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40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둔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한글 관련 내용만 공통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으며, ‘국어Ⅱ’와 ‘독서와 문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그 위계성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 내용이 다양화되기는 했지만 대부분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몇몇 교육 내용이 중복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국어사 내용의 선정 기준은 국어과 내용 체계인 ‘지식, 탐구와 적용, 태도’에 따라 제시하였다. ‘지식’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명확성, 학습 난이도, 시기별 대표성, 고전문학 해석과 관련한 실용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탐구와 적용’과 관련한 기준에는 학습자의 탐구 가능성, 현대국어와의 연관성,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 우리말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국어사 지식 자체의 흥미, 국어사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 국어문화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번역하기

      본고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둔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다음과 ...

      본고는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을 살펴보고, 국어사 교육 내용의 선정 기준을 마련하는 데에 중점을 둔 것이다. 지금까지 논의한 내용을 간단히 정리하면서 다음과 같다. 우선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한글 관련 내용만 공통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으며, ‘국어Ⅱ’와 ‘독서와 문법’의 국어사 교육 내용은 그 위계성이 명확하지 않다. 또한 교과서에 나타난 국어사 내용을 살펴보면, 교육 내용이 다양화되기는 했지만 대부분 고대국어, 중세국어, 근대국어를 중심으로 몇몇 교육 내용이 중복되어 나타나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국어사 내용의 선정 기준은 국어과 내용 체계인 ‘지식, 탐구와 적용, 태도’에 따라 제시하였다. ‘지식’과 관련해서는 학술적 명확성, 학습 난이도, 시기별 대표성, 고전문학 해석과 관련한 실용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탐구와 적용’과 관련한 기준에는 학습자의 탐구 가능성, 현대국어와의 연관성, 언어 사용 기능의 신장, 우리말과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국어사 지식 자체의 흥미, 국어사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 국어문화에 대한 흥미 유발 가능성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the criterion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there is no conten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xcept ‘Hangeul’ in common curriculum, and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Ⅱ’ and ‘reading & grammar’, the hierarchy of educational contents is unclear. Secondly,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contents are very various in textbooks. But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some of them is repeated in lessons of each textbook. Thirdly,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criterion can present according to ‘knowledge’, ‘inquiry & application’, ‘affectivity’. academic definiteness, learning possibility, typicality of periods, and practicalit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 literature are important criterions in ‘knowledge’. In ‘inquiry & application’, the inquiry possibility for learner, the link of present Korean language, the extension of ability for using language, the possibility of new recognition for language and culture are major criterions. And in ‘affectivity’, the interest in knowledge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possibility of leading interest i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an be consid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the criterion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there is no conten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xcept ‘Hangeul’ in com...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get the criterion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in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result of this paper is as follow. Firstly, there is no conten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xcept ‘Hangeul’ in common curriculum, and between ‘Korean language arts Ⅱ’ and ‘reading & grammar’, the hierarchy of educational contents is unclear. Secondly, for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history, contents are very various in textbooks. But it is the characteristic that some of them is repeated in lessons of each textbook. Thirdly, for selection of educational contents, the criterion can present according to ‘knowledge’, ‘inquiry & application’, ‘affectivity’. academic definiteness, learning possibility, typicality of periods, and practicality related to the interpretation of classic literature are important criterions in ‘knowledge’. In ‘inquiry & application’, the inquiry possibility for learner, the link of present Korean language, the extension of ability for using language, the possibility of new recognition for language and culture are major criterions. And in ‘affectivity’, the interest in knowledges of Korean language history, the possibility of leading interest in Korean language history and Korean language culture can be consid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서론
      • 2. 국어사 교육의 현황
      • 2.1.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관련 내용
      • 2.2. 교과서에 포함된 국어사 교육 내용
      • 요약
      • 1. 서론
      • 2. 국어사 교육의 현황
      • 2.1. 교육과정에 나타난 국어사 관련 내용
      • 2.2. 교과서에 포함된 국어사 교육 내용
      • 3. 내용 체계별 선정 기준
      • 3.1.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지식’ 관련 기준
      • 3.2.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탐구와 적용’ 관련 기준
      • 3.3. 국어사 교육 내용 선정을 위한 ‘태도’ 관련 기준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32 (32): 325-354, 2005

      3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4 권재일, "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내용" 국어교육연구소 (2) : 159-175, 1995

      5 박형우,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4) : 143-166, 2004

      6 김영욱, "국어사 교육은 과연 필요한가?"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26) : 85-110, 1998

      7 이관규, "국어사 교수 학습 내용의 체계성과 위계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40 (40): 407-432,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9 이도영,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국어사"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27) : 303-326, 1999

      10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7 (7): 71-129, 2002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주세형, "학습자 중심의 국어사 교육 내용 설계 방향" 국어교육학회 32 (32): 325-354, 2005

      3 남가영, "문법 탐구 경험의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4 권재일, "국어학적 관점에서 본 언어 지식 영역 지도의 내용" 국어교육연구소 (2) : 159-175, 1995

      5 박형우, "국어사 교육의 내용 선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114) : 143-166, 2004

      6 김영욱, "국어사 교육은 과연 필요한가?" 서울사대 국어교육과 (26) : 85-110, 1998

      7 이관규, "국어사 교수 학습 내용의 체계성과 위계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회 40 (40): 407-432, 2004

      8 교육과학기술부, "국어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2012

      9 이도영, "국어과 교육 내용으로서의 국어사" 서울대학교국어교육과 (27) : 303-326, 1999

      10 민현식, "국어 지식의 위계화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학회 7 (7): 71-129, 2002

      11 김은성,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6

      12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2007

      13 교육과학기술부, "고등학교 국어과 교육과정 해설" 교육과학기술부 20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연구(학회지 명칭 변경) -> 국어사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4-26 학회명변경 한글명 : 국어사자료학회 -> 국어사학회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Historical Linguistics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 0.62 1.345 0.3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