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평기와의 속성 정리 시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5950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기와는 주변 유적에서 흔히 확인되는 유물이다. 다만 압도적인 수량으로 말미암아 체계적으로 정리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수량적인 애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기와는 주변 유적에서 흔히 확인되는 유물이다. 다만 압도적인 수량으로 말미암아 체계적으로 정리되기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수량적인 애로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편으로서 정리를 위한 하나의 시론을 제기해 보았다. 기와를 이해하기 위한 전제로서 각 시대별 공인의 존재 양태를 문헌을 통해 정리하였다. 그 결과 집권체제가 정비되면서 장인은 그 자체 기술직으로 신분이 하락하였고, 이러한 경향은 고려와 조선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기와의 소비는 제한적이어서 권위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곳에서만 선택적으로 소용되었다. 아울러 기와를 통해 획득할 수 있는 정보로 제작기법을 들 수 있겠는데, 그러한 흔적은 성형공정에서 가장 많이 남게 된다. 때문에 이러한 흔적을 이해하기 위해 중국자료인『天工開物』과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간행한『제와장』을 비교자료로 삼았다. 비록 소소한 도구의 차이는 있었지만 제작과정의 대과는 큰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기와의 사진을 제시하여 용어를 정리하였다. 이는 각 기관에서 발간되는 기와와 관련된 기술에서 어느정도 통일성을 가져보자는 취지의 일환이기도 하다. 덧붙여 출토된 기와의 외형에 남은 흔적들 가운데 시간적 속성을 가지는 것을 중심으로 일별해 보았다. 기와는 크게 7단계의 공정을 거쳐 제작되며, 그 중 4단계인 소지, 5단계인 성형에서는 시기를 추출해 낼 수 있는 고유의 속성이 남게된다. 사실 기와와 관련된 보고서는 단편적인 기술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시기성이나 제작공정을 보여주는 여러 흔적들이 정리되지 못한 채 사장된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기초적인 정리를 바탕으로 각 현장에서 출토되는 기와류의 속성이 꼼꼼하게 체크된다면, 역사복원의 자료로서 충분히 기와를 이용할 수 있을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Roof tiles are often discovered at sites,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se artifacts due to their sheer quantity.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suggest a means of overcoming this problem.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indicates t...

      Roof tiles are often discovered at sites, but it has been difficult to study these artifacts due to their sheer quantity. The aim of this paper, therefore, is to suggest a means of overcoming this problem.
      An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 position of craftspeople fell in terms of social standing with the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and that this trend continued into the Goryeo and Joseon periods. Nevertheless, the consumption of roof tiles was limited and they were only selectively used in buildings associated with authority. Information which can be obtained from roof tiles includes manufacturing technique, and it is oft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at evidence of this was left. Therefo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issue, related documents from China and Korea, the Tiangongkaiwu (天工開物)』and Jaewajang (製瓦匠)』, respectivel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llustrated that although small differences existed in terms of the tools used,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process.
      Based on this understanding, the terminology of roof tiles was compiled. This was aimed at achieving some kind of coherency with regard to the study of roof tiles carried out by the different institutions. In addition, focus was put on the formal attributes of roof tiles believed to represent temporal change. It was suggested that the manufacture of roof tiles was a seven step process, and that the fourth stage (base clay preparation) and fifth stage (forming) led to certain attributes which could be used to infer the period of production. Reports of roof tiles often consist only of mere description. Thus, in compiling and arranging these basic attributes associated with manufacture or temporal variation, we may fully exploit the potential of roof tiles as valuable historical dat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와의 제작공정
      • 1. 문헌에 보이는 기와관련 기사
      • 2. 제작공정 개관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기와의 제작공정
      • 1. 문헌에 보이는 기와관련 기사
      • 2. 제작공정 개관
      • Ⅲ. 기와에 보이는 속성
      • Ⅳ. 정리유형의 일례
      • 1. 기존의 정리 유형
      • 2. 정리유형의 보완
      • Ⅴ.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울대학교박물관, "한우물-호암산성및연지발굴조사보고서" 1990

      2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경북대학교 2004

      3 최맹식, "와전 in : 보고서 작성 및 평가 매뉴얼"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8

      4 김성구, "옛기와" 대원사 2000

      5 김형순, "옛 기와를 통한 고고학 연구 in : 섬진강 주변의 백제산성" 2000

      6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와전(아름다운신라기와그천년의숨결)" 2000

      7 충남대박물관, "성주사" 1998

      8 한국역사연구회, "삼국시대사람들은어떻게살았을까" 청년사 2005

      9 崔兌先, "사지조사와 출토유물(기와) 정리방법의 일례" (재)영남문화재연구원 2008

      10 최맹식, "백제 및 통일신라시대 기와문양과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13 : 2001

      1 서울대학교박물관, "한우물-호암산성및연지발굴조사보고서" 1990

      2 이인숙, "통일신라~조선전기 평기와 제작기법의 변천" 경북대학교 2004

      3 최맹식, "와전 in : 보고서 작성 및 평가 매뉴얼" (사)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8

      4 김성구, "옛기와" 대원사 2000

      5 김형순, "옛 기와를 통한 고고학 연구 in : 섬진강 주변의 백제산성" 2000

      6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와전(아름다운신라기와그천년의숨결)" 2000

      7 충남대박물관, "성주사" 1998

      8 한국역사연구회, "삼국시대사람들은어떻게살았을까" 청년사 2005

      9 崔兌先, "사지조사와 출토유물(기와) 정리방법의 일례" (재)영남문화재연구원 2008

      10 최맹식, "백제 및 통일신라시대 기와문양과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13 : 2001

      11 정인성, "낙랑토기 및 기와의 제작방법 in : 낙랑의 고고학" 2005

      12 류환성, "나말여초 경주 출토 사찰명 평기와 연구" 경주대학교 2007

      13 이동주, "기와로 본 신라 왕경의 공간변화" 한국역사연구회 (68) : 115-153, 2008

      14 최정혜, "고려시대평기와의편년연구" 부산광역시립박물관 15 : 1996

      15 기전문화재연구원, "고달사지Ⅱ" 77 : 2007

      1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경주인왕동556·566번지유적" 36 : 2003

      17 "高麗史"

      18 "華城城役儀軌"

      19 "舊唐書"

      20 龜田修一, "百濟漢城時代の瓦に關する覺書" 1984

      21 森郁夫, "瓦" 法政大學出版局 2001

      22 권오영, "漢城期 百濟 기와의 製作傳統과 發展의 劃期" 백제연구소 38 : 1-23, 2003

      23 "日本三代實"

      24 노중국, "新時代의尺과干" 23 : 2001

      25 大川淸, "文字瓦硏究の方法" 雄山閣 (18) : 1987

      26 "延喜式"

      27 崔兌先, "平瓦製作法의 變遷에 대한 연구" 경북대학교 1993

      28 "太宗實"

      29 "天工開物"

      30 宗敎法人平等院, "事跡及び名勝平等院庭園保存整備報告書" 74 : 2002

      31 "三國史記"

      32 국립문화재연구소, "(중요무형문화재제91호)제와장" 1996

      33 최맹식, "(삼국시대)평기와연구" 주류성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4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12-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7 0.67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1.229 0.4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