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한계가 한국 언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공영방송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전문직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태도적 요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226600
2015
-
600
KCI등재
학술저널
88-110(23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이 연구는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한계가 한국 언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공영방송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전문직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태도적 요인...
이 연구는 언론 전문직주의의 위기와 한계가 한국 언론 현실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공영방송을 둘러싼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해 보았다. 전문직주의를 구성하는 중요한 태도적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자율성, 행동 준거로서의 조직과 자기규제에 대한 믿음, 공공서비스에 대한 인식,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이 한국을 대표하는 공영방송에서조차 무너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위기가 단순히 방송저널리즘 실천의 장애를 넘어 건전한 민주주의 형성과 유지, 그리고 발전에 커다란 위험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나아가 공영방송이, 국가나 정부 권력에 대한 비판과 견제가 아닌 관행적 도구로 전락되고 있음을 여러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결국 공영방송이 관료제화로의 위기로 치닫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방송저널리즘의 역할과 책임이 심대히 훼손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공영방송 저널리즘의 본질적인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해서 무엇보다 언론 전문직주의 복원을 위한 성찰이 필요하고 공영방송 지배구조도 개선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crisis of professionalism in journalism focusing on conflicts around public broadcasting. Professional attitudinal conditions such as autonomy, perception of public service, a calling for journalism jobs, organization as a stan...
This study examined the crisis of professionalism in journalism focusing on conflicts around public broadcasting. Professional attitudinal conditions such as autonomy, perception of public service, a calling for journalism jobs, organization as a standard of journalism practice, and belief in self-control are thought to be shrinking.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treat of journalistic professionalism might be regarded as dangerous elements on democratic development. By reviewing multilateral cases, this study also found out that public broadcasting had been degraded from as a tool of critic against government to as a tool of authoritarian government. In conclusion, public broadcasting is at the point of turnover to bureaucratic system and therefore thorough reflection on professionalism is needed to regain its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 field of journalis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승건, "한국의 행정개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2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의 언론인 201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3 남재일, "한국신문의 객관주의 아비투스 : 형식적 사실주의의 전략적 의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4 전병재,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사회비평사 1995
5 "한국기자협회보"
6 "한국기자협회보"
7 박종연, "한국 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8 강명구, "한국 언론전문직의 사회학" 나남 1993
9 이정훈,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59-88, 2006
10 최석현,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84-108, 2012
1 정승건, "한국의 행정개혁" 부산대학교 출판부 1999
2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의 언론인 2013" 한국언론진흥재단 2013
3 남재일, "한국신문의 객관주의 아비투스 : 형식적 사실주의의 전략적 의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4 전병재, "한국사회의 전문직업성 연구" 사회비평사 1995
5 "한국기자협회보"
6 "한국기자협회보"
7 박종연, "한국 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3
8 강명구, "한국 언론전문직의 사회학" 나남 1993
9 이정훈, "한국 언론인의 직업 정체성: 샐러리맨화의 역사적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0 (50): 59-88, 2006
10 최석현, "한국 신문언론노동의 숙련구조 변동과 전문직화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한국언론정보학회 57 (57): 84-108, 2012
11 Altschull, J. H, "지배권력과 제도언론" 나남 1991
12 Macdonald, K. M, "전문직의 사회학" 일신사 1999
13 김경모, "저널리즘의 환경 변화와 전문직주의 현실 : 반성적 시론"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41-84, 2013
14 김선욱,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15 김연식, "방송 저널리스트의 방송 통제요인 인식 변화 연구: 2008년과 2013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8 (58): 283-305, 2014
16 "미디어오늘"
17 Hallin, C, "미디어 시스템 형성과 진화" 한국언론재단 2009
18 강준만, "대중매체 이론과 사상" 개마고원 2012
19 박인규, "구조적 통제 하의 저널리즘: KBS 시사 프로그램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4 (24): 209-245, 2010
20 김창수, "관료제와 시민사회" 한국학술정보 2009
21 김택, "관료제도론" 한국학술정보 2013
22 유광호, "관료제도론" 대영문화사 1995
23 유선영, "객관주의 100년의 형식화 과정" (10) : 86-128, 1995
24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2278"
25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6186"
26 "http://www.journalist.or.kr/news/article.html?no=35606"
27 Gross, E., "Work and Society" Crowell 1958
28 Larson, M. S., "The rise of Professionalism"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7
29 Wilensky, H. L., "The Professionalization of Everyone?" 70 : 137-168, 1964
30 Hall, R. H., "Professionalization and Bureaucratization" 33 : 92-104, 1969
31 Freidson, E., "Professional Powers; A Study of Institutionalization of Formal Knowledg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3, 2001
32 Tuchman, G., "Objectivity as Strategic Ritual: An Examination of Newsmen’s Notions of Objectivity" 77 : 660-679, 1972
33 Schiller, D., "Objectivity and the new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81
34 Soloski, J, "News Reporting and Professionalism" 11 : 207-228, 1989
35 유홍준, "21세기 직업세계 이해를 위한 직업사회학" 경문사 2000
1990년대 이후 ‘궁중비화(宮中悲話)’를 소재로 한 사극영화의 서사 발화와 재현의 변화에 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 | ![]() |
2009-04-17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방송산업연구소 -> 방송·예술연구소영문명 :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Broadcasting & Arts Research Institute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1 | 0.31 | 0.3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8 | 0.26 | 0.535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