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치료적 음악활동이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존감, 그룹 응집력 증진에 미치는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84635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long with their continu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elf-rating metho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usic therapy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ngaged in active activities under the therapeutic plans of the therapist, and the musical appreciation (control) group who freely enjoyed music without any therapeutic plans.
      Accordingly, the author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self-esteem w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2) the group cohesiveness would b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and; 3) the effects of improved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would be sustained more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6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14 males and 2 females) who are able to carry out self-ratings, and who dont have multiple mental disorder. All the patients participate in the day-time therapeutic programs for social adaptation after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y all completed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Group Cohesiveness Scale four times during the 8-week experimental period. After those tes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music therapy and musical appreciation groups by the observer of reliability. Two weeks later, the two groups completed the same scales again, and the base line period was decided based on the tests. Later, either music therapy or musical appreciation was conducted for 60 minutes to the two groups in 8 sessions (two sessions in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at the same hour and place. In 2 weeks after the experiment, a new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nd musical appreciation were maintained.
      The result shows that both the self-esteem (P<.05) and the group cohesiveness scores (P<.05) of the patients in the music therapy group wer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ose in the musical appreciation group.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aintenance of the effects of music activities (P<.05).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long with their continu...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effect of music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long with their continuation were investigated using the self-rating method.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the music therapy (experimental) group who were engaged in active activities under the therapeutic plans of the therapist, and the musical appreciation (control) group who freely enjoyed music without any therapeutic plans.
      Accordingly, the author established the following hypotheses: 1) the self-esteem would be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2) the group cohesiveness would be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and; 3) the effects of improved self-esteem and group cohesiveness would be sustained more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patients who participated in the music therapeutic activities than those who were engaged in musical appreciation activities.
      The subject of the study is 16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14 males and 2 females) who are able to carry out self-ratings, and who dont have multiple mental disorder. All the patients participate in the day-time therapeutic programs for social adaptation after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They all completed the Self-Esteem Inventory and the Group Cohesiveness Scale four times during the 8-week experimental period. After those tests, the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e music therapy and musical appreciation groups by the observer of reliability. Two weeks later, the two groups completed the same scales again, and the base line period was decided based on the tests. Later, either music therapy or musical appreciation was conducted for 60 minutes to the two groups in 8 sessions (two sessions in a week for a total of 4 weeks) at the same hour and place. In 2 weeks after the experiment, a new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the effects of music therapy and musical appreciation were maintained.
      The result shows that both the self-esteem (P<.05) and the group cohesiveness scores (P<.05) of the patients in the music therapy group wer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those in the musical appreciation group. Mean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maintenance of the effects of music activities (P<.05).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퇴원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자존감과 그룹응집력 증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자가 평가를 통해 알아보려 하였고, 아울러 음악치료의 지속효과도 함께 알아보았다.
      대상자들은 모두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는데 치료사의 치료적인 계획 하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음악치료 그룹(실험 그룹)과 치료사의 치료적인 계획이 없이 자유로이 음악감상(통제 그룹)을 하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첫째,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자존감은 음악감상 활동에 함께한 집단의 환자들 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둘째, 음악 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그룹응집력은 음악감상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 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셋째, 음악치료를 마친 후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은 음악감상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 보다 자존감과 그룹응집력의 효과에 있어 유의미한 지속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중복 정신장애가 없으며 자가 평가가 가능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16명(남자:14명, 여자:2명)으로서 퇴원 후 사회 적응을 위해 낮 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환자들로 구성되어있다. 모든 연구 대상자들은 자아존중감척도와 집단응집력척도를 총 8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4회에 걸쳐 작성하였는데, 모든 대상자가 검사지를 작성한 후 신뢰도 관찰자가 대상자를 무작위로 음악치료 활동 집단과 음악감상 집단으로 나누었고, 2주 후에 같은 내용의 측정 도구를 두 집단에 다시 작성하도록 하여 기초선 기간을 잡았다. 이후 두 그룹에게는 4주간 동안 1주일에 2회씩 같은 장소와 시간에 모두 8회, 60분의 음악치료과 음악감상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실험 2주 후에 다시 검사지를 작성하여 음악치료와 음악감상의 지속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음악감상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한 향상(P<.05)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활동 집단의 그룹응집력은 음악감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음악 활동의 지속력과 관련해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번역하기

      이 연구는 퇴원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자존감과 그룹응집력 증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자가 평가를 통해 알아보려 하였고, 아울러...

      이 연구는 퇴원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음악치료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의 자존감과 그룹응집력 증진에 어떠한 효과를 미치는지 자가 평가를 통해 알아보려 하였고, 아울러 음악치료의 지속효과도 함께 알아보았다.
      대상자들은 모두 두 그룹으로 나누어졌는데 치료사의 치료적인 계획 하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는 음악치료 그룹(실험 그룹)과 치료사의 치료적인 계획이 없이 자유로이 음악감상(통제 그룹)을 하는 그룹으로 나누었다.
      이에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는데 첫째,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자존감은 음악감상 활동에 함께한 집단의 환자들 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둘째, 음악 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그룹응집력은 음악감상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 보다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낼 것이다. 셋째, 음악치료를 마친 후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은 음악감상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 보다 자존감과 그룹응집력의 효과에 있어 유의미한 지속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중복 정신장애가 없으며 자가 평가가 가능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 16명(남자:14명, 여자:2명)으로서 퇴원 후 사회 적응을 위해 낮 치료 프로그램에 참가하는 환자들로 구성되어있다. 모든 연구 대상자들은 자아존중감척도와 집단응집력척도를 총 8주간의 실험기간 동안 4회에 걸쳐 작성하였는데, 모든 대상자가 검사지를 작성한 후 신뢰도 관찰자가 대상자를 무작위로 음악치료 활동 집단과 음악감상 집단으로 나누었고, 2주 후에 같은 내용의 측정 도구를 두 집단에 다시 작성하도록 하여 기초선 기간을 잡았다. 이후 두 그룹에게는 4주간 동안 1주일에 2회씩 같은 장소와 시간에 모두 8회, 60분의 음악치료과 음악감상을 각각 실시하였으며, 실험 2주 후에 다시 검사지를 작성하여 음악치료와 음악감상의 지속 효과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음악치료 활동에 참여한 환자들의 자아존중감 점수는 음악감상 집단의 점수보다 유의미한 향상(P<.05)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악치료 활동 집단의 그룹응집력은 음악감상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05). 또한 음악 활동의 지속력과 관련해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P<.0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