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술민란기 부세문제 인식과 三政改革의 방향 = The Awareness of Taxation Problem and the Direction of Samjeong Reformation around The Imsul-Year People’s Revolt(1862)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302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ough the problem of Samjeong(three policies for the land, defense, and staple loan) induced national crisi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government did not fully recognized its nature and endeavor for reformation had been consequently dormant. The Imsul-Year People’s Revolt(l862)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aking the problem of Samjeong as a principal agenda for reformation: it caused the Eungjisamjeongso, an appeal toward the royal governance which acted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and created new policies. The multi-layered project of Eungjisamjeongso and solutions of Samjeongijeongcheong (bureau for tasks against Samjeong’s corruption) were based upon the consensus on demand of reforming Samjeong. Several important plans discussed in each part of Samjeong became major projects later and they were either attempted or fulfill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and foreign atmosphere. These reforming plans of Eungjisamjeongso and Samjeongijeongcheong, initially substantiated by the Imsul-Year People’s Revolt(1862), were subsequently proceeded witlh by the Cabo Reform of 1894 in lhe part of reforming taxation.
      번역하기

      Though the problem of Samjeong(three policies for the land, defense, and staple loan) induced national crisi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government did not fully recognized its nature and endeavor for reformation had been consequently dormant. The...

      Though the problem of Samjeong(three policies for the land, defense, and staple loan) induced national crisis during the nineteenth century, government did not fully recognized its nature and endeavor for reformation had been consequently dormant. The Imsul-Year People’s Revolt(l862)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aking the problem of Samjeong as a principal agenda for reformation: it caused the Eungjisamjeongso, an appeal toward the royal governance which acted in accordance with public opinion and created new policies. The multi-layered project of Eungjisamjeongso and solutions of Samjeongijeongcheong (bureau for tasks against Samjeong’s corruption) were based upon the consensus on demand of reforming Samjeong. Several important plans discussed in each part of Samjeong became major projects later and they were either attempted or fulfilled in accordance with domestic and foreign atmosphere. These reforming plans of Eungjisamjeongso and Samjeongijeongcheong, initially substantiated by the Imsul-Year People’s Revolt(1862), were subsequently proceeded witlh by the Cabo Reform of 1894 in lhe part of reforming tax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머리말
      • 2. 19세기 부세운영의 모순과 응지삼정소의 三政策
      • 3. 삼정이정청의 대책과 임술민란기 三政論의 위상
      • 5. 맺음말
      • 참고문헌
      • 1. 머리말
      • 2. 19세기 부세운영의 모순과 응지삼정소의 三政策
      • 3. 삼정이정청의 대책과 임술민란기 三政論의 위상
      • 5. 맺음말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왕현종, "한말(1894~1904) 지세제도 개혁과 성과" 77 : 1992

      2 윤정애, "한말 지방제도 개혁의 연구" 105 : 1985

      3 김용섭, "철종조의 응지삼정소와 ‘삼정이정책’" 일조각 1984

      4 박광성, "진주민란의 연구-이정청의 설치와 삼정교구책을 중심으로" 3 : 1968

      5 송찬섭, "중세해체기 농민항쟁 연구와 서술방향" 18 : 2008

      6 송찬섭, "조선후기 환곡제 개혁연구" 서울대출판부 2002

      7 金德珍,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잡역세" 국학자료원 1999

      8 송양섭,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계방의 출현 - 제역 및 제역촌과 관련하여 -" 호서사학회 (59) : 1-38, 2011

      9 방기중, "조선후기 수취제도・민란연구의 현황과 ‘국사’ 교과서의 서술" 39 : 1986

      10 배항섭,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임술민란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 (12): 207-241, 2008

