Tübingen 1982
36 Bell, A, "The Language of NewsMedia" Blackwell 1991
37 이상욱, "'-음', '-기' 명사형의 단어화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38 项雯彬, ""和""与"的对比研究及偏误分析" 35 (35): 42-45, 2015
21세기 한국과 중국의 전쟁 영화에 담긴 반전(反戰) 의식
만주국 문학장에 이입된 한국문학 - 『조선단편소설선』 출간을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1999-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46 | 0.46 | 0.4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5 | 0.41 | 0.808 | 0.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