      1 왕현종, "한말(1894~1904) 지세제도 개혁과 성과" 77 : 1992

      2 윤정애, "한말 지방제도 개혁의 연구" 105 : 1985

      3 김용섭, "철종조의 응지삼정소와 ‘삼정이정책’" 일조각 1984

      4 박광성, "진주민란의 연구-이정청의 설치와 삼정교구책을 중심으로" 3 : 1968

      5 송찬섭, "중세해체기 농민항쟁 연구와 서술방향" 18 : 2008

      6 송찬섭, "조선후기 환곡제 개혁연구" 서울대출판부 2002

      7 金德珍,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잡역세" 국학자료원 1999

      8 송양섭, "조선후기 지방재정과 계방의 출현 - 제역 및 제역촌과 관련하여 -" 호서사학회 (59) : 1-38, 2011

      9 방기중, "조선후기 수취제도・민란연구의 현황과 ‘국사’ 교과서의 서술" 39 : 1986

      10 배항섭, "조선후기 민중운동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임술민란을 중심으로―" 역사문제연구소 12 (12): 207-241, 2008

      11 박찬승, "조선후기 농민항쟁사 연구현황, In 한국중세사회해체기의제문제 하" 한울 1987

      12 김용섭, "조선후기 군역제 이정의 추이와 호포법" 13 : 1982

      13 김진봉, "조선철종조의 이정청에 대하여, In 편사2" 국사편찬위원회편사회 1968

      14 송양섭, "균역법 시행기 雜役價의 詳定과 지방재정 운영의 변화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고려사학회 (38) : 87-126, 2010

      15 김우철, "균역법 시행 전후의 사모속 연구" 4 : 1991

      16 김용섭, "광무연간의 양전・지계사업, In 증보판 한국근대농업사연구 하" 1992

      17 최병옥, "개화기의 군사정책연구" 경인문화사 2000

      18 "韓末近代法令集"

      19 裵英淳, "韓末.日帝初期의 土地調査와 地稅改正에 關한 硏究" 서울大學校 大學院 1988

      20 "釐整廳謄錄"

      21 李寅龜, "莞薾漫錄"

      22 송양섭, "正祖의 왕실재정 개혁과 ‘宮府一體’論" 대동문화연구원 (76) : 79-128, 2011

      23 김용섭, "朝鮮後期 軍役制의 動搖와 軍役田" 32 : 1982

      24 "日省錄"

      25 "承政院日記"

      26 "慶尙道三政啓"

      27 "壬戌錄"

      28 "三政策 1・2" 아세아문화사 1986

      29 배항섭, "19세기 조선의 군사제도 연구" 국학자료원 2002

      30 송양섭, "19세기 양역수취법의 변화-동포제의 성립과 관련하여" 89 : 1995

      31 고동환, "19세기 부세운영의 변화와 그 성격" 1 : 1991

      32 鄭善男, "18・19세기 田結稅 수취제도와 그 運營" 서울대 국사학과 22 : 1990

      33 이철성, "18세기 전세 비총제의 실시와 그 성격" 81 : 1993

      34 鄭演植, "18세기 結布論의 대두와 結米節目의 제정" 47 : 1993

      35 송양섭, "18~19세기 公州牧의 재정구조와 民役廳의 운영- 民役廳節目․蠲役廳(追)節目을 중심으로 -" 국학연구원 (154) : 111-172, 2011

      36 이상찬, "1894~5년 지방제도 개혁의 방향 ; 향회의 법제화 시도를 중심으로" 67 : 1989

      37 김태웅, "1894~1910년 지방세제의 시행과 일제의 조세수탈" 26 : 1991

      38 유정현, "1894~1904년 지방재정제도의 개혁과 이서층 동향" 73 : 1992

      39 김선경, "1862년 농민항쟁의 都結 혁파요구에 관한 연구" 한울 1990

      40 망원한국사연구실19세기 농민항쟁분과, "1862년 농민항쟁" 동녘 1988

      41 정연식, "17・18세기 양역균일화 정책의 추이" 13 : 198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9-2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8 1.28 1.1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7 0.89 2.25